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 받았습니다>
"용기란 고립을 두려워하지 않는 행위라고 생각합니다."
『용기론』은 '지금 우리에게 가장 부족한 것이 무엇인?'라는 질문에서 시작됐다. 저자는 그 답으로 '용기'를 말했고, 이후 편집자와 9통의 서신을 주고받으며 심도 있는 대화를 이어간다. 고립 · 직감 · 정직 · 친절을 넘나드는 사유는 한 가지 질문을 향한다. '왜 지금, 다시 용기인가?'
우치다 다쓰루는 일본을 대표하는 사상가이자 무도인이다. 프랑스 철학자 레비나스를 평생의 스승으로 삼아 문학과 사상을 연구했으며, 합기도 도장을 운영하며 사유와 수련을 동시에 실천하는 독특한 삶을 이어가고 있다. 『하류 지향』, 『무지의 즐거움』 등으로 알려진 그는 철학, 일상, 사유와 신념을 오가며 시대를 응시한다.『용기론』은 그런 저자가 지금 꼭 해야 한다고 믿은 이야기를 자신만의 언어로 담아낸 결과물이다.
<'용기' 고립을 감내하는 힘>
우치다 다쓰루는 '용기'를 아무도 지지해 주지 않을 때조차 스스로의 판단을 유지하는 태도로 본다. 『용기론』은 그런 고립의 순간에 필요한 사유와 자세를 다룬다. 용기를 감정의 문제로 접근하지 않고, 이성과 신념의 문제로 풀어낸다는 점에서 깊이를 느낄 수 있다.
책은 "논리적으로 생각한다는 것은 도약을 위한 도움닫기."라는 비유를 통해, 사유가 어떻게 전개되고 완성되는지를 설명한다. 논리와 경험 사이의 간극을 넘기 위해선 도약이 필요하고 이 도약은 때로 사회적 고립을 동반한다. 저자는 바로 그 지점에서 용기의 역할이 시작된다고 본다. 『용기론』을 추천하는 이유는 이처럼 철학적 개념을 일상의 언어로 풀어내는 균형감에 있다.
우치다는 '감정적 자기 통제력과 논리적 사고력'을 동시에 갖춘 상태에서만 용기가 성립할 수 있다고 본다. 이는 충동적 행동이나 단편적 결단과는 거리가 있다. 공자의 말을 인용하며, 자신에게 이치가 없음을 깨달았을 때 '미안하다.'라고 말할 수 있는 태도 역시 용기의 한 형태로 설명하는 대목은 인상 깊다.
<질문하는 사람만이 성장한다>
『용기론』은 질문을 통해 지성이 작동한다고 주장한다. 독자의 삶에 당장 적용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않지만, 무엇을 묻고 어떻게 고민할 것인지를 조용히 짚어주는 점에서 오히려 믿음직하다.
또한 저자는 "정직하려면 자신에게서 일단 떨어져야 한다,"라고 말하며, 자기 성찰과 거리 두기를 정직의 조건으로 제시한다. 말에 대한 위화감, 반복되는 상투적 언어를 의식하고 멈추는 것이야말로 정직의 시작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용기론』은 삶의 태도에 관해 이야기하지만 독자에게 그 어떤 특정한 방향을 강요하지 않는다. 저자가 전하는 사유는 명확하고 간결하며, 읽는 이 스스로가 생각하게끔 만든다.
---
『용기론』을 읽고 내가 얻은 건 '고립 속에서 자기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용기'다. 시간이 지난 뒤에도 문득 떠오를 문장이 필요한 사람에게 이 책은 분명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