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연의에게 들려주는 책 이야기
  • 시사IN(시사인) 제920호 : 2025.05.06
  • 시사IN 편집국
  • 4,750원 (5%150)
  • 2025-04-25
  • : 1,740

그에 동의하건 동의하지 않건, 민주당 안에서도 비주류였던, "선동가의 뜨거운 피와 행정가의 차가운 성과주의가 아무렇지도 않게 공존(<시사IN> 제427호‘이재명이라는 빛과 그림자‘ 기사 참조)"
하는 이재명은 어느덧 한국 사회의 가장영향력 있는 정치인이 되었다. 그의 행복과 시민들의 행복은 일치할까. 앞으로 검증되어야 할 일이다.- P13
한 지방법원 판사는 "조희대 대법원장이 취임 이후 선거법 사건에서 ‘6.3.3원칙(1심 6개월, 2·3심은 3개월 안에 마쳐야 한다는 강행규정. 그간 훈시규정으로 받아들여졌다)을 지키자고 강조해온 걸 고려하면, 심리를 서두르는 것이 정무적 판단이라고 하기에는 조심스럽다. 대법원장의 재판 지휘권은 존중해야 하는것도 맞다. 문제는 그렇게 이례적으로 집중 심리된 선거법 사건이 이재명 사건 말고 또 있느냐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사건 자체가 이례적이긴 해도, 외관상 공정하지 않다는 비판을 피하기는 어렵다는 취지다.- P14
주주자본주의와 적극적 산업정책은 양립 불가능하다. 주주들은 결국 ‘기업에서 현금을 얼마나 많이 빼낼 수 있을 것인가‘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 미국만 해도1980년대 초까지는 자사주 매입 규모가크지 않았다. 자사주 매입으로 주가를 올리는 기업도 흔치 않았다. 그러나 이후 40년 동안 주주환원이 엄청나게 늘어나면서 투자를 못하게 되고 결국 제조업의 불모지로 전락하고 말았다.- P20
 유가족의 강력한 의지와 수많은시민들의 참여로 특별법을 제정해내고 새로운 기구를 출범시킨 세월호 참사 진상조사 과정은 한국 사회에 굉장히 놀라운 경험이었다. ‘우리가 이것만은 알아야겠다, 규명해내고야 말겠다‘는 사회적 의지를 보여줬다. 그러나 그렇게 만들어진 기회를 어떻게 소모했는가는 반면교사로삼을 필요가 있다. 무엇을 밝힐 것인가.- P32
A리사 팰트먼 배럿의 <이토록 뜻밖의 뇌과학>에 따르면 인간의 뇌는 외부의 감각 입력에 따라 반응하는 컴퓨터 같은 기계가 아니다. 뇌는 끊임없이 미래를 예측하여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를 계산한다. 예측이 먼저이다 보니 감각이 오기도 전에 몸이 반응하기도 한다. - P54
모든 나라의 법에는 그 법을 지탱하는 기본 정신 내지 법이 지향하는 가치가 있다. 대부분의 근대국가에서는 개인(시민)의 자유·권리·인권을 핵심가치에 두고 법이 만들어지며 법은 그것을 보호한다. 반면 나치의 법은
‘공동체의 통합‘, 좀 더 엄밀하게는 독일민족(인종)의 일치와 독일 민족의 정점에 있는 지도자(총통)에 대한 충성과 복종을 핵심 가치로 둔다. 나치- P61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