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전체보기

알라딘

서재
장바구니
weekly님의 서재


요즘 다시 로저 워터스의 음악을 듣는다. 계기는 물론 이스라엘-하마스 사태이다. 들으면서 생각한다. 음악이란 얼마나 무력한가? 사상이란 얼마나 무력한가? 모던이란 무엇인가? 모던의 조건이란 무엇인가? 이런 질문들이란 얼마나 부질없는 것인가? 우리는 아직 전사pre-history의 시대를 살고 있는 것 아닌가? 


하마스는 분리 장벽을 넘어 이스라엘 마을에 침투해 살육을 벌였다. 그들이 노리는 것은 무엇인가? 하마스가 조잡한 로켓포로 죽일 수 있는 이스라엘 사람들의 수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그리고 곧바로 이스라엘 폭격기에 수십배, 백배 보복을 당하는 일이 되풀이되었다. 그래서 하마스는 이스라엘 땅에 직접 침투해 가능한 많은 사람을 죽이려 한 것이다. 그들은 자신들이 살고 있는 지옥을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싶었을 것이다. 야만과 문명을 가르는 장벽은 거기에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 이번 사태가 그것을 또렷하게 보여준다. 사람들은 이번 사태를 911만큼이나 충격적이라고 말한다. 나의 평화로운 일상이 이토록 쉽게 야만적 행위들에 처참하게 유린될 수 있다는 현실 앞에서의 충격? 아니다. 그것은 나의 문명적인 일상이 어마어마한 폭력(야만적 폭력)에 기초하고 있다는 현실에 대한 자각에 기초하고 있는 것이다. 나는 단지 그 폭력에 있어 수혜자였을 뿐... 그 적나라한 폭력을 가리기 위해, 우리는 장벽을 치고, 화장을 하고, 재즈를 듣고, 고결한 철학 책을 읽는다. 그리고 우리 스스로를 문명인이라 부른다. 그러나 근원적 폭력에 기초해 있는 삶의 양태를 우리는 문명이라 부르지 않을 것이다. 아니 뭐라 부르건 상관은 없다. 우리의 시대가 이전 시대와 다름없이 폭력에 기초해 있다는 사실은 쉽게 긍정될 것이기 때문이다. 근원적 폭력에 기초해 있다는 말은, 우리의 시대가 희소성의 원칙에 지배되고 있다는 말과 같다. 나는 갑자기, 십 몇년 전에 읽은, 우리가 근대인이었던 적은 한번도 없다, 라는 어떤 책의 테제에 찬동하게 된다. 나는 갑자기 포스트모던의 조건이 아니라 모던의 조건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된다. 이스라엘은 천 명의 이스라엘 사망자에 대해 십 만명의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목숨을 요구할 것이다. 21세기가 이를 감당할 수 있을까? 우리는 결코 근대인인 적이 없다는 테제를 21세기의 문명 국가들이 순순히 인정할 수 있을까?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