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이다. 시간이 참 잘 간다. 시간이 흐르는 게 마냥 아쉽지만은 않다. 그 시간들을 잘 견뎌냈다는 뜻이니까, 한편으로는 달력이 넘어가는 게 뿌듯하기도 하다. 예전에 투병하시는 분이 그린 인스타툰을 본 적이 있다. 그분은 나이 많은 어르신을 보면서 부러워했다고 한다. 할머니 할아버지가 되었다는 건 그 나이까지 죽지 않고 살았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그런 식으로 세상을 보니 많은 게 달리 보였다. 나이 먹는 게 딱히 슬프지 않다. 아프지 않고 꺾이지 않고 2025년을 맞이한 나 자신, 대견하다.
어제는 시사인 전자책을 구독해볼까 싶어서 시사인 사이트를 기웃거리다가 뉴인(NEW IN)이라는 서비스가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시사인 전자책을 구독하면 월 12,000원인데 뉴인을 구독하면 월 9,900원에 시사인 최신 기사들을 전부 볼 수 있다는 것. 시사인 기사들을 굳이 책의 형태로 볼 필요가 없는 나에게는 상당히 합리적인 서비스였다. 바로 구독 결제! 주간지 기사의 긴 호흡을 좋아하는 편이라 예전부터 시사인을 좋아했는데 뉴인 서비스 괜찮으면 이걸로 정착해야겠다. 종이 잡지 쌓이는 걸 싫어하는 사람들에겐 딱인 것 같다.
어제는 또 당근 거래를 열심히 했다. 안방 침대를 무료나눔으로 올려놨는데 깨끗한 상태가 아니여서 그런지 아무도 연락이 오지 않았다. 사실 이런 큰 가구는 운반 가격이 문제다. 용달차 부르면 못해도 20-30만원은 나올텐데 그 돈 주고 이렇게 낡은 침대 가져가느니 사는 게 낫겠다고들 생각하는 듯 하다. 이걸 버려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하던 찰나 어제 연락이 왔다. 외국인이었다. 이 외국인은 대뜸 영어로 매트리스만 가져갈 수 있겠냐고 물었다. 이날을 위해서 내가 그렇게 열심히 영어 공부를 했던가? 에라 모르겠다, 나도 영어로 대화했다. 매트리스만 가져가는 것도 괜찮다, 하지만 사이즈가 크니 차를 가져와야 한다고 말했다.
그랬더니 그 사람이 자신은 혼자고 이걸 들고 버스를 타겠다는 거다ㅋㅋㅋㅋㅋ내가 말했다. 절대 안 된다고, 이거 혼자서는 들지도 못한다고, 버스에 타는 건 말도 안 된다고 했다. 그 외국인은 자신의 집에 아무 것도 없으며 오늘 당장 매트리스가 필요하다고 했다. 그래, 그 사정은 이해하는데 차라리 다른 곳에서 싱글 매트리스를 구해보는 게 낫지 우리집 매트리스는 당신에게 적합한 물건이 아니라고 말했다. 그랬더니 어느 정도 수긍했는지 다른 물건을 알아보겠다고 했다. 휴...미리 말 안 했으면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졌을 것인가.
이 동네는 서울에서 아주 멀리 떨어진 수도권인데 몇 년 전부터 외국인들이 보이기 시작하더니 요즘에는 외국인이 정말 많아졌다. 그래서인지 당근 거래 하는 외국인들도 꽤 만났다. 예전에 냄비 나눔글 올렸었는데 그거 받아간 사람도 외국인이었다. 한국말 너무 잘해서 얼굴 보기 전까지는 외국인인지도 몰랐다. 오늘 침대 가져간다는 이 분은 한국에 처음 온 사람인건지 한국말을 못하고 냅다 영어로....;; 그나저나 이분이 문장 끝에 sir/ma'am 붙이는 건 별로였다. 내가 그 사람 상관도 아닌데, 당근에서 무료나눔을 하는 게 그리 대단한 일도 아니고, 갑자기 불편해졌다. 예전에 인도 여행할 때 그쪽 사람들이 외국인에게 말할 때 꼭 sir 혹은 ma'am을 붙였던 기억이 떠올랐다.(부자들은 당연히 예외ㅋㅋ)이 외국인도 혹시나 그쪽 계통인 걸까. 뼛속 깊이 깔린 계급 의식을 느낄 때마다 나는 불편해진다. 그나저나 방에 매트리스도 없고 아무 것도 없다는데 이 추운 겨울을 어찌 보내나 걱정이네.
밤에는 장농 정리를 했다. 모아서 아름다운가게에 보내려고 했는데 계획 취소. 아름다운가게는 당장 옷걸이에 걸어서 팔아도 되는 컨디션의 옷들만 받는다고 한다. 세탁이나 수선 과정이 없기 때문에 진짜 깨끗한 옷만 받는다고. 내가 선별한 옷은 그 정도의 컨디션이 아니어서 아무래도 헌옷 수거업체에 연락을 해야할 것 같다. 옷 기증하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구나. 기증을 하고 싶다면 깨끗하게 입고 낡아지기 전에 미리미리 기부할 것. 오늘의 교훈이다.
요즘 보고 있는 책은 <중앙아시아사>. 이 책, 재밌다. 밀리의 서재에서 보고 있는데, 전자책 적립금 쌓이면 구매할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