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사람의 마음을 가늠하는 신경망(배내측 전전두피질과 측두두정 접합)과 비사회적 추론을 하는 신경망(외측 전전두부위, 외후측 두정피질)은 구별된다. 전자의 신경망은 사람이 아무 인지과제도 주어지지 않았을 때 되돌아가는 기본신경망이기도 하다.

과학자들이 이론을 바탕으로 예측을 하고 증거에 기초한 결론을 도출하는 것처럼, 우리 성인들은 모두 마치 다른 사람들에게 마음이 있으며 이 마음은 특정 규칙에 따라 질서 있게 반응한다는 이론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행동한다(예컨대 우리는 사람들이 게임에서 지면 기뻐하는 것이 아니라 슬퍼할 것이라는 이론을 가지고 있다). 바로 이런 능력 덕분에 우리는 우리의 생각을 다른 사람들의 생각과 조화시키고 공동의 목표와 협력을 추구할 수 있는 것이다. - P166
그중 가장 유명한 실험은 샐리 앤 과제Sally-Anne task라는 것이다. 이 실험에는 샐리와 앤이라는 두 인형 외에 바구니와 상자가 한 개씩 등장한다. 먼저 샐리가 구슬을 바구니에 넣은 뒤 무대를 떠난다. 그러면 샐리가 없는 동안 앤은 샐리의 구슬을 바구니에서 상자로 옮겨 넣는다. 그뒤 샐리가 돌아오면, 연구자는 지금까지의 광경을 지켜보던 아이에게 샐리가 구슬을 찾기 위해 어디를 열어보겠느냐고 묻는다.
이 실험의 핵심은 이 미니 드라마를 지켜본 아이는 구슬이 어디에 있는지 옳은 믿음을 가지고 있는 반면, 샐리는 틀린 믿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 P168
일반적인 추론과 마찬가지로 사회적 추론의 구조도 연역적인 것과 귀납적인 것으로 나뉘지 않겠는가? 다음 샐리-앤 틀린 믿음 과제를 살펴보자.
1. 샐리는 구슬을 바구니에 넣는다. 2. 샐리는 앤이 구슬을 상자로 옮겨 넣는 것을 보지 못한다. - P174
위의 두 전제로부터 우리는 다음과 같은 논리적 결론을 이끌어낼 수있다. 샐리는 구슬이 옮겨진 것을 모르며 따라서 구슬의 위치에 대해 틀린 믿음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표준적인 연역적 추론과 다를 바 없다. 또 이 문제를 풀면서 다른 종류의 연역적 추론과 특별히 다른 점을 찾기도 어렵다. 이와 비슷하게 우리는 사회적 환경 속에서도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귀납적인 예측을 도출해낼 수 있다. - P175
우리가 귀납적 또는 연역적 추론을 할 때는 이런 종류의 추론이 포함되지 않은 과제를 수행할 때보다 (외측 전두두정피질 lateral frontoparietal cortex이라고 함께 묶어 부르기도 하는 외측 전전두피질과 외측 두정피질에서더 많은 활동이 일어난다는 사실이 수많은 뇌영상 연구를 통해 증명되었다(그림 5.2 참조). - P172
자기공명영상 스캐너 안에 누운 피험자들이 서로 무관한 문장들을읽을 때는 기본 독해력에 대한 다른 연구들에서처럼 언어 및 작업기억과 관련이 있는 외측 전전두 부위에서 가장 왕성한 활동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문장들이 결합하여 심리화 작업을 촉발하는 이야기를 구성하자 외측 전전두 부위는 비교적 조용해졌다. 그 대신에 배내측 전전두피질dorsomedial prefrontal cortex, DMPFC, 측두두정접합temporoparietal junction, TPJ, 후대상posterior cingulate, 측두극 temporal poles 을 포함하는 여러 부위가 더 활성화되었다(그림 5.3 참조). - P17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