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 받았습니다>
작가가 되기 위해선 어떤 능력이 필요하고 무엇을 연습해야 할까?
작년부터 탐구 중인 주제이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작가, 예술가 = 타고난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아마 일부의 천재들은 그렇게 탄생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그렇진 않을 것이다. 약간의 재능과 노력이 더해져 능력을 꽃피우는 사람이 훨씬 많다고 믿는다. 그래서 흔한 자기계발서부터 과학 도서, 자서전 등을 살피며 자료를 모았다.
숙달의 기술을 배울 수 있는 뇌과학 책 『제대로 연습하는 법』은 미국 휴스턴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이자 언어와 뇌에 관한 실험적 · 임상적·이론적 연구를 다루는 국제 학술지 《신경언어학 저널, Journal of Neurolinguistics》의 편집장을 맡고 있는 아투로 E. 허낸데즈 (Arturo E. Hernandez)의 책이다.
원제는 『Mastery: How Learning Transforms Our Brains, Minds, and Bodies』으로 직역하면 '숙달 : 학습으로 두뇌, 마음, 신체를 변화시키는 방법'인데, 국내 책 제목은 은유적이라 많은 뜻을 내포한 느낌을 준다.
<1만 시간의 법칙 Ver.2>
책 『티핑 포인트』, 『블링크』 등으로 유명한 말콤 글레드웰은 『아웃라이어』에서 '1만 시간의 법칙'을 인용하며 많은 이들의 이목을 끌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어떤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선 약 1만 시간의 의식적이고 체계적인 연습이 필요하다는 이론인데, 심리학자 앤더스 에릭슨(K. Anders Ericsson)의 연구였다.
『제대로 연습하는 법』의 저자는 에릭슨과의 만남을 서두에서 언급하며 이야기를 시작하는데, 1만 시간의 법칙 한계와 개선 방안을 언급하는 부분이 인상 깊다. 책이 마지막 부분에서 핵심을 다시 정리해 주는데 다음과 같다.
<숙달의 다섯 가지 원칙>
의지 : 숙달의 경지를 추구하는 각자의 여정에서 반드시 스스로가 좋아하는 일이 무엇인지를 숙고해야 한다. 323쪽
능력 : 누구에게든 발전시켜 나갈 만한 능력이 있다. 그 능력을 찾는 것이 숙달의 경지로 가는 길의 두 번째 열쇠다. 325쪽
기회 : 기회를 포착하려면 눈을 뜨고 있어야 한다. 327쪽
유연성 : 새로운 관점에서 새롭고 놀라운 결과물이 나올 수도 있다. 일단 그렇게 변화를 주었다면, 어떤 일들이 벌어지는지 지켜보는 것이 중요하다. 328쪽
명료성 : 명료성은 가장 어려운 원칙이다. 스스로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물어야 하기 때문이다. 329쪽
<어렵지만 도전해 볼 만한 책>
『제대로 연습하는 법』은 어렵다. 제목만 보고 자기계발서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전문 용어도 많이 등장하고 문체가 딱딱해서 쉽게 읽을 수 있는 책은 아니다. 독자에 따라선 대학 교재를 읽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겠다. 하지만 그런 고생을 하면서도 한 번쯤 볼만한 책이다.
우리는 '어떤 일'을 잘 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 그런데 막연하게 열심히 해선 결코 실력이 늘지 않는다. 이 책은 바로 그 부분을 깊이 파고들어 다양한 사례를 통해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1만 시간의 법칙에 대한 최신 연구라는 점에서도 의미 있다.
나는 이 책 덕에 2025년 계획을 더 정밀하게 손볼 수 있었다. 글쓰기 관련 책을 읽고 내게 도움 될만한 책을 읽고 공부하고 정리하면 성장할 거라는 막연한 기대를 전면 수정했다. 얼마나 효과를 볼지는 미지수다. 하지만 책이란 게 원래 그렇다. 저자가 주장한 '숙달의 다섯 가지 원칙' 중 4번째에 괜히 유연함이 있는 게 아니다. 올 연말 한 해를 복기하며 『제대로 연습하는 법』이 얼마나 효과를 보았는지 다시 펼쳐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