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 낳기가 망설여지는 게 육아의 고단함이 두려워서는 아니다. 아이 한 명을 낳아 성인이 되기까지 키우는 데 들어가는 비용이 1인당 평균 2억 6천이라던가? 너무나 큰 액수여서 상상조차 되지 않는 억! 소리 나는 금액에 벌써부터 심장이 후덜덜 소리를 낸다. 그런데 어쩌면 그 억 소리 나는 금액은 양육에 필요한 최소한의 기본 비용만 계산되어 있을지도 모르겠다. 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함과 동시에 대학을 졸업할 때까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교육'이라는 비용을 계산하면 양육비는 그보다 훨씬 높아질 것이다.
나는 어릴 때 분명 학원에도 다니지 않았고 하루종일 사교육에 시달린 적도 없다. 물론 그래서 내가 이 모양일 수도 있지만;; 당시 반에서 일등, 전교에서 일등 한다는 아이들도 지금처럼 극심하게 사교육을 받지는 않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때는 대부분 그랬다. 하지만 지금은 사교육 없이는 절대 좋은 성적을 받을 수도, 좋은 대학에 갈 수도 없다고들 말한다. 출산율도 낮아지고 학생 수도 줄었지만 교육의 혜택이 개인의 인생을 크게 좌우한다는 사실을 경험으로 깨달은 엄마들이 사교육의 힘을 빌어서라도 자녀를 좀 더 우수한 인재로 키우고 싶어하기 때문일 것이다.
수능만 끝나면 우수한 성적을 받은 학생들이 "교과서와 수업에만 충실했어요. 학원은 다니지 않았어요."라는 말이 분명히 뻥이라고 생각했다. 저렇게들 치열하게 경쟁하고 학원과 과외로 무장한 아이들을 교과서와 학교 수업만으로 물리쳤다고? 그저 준비된 멘트라고만 생각하고 흘려버렸다. 그런데 이 책을 보면서 나는 내 눈을 의심했다. 한글도 제대로 몰랐던 아이가 지금 전교 1등을 한다고? 정말?
갑작스런 사업 부도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아들의 공부를 제대로 봐줄 길이 없었던 엄마는 초등학교 5학년이 다 되도록 아이를 그저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공부를 하나하나 챙기기에는 사는 게 너무 고되고 바빴다. 당장 먹고 살 길이 막막한데, 사교육은 꿈도 꿔볼 수 없었다. 하지만 그렇게 마냥 아이를 바보로 만들수는 없다는 위기감이 엄마를 움직였다. 직접 공부를 해서 아이를 가르치기로 결심한 것이다.
설마 정말 엄마가 아이를 가르쳐서 꼴찌였던 아이가 1등이 되었을까? 읽는 내내 의심을 버리지 못했다. 기초도 전혀 없었고 받아쓰기 점수는 늘 바닥이었고, 그저 마냥 놀기만 했던 아이는 공부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 자체가 어렵다. (그래, 내가 그랬다;;; 공부는 습관이 반이더라;;;) 그런데 어떻게 선생님도 아닌 엄마가 아이를 책상 앞에 앉게 했을까.
물론 그 배경에는 눈물없인 볼 수 없는 엄마의 피나는 노력과 관심, 그리고 아이의 의지가 있었다. 물론 아이가 공부하고자 하는 의지는 저절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엄마의 노력에 의해 이끌어진 것이었다. 사실 첫장부터 순간순간 가슴이 먹먹해지고 안타까워서 몇 번이나 숨을 골랐다. 가정 형편이 하루 아침에 무너지는 것을 견디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아프고 힘들었을 엄마가 방치된 아이를 보면서 흘렸을 수많은 눈물들이 보였다. 공부할 애가 아니라며 쓸데없는 짓 말라고 책을 던졌던 남편을 보면서 어떻게 이 정도 노력도 없이 아이가 공부를 잘하길 바라냐고 하는 그 엄마의 마음. 오랜 죄책감과 책임감이 아이를 놓지 않게 만든 힘이었을 것이다.
이 책은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고 자녀 교육하기' 수기 공모전에서 입상한 사례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서, 말 그대로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고도 얼마든지 우등생 자녀로 키워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돈이 없어서 어쩔 수 없이 택한 길이었지만, 또한 누구나 쉽게 동참하기 어려운 길이지만, '공부'라는 것이 반드시 돈이라는 물질적 투자가 필수조건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결국 아이의 공부에 필요한 것은 돈이 아니라 엄마의 세심한 관심이라는 걸, 이 위대한 엄마는 온몸으로 보여준다. 신경쓸 것도 많고, 사는 게 바빠서 사교육이라는 간단한 길을 택한 엄마들에게, 조금이라도 더 가르쳐서 남들보다 우수한 아이가 되기를 바라는 엄마들에게, 너무 빨리 아이의 공부를 포기해버린 엄마들에게, 일독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