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와 올해 장자를 나름대로 공부하며 장자 관련 서적들을 일별했다. 일단 중국에선 사계의 대가인 진고응 주석의 '장자금주금역'이 가장 보편적인 것 같다. 그러나 문헌학적 각도에서 진고응의 장자 텍스트 취사는 많은 헛점을 내포하고 있다. 장자의 여러 이본을 비교하려는 독자들은 진고응이 편찬한 장자텍스트를 잘 선별해서 활용해야 할 것이다. 나는 장자를 읽으며 개인적으로 곽경번집석의 '장자집석'을 많이 참고 했다. 장자철학의 사상에 대한 연구는 진고응의 노장신론이나 류소감의 장자철학이 자못 상세하다.
진고응에 앞서 대륙에선 관봉의 장자 연구가 주목할만하다.
중화서국의 장자주소와 상해고적출판사의 장자집주도 많이 읽힌다.
대만 학자 왕숙민의 '장자교전'이라는 책도 좋다. 진고응의 풀이와 비교하며 읽어도 좋을 것이다.
왕부지의 장자해, 왕선겸의 장자집해 등도 참고하기 좋다.
일본의 복영광사(후쿠나가 미츠지)의 장자 내편 풀이도 나쁘지 않다. 복영광사는 내편에 대한 번역 후에 그 요지를 다시 개략적으로 풀어내어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우리말 번역에는 현암사의 안동림 역과 전통문화연구회의 '장자 역주', 이강수 역의 장자가 많은 도움이 되었다.
세간에선 강신주의 철학에 대한 호불호가 갈리지만, 나는 그의 장자 관련 저서를 재미있게 읽었다. 그 밖에 카린 라이가 여러 공저자와 함께 묶은 연구서를 훑어보았는데 영어가 서툴러 잘 잡히지 않았다. 장자 텍스트에 보이는 기술이나 장인의 의미에 대한 유의미한 소논문들이 많다.
프랑수아 줄리앙의 장자 연구서는 양생의 관점에서 장자를 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