포피
강희진 지음 / 나무옆의자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포피"는 "유령"으로 세계문학상을 수상한 바 있는 강희진의 세번째 소설이다. "유령"이 인격분열을 앓는 탈북자 청년과 게임 리니지를 결합했다면, "포피"는 탈북자 여성과 "키스방"을 결합했고, 이는 분단과 자본주의 최첨단의 현상의 결합이라는 점에서 전작과 일맥상통하는 점이 있다. "유령"이 남한에서 뿌리를 잃고 방황하는 탈북자들 간의 차이를 그렸다면, "포피"는 좀 더 쉽다. 이것은 러브스토리이고, 파괴된 가족에 관한 이야기이다.

 

  엄마와 함께 중국을 거쳐 탈북에 성공, 남한에 정착한 포피. 그녀는 문학과 인류학, 다방면에 걸쳐 박식한 지식인이면서 동시에 돈을 위해 키스방에서 키스 매니저로 일한다. 엄마는 남한에 왔지만 자본주의 체제에 전혀 적응하지 못한다. 엄마는 자신의 목적을 위해서 중국에서 몸을 팔고, 재혼으로 얻은 시동생(나의 삼촌)을 잔인하게 이용할 정도로 생활력에 뛰어나지만 그녀의 머릿속에는 수령과 당과 남편만이 존재할 뿐이다. 김일성 수령의 사진이 보이지 않으면 섹스를 할 수 없을 정도로 엄마의 머릿속에서 체제는 생활과 욕망까지 완벽하게 지배한다.

 

  이야기의 서술자 '나', 포피는 다르다. 포피는 삼촌을 사랑했지만 그 삼촌은 설명할 수 없는 사랑의 힘에 의해 엄마만을 찾아헤맨다.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은 삼촌과 엄마, 그리고 포피와의 관계는 욕망과 애정, 그리고 배신으로 이어지고 결국은 파국을 맞는다. 이 과정에서 포피는 무기력하다. 그녀는 빼어난 지적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탈북에서부터 자신의 문제에서는 방관자에 가까운 태도로 지켜만 볼 뿐이다. 기껏해야 키스방의 손님을 붙잡고 자신의 이야기를 구술하는 것이 전부다. 엄마가 지적 능력이 없는 대신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있는 것과는 대비된다.

 

  이것은 삶의 잔인함을 너무 일찍 알아버린 포피라는 존재에게는 어쩌면 당연한 결과인지도 모른다. 포피는 북한에서 대규모 아사가 일어났을 때 자신의 실수로 동생이 죽는 것을 지켜봤으며, 정신적 지주였던 큰아버지가 어떻게 죽어갔는지, 중국에서 엄마가 어떻게 살아남았는지를 모두 지켜봐야했다. 그녀는 입으로 모든 것을 떠듦으로써 자신의 삶 안에 있는 불안과 공포를 냉소로 표현한다. 소설의 말미에서 포피가 삼촌에게 구강성교를 해주며 엄마보다 자기가 이걸더 잘할 수 있다며 엄마에게 배신당한 삼촌을 붙잡는 장면은, 그래서 아주 마음 아프고 애절하다.

 

  역사적으로 한국문학은 분단이라는 상황 하에서 컸다. 50년대 전후문학에서 80년대 민중문학까지 한국 문학에서 분단이라는 모순은 그것이 표면에 드러났든, 아니든 지워지지 않았다.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한국문학에서 분단이 사라졌다. 대부분의 독자는 분단에 대해 관심이 없고, 통일을 두려워하기까지 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전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로서 이 문제를 무시할 수 있을까. 최소한 문학은 그럴 수 없는 게 아닐까. 이 지점에 "포피"는 자신의 가치를 분명히 하고 있다. 마치 '다른 것은 다 사소한 문제야'라고 외치는 것처럼, 분단의 모순과 탈북의 현실을 21세기 대한민국을 움직이는 욕망, 이미 모든 것을 지배하는 잔인한 짐승이 되어버린 바로 그 욕망과 연결해서 한 여성의 러브 스토리와 파괴된 가족사를 들려준다. 그만큼 "포피"는 뜨겁고 잔인하고 아주 세다. 왜 센지는 읽어보면 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