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스 피터스의 『성스러운 도둑』은 중세 수도원을 배경으로 한 역사 추리 소설이다.
이번 작품은 캐드펠 수사 시리즈의 열아홉 번째 이야기로, 1권에서 등장한 위니프리드 성녀의 유골함이 다시 중심 소재로 등장한다. 폐허가 된 램지 수도원, 폭우로 인한 혼란, 성골함의 도난, 살해당한 양치기 소년.
이번 이야기는 사건 해결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인물들의 믿음과 욕망이 어떻게 충돌하고 어떤 결과를 낳는지 보여준다. 수도원장, 귀족, 수사, 하인 등 다양한 인물들이 각자의 논리로 성골함을 원한다. 그들의 말에는 종교적 정당성이 담겨 있지만 실제로는 공동체의 이익과 개인적인 열망이 작용한다. 그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누가 옳고 그른가 보다 그들이 무엇을 믿고 왜 그런 결정을 했는지를 바라볼 필요가 있다.
<믿음, 선택, 갈등>
투틸로 수사는 음악에 재능이 있는 젊은 수도사로 수도원에서 노예 신분의 여가수 달니를 만나 감정을 공유한다. 램지 수도원의 부원장 헤를루인은 성골함을 램지로 옮기려 하고 귀족 로베르 보몽은 자신이 성골함을 보관하게 된 과정을 신의 뜻이라 주장한다. 캐드펠은 이 모든 상황을 조용히 지켜본다.
양치기 소년의 죽음은 사건이 도둑질에서 살인으로 확장되는 계기다. 범인을 찾는 일이 중요하지만 더 근본적인 질문은 성골함이 왜 그렇게 중요한가에 있다. 역사 추리소설 『성스러운 도둑』은 이 질문을 통해 성스러움이 실제로 존재하는 것인지 아니면 사람들이 그렇게 믿고 싶은 것인지 되묻는다.
중반 이후 등장하는 '소르테스 비블리카'는 복음서를 무작위로 펼쳐 신탁을 받는 방식이다. 이 의식은 결과를 받아들이기보다는 그것을 해석하는 사람의 태도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믿음이라는 것은 종종 개인의 선택을 정당화하는 도구가 되기도 한다. 작품은 그 점을 떠올리게 한다.
---
1권을 읽은 독자라면 위니프리드 성녀의 진짜 유골이 어디에 있는지 알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중요하지 않다. 많은 사람들이 성녀의 유골이라고 믿는 그 성골함을 통해 기적이 일어났다고 여긴다. 이 믿음이 만들어낸 경험과 연대는 유골함의 진위보다 더 강한 의미를 갖는다. 캐드펠은 그 점을 알고 있고 그래서 판단하지 않는다.
사건 얼개보다 사람을 보는 이야기, 판단보다 이해를 말하는 작품이다. 1편을 읽고 보면 이해가 더 잘 되지만 다른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읽지 않아도 이해하는 데는 큰 문제가 없다. 특히 '성스러움'이라는 개념을 다시 생각해 보고 싶은 독자에게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