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은 잘못되었다고 확실히 선을 긋든 ‘오죽하면‘이라며 옹호하든, 이날 모인 윤석열 탄핵 반대론자들은 공통된 하나의 정서를 공유하고 있었다. 민주당의 어떤 지점들이 반감을 불러일으켰고, 그것이 사회에 대한 자신의 믿음, 나아가서는 공동체의 체제 자체를 공격한다고까지느꼈다는 점이다.- P9
힘의 우위가 바뀌었고, 자신이 속한 집단이 ‘역차별‘을 받고 있다는 체감은 곳곳에서 감지된다. 그렇게 서로 별 연관이 없어 보이는 군 가산점제 폐지와 서부지법 사태로 촉발된 2030 남성 극우화 담론, 사전투표에 대한 반감이 ‘정치적 소수파‘라는 정체성 아래 어지럽게 뒤틀려 나타났다. - P12
이런 상황에서 만약 윤석열 탄핵이 인용되어 조기 대선이 치러진다면 국민의힘에겐 곤란한 문제가 생긴다. 국민의힘 강성 지지층과, 선거 승리에 중요하다고 간주되는 중도층 사이의 간극이다. 국민의힘 대선후보를 정하는 경선에서 이간극이 시험대에 들 가능성이 높다.- P15
미국 민주주의의 비극은 지난 4년간 천천히 진행되어왔지만, 한국은 이제 시작이다. 반민주적 규범이라는 나무가 자라기 시작했고, 그 자양분이 무엇일지에대한 단서도 보인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아직 그 나무의 뿌리가 깊지 않다는 사실이다. 보수 진영에서 누가 주도권을 잡느냐에 따라, 비극이 얼마나 오래갈지 정해질 것이다. - P21
한국의 극우파는 ‘어떤 권리‘를 ‘누구에게‘ 빼앗기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그들은 ‘진보‘에게 ‘다수파의 지위를 빼앗겼다. 이것은 짧게는 1987년 민주화 이후 처음으로, 길게 보면 박정희 개발독재가 한국의 보수 주류를 형성한 이후 처음으로 일어난 일이다. 정권 한두 번 빼앗긴 것과는 아예 차원이 다른 얘기다.- P29
물론 제도가 개선되어도 반인권적인 생각을 가진 사람이 인권위원으로 올 위험은 언제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권위는 계속 존재해야 할까? 남규선 위원은 ‘그렇다‘고 말한다. 비록 강제성이 없을지라도 인권위의 권고는 한국 사회에서 최소한의 기준점이 돼왔기 때문이다. - P44
일본의 북한 참여로 북한 개방이 이뤄지면 좋은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김대중 정부처럼 남북이 주도하고 일본이 힘을 보탤 때의 얘기다. 윤석열 정권 내내 한국에 악감정을 키워온 북한과 남북을 갈라치기할 기회를 노려온 일본이 공조하는 체제라면 얘기가 달라진다.- P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