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雖不常勝 而恒上昇
  • 사랑과 경제의 로고스 - 물신 숭배의 허구와 대안
  • 나카자와 신이치
  • 9,000원 (10%500)
  • 2004-08-09
  • : 2,180

 순수증여가 가져다주는 것과 마주하게 되었을 때, 인간은 그것을 자신의 '지'의 영역으로 받아들여서, 숲의 하우와의 사이에 마치 증여의 순환이 발생이라도 하는 것처럼 이해하려고 합니다... 증여와 순수증여 사이에 서로 겹치는 부분이 발생한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겁니다. 증여의 원리가 순수증여와 접촉할 때마다 거기서부터 영력의 증식이 일어난다는 생각입니다... '순수증여'란 '자연'의 별칭인 셈입니다. _ <사랑과 경제의 로고스>, p72


 증여와 순수증여 그리고 교환. 저자는 <사랑과 경제의 로고스>에서 '보로메오의 매듭'을 통해 우리가 잃어버린 가치와 회복해야 할 정신에 대해 말한다. 교환의 매개체인 상품을 통해서는 아무런 가치가 발생하지 않는다. 화폐-상품의 1:1 대응이 교환이라면, 증여는 사람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호혜성'이며, 순수증여는 모든 것이 존재할 수 있도록 하는 일방적인 '베풂'이다. 저자는 현대사회가 이기적인 교환관계에만 관심을 갖기 때문에 수탈-착취의 악순환이 일어났다고 보고, 사람들 상호간의 존중과 배려, 더 나아가 이 모든 것이 생겨난 근원으로 눈을 돌릴 것을 강조한다.


 노동의 증여와 순수증여를 하는 대지의 힘이 서로 만나서 뒤섞이는 부분에 '순생산'은 출현합니다. 인간의 섬세한 기술을 바탕으로 한 노동을 받음으로 해서 대지라고 하는 신체는 기뻐하고 열락悅樂을 느끼며, 바로 그때 증식이 일어나고 진정한 잉여가치가 발생합니다. _ <사랑과 경제의 로고스>, p145


 저자는 사람의 노동력과 자연이 만나는 곳에서 순생산이 발생하고, 이로부터 잉여가치가 발생한다고 설명한다. 본문에서 잉여가치가 소비되는 '교환'의 세계가 아니라, 가치를 유통하는 '증여'의 세계와 이를 생산하는 '순수증여'에 힘이 실리는 것은  바로 저자의 관심이 비대칭적 문명(文明)을 넘어선 대칭적 문화(文化)로의 복귀 때문이 아닐까. 이런 면에서 마르셀 모스의 <증여론>이 문명의 경제학이라면, 나카자와 신이치의 경제론은 문화의 경제학이며, 사랑의 경제학으로 정리할 수 있겠다...

증여 중심의 경제에 바탕한 사회의 사람들은. ‘물‘의 이동에 의해 눈에 보이지 않는 ‘영혼‘의 힘이 활성화되고, 인간 사회와 자연을 끌어들여 힘찬 유동을 일으킨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교환에서는 증여에서 활동하던 인격성의 힘이나 영력 같은 것이 전부 억압을 받고, 배제 당하고 제거되어 버립니다.- P53
우리는 중요한 결론에 도달하게 됩니다. 국가와 화폐는 신석기 시대의 특징이 남아 있던 사회에 혁명적인 변화를 초래한, 인류의 마음의 구조의 변화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서, 그 본질이 완전히 똑같다는 결론입니다.- P118
농업에는 사람들에게서 예술적, 종교적 표현을 유도해내는 힘이 감추어져 있는 듯합니다. 게다가 거기에는 증여의 원리의 극학에 출현하는 순수증여의 원리를 분명한 이미지로서 조형하는 능력도 내재되어 있습니다... 거기서부터 한 발 더 안으로 들어가서, ‘대지‘ 나 ‘자연‘을 신의 활동의 표현으로 간주하게 되면, 어김없이 종교적 사고가 시작됩니다. 그러나 그 직전 상태에서 계속 멈춰 있으면, 예술의 창조가 가능해집니다.- P142
성령과 순수증여의 작용은 참으로 흡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성령이 사람의 내부에서 격렬하게 움직이기 시작하면, 그 사람은 마치 뭔가에 홀린 듯이, 정신적인 흥분상태를 경험하게 됩니다. 그와 마찬가지로 물질적인 세계에서 순수증여의 힘이 격렬하게 움직이면, 그 힘이 교환이나 증여의 원리와 접촉하는 경계 영역에서 순생산이나 자본의 형태로 격렬한 증식운동이 일어납니다. 그렇게 되면 영적인 세계에서는 풍부한 정신성이 실현되고, 현실의 물질적 세계에서는 풍요로운 부의 증식이 일어나는 병행현상이 나타나게 되겠지요.- P185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