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전체보기

알라딘

서재
장바구니
하양/ 까망/ 빨강
  • 빛 속으로
  • 김사량
  • 15,750원 (10%870)
  • 2021-08-15
  • : 2,057
경계인이 쓴 글은 항상 아프다. 그것도 같은 식민지 출신이라 공감 포인트가 많은 경계인이 쓴 글이라 더 아프게 느껴진다. 녹색광선에서 새로 낸 <빛 속으로>에는 김석희 Seokhee Kim 님 번역으로 김사량의 단편 4편 <빛 속으로>, <천마>, <풀이 깊다>, <노마만리>이 실려있다. 한국인이 쓴 소설인데 번역이 필요하다니, 참으로 씁쓸한 지점이 있다. 일본어로 글을 쓴 식민지 조선인의 글이기 때문이다. 언어 전공자로서 주류 언어를 보며 느끼는 이율배반이 있기는 하다. 내가 사랑하는 언어와 문화이지만, 그 언어의 기반에 제국주의가 있다는 것을 결코 모른 척 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학부 시절에 영문학 원서를 읽다보면 가끔 제국주의 문학을 한다고 뭐라하고 지나가는 선배가 있었다. 그럴 때면 볼멘 소리로 '아름다운 걸 어쩌라고." 그렇게 투덜거리곤 했다. 정의와 아름다움은 왜 때로 서로를 척살하는 걸까 싶다. "조선말로 쓰라고!" "미나미 선생이 아니라 남 선생이라고 하라고!" 정의를 들이대는 사람들은 그때나 지금이나 참으로 많다. ㅎㅎ <천마>를 보자니 평론가나 학계 관계자나 미의 기준을 정하는 이들은 죄다 일본인이거나 일본의 권위를 빌려온 (일본물을 먹은) 사람들인 세상에서, 주인공 현룡은 사람들의 허위에 기생하는 기생충같은 인물이다. 일본에서는 조선에서온 불우한 천재 작가인 척을 해서 일본인들의 호의에 빌붙어 살아가고, 한국에서는 일본에서 인정받은 유망한 작가인 척을 해서 문단에 혹은 문단을 동경하는 이들에 빌붙어 살아가는 인물인데, 조선말로 쓰라는 밥줄 끊기는 소리를 들으면 웃어야지 어쩌겠나. 주인공은 문단에서 리플리가 되기가 너무도 쉽다는 것을 알고 사람들의 허위와 동경을 먹고사는 자인데 말이지. 뼈저린 점은, 정작 일본에서 공부하고 일본어로 글을 쓰는 작가인 저자김사량의 시선이다. 한일 양쪽 문단의 허위와 가식에 기생하는 주인공에 작가의 심정은 얼마나 투영되어있을지 생각해보면 착찹해지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문단을 그린 장면은 왜 이렇게 현실적이라는 생각이 드는지 모르겠다. ㅋㅋㅋ 글을 쓴다는 이름값이 엄청난 허위일 수 있는 와중에 우리는 왜 여전히 그리도 글을 쫓아다니고, (쓸데없이) 글쓰는 사람들을 동경하는가. 그런 점에서 아주 리얼하다. 지금과 별반 차이가 없다. 허위가 밥줄인 이는 그래서 끝까지 자신은 겐노가미 류노스케라고 외친다. 그게 붙들고 싶은 동앗줄인가 보다. <빛 속으로>에서는 일본에서 미나미 선생으로 불리는 남 선생이 일본-조선 혼혈인 것을 감추고, 폭력적인 아버지가 조선인 어머니를 칼부림해도 일본인이어야해서 어머니 편을 들지 못하는 (그러나 결국 어머니 앞에 찾아가는) 하루오라는 소년에게 엄청 감정이입을 하는 내용이 나온다. 결국 하루오는 미나미/ 남선생의 겪는 갈등을 극화시켜서 겪는 분신이다. 그리고 자신의 반쪽이 조센징이라서 그걸 부인하기 위해 누구보다도 열을 내며 조센징들을 놀리고 차별하는 그 심리도 잘 그려내고 있다. 하루오의 아버지가 제국주의 일본이고, 하루오의 어미니가 식민지 조선을 상징한다. 사실 일본어로 일본식 교육을 받고 자라 일본식 논리로 생각하는 식민지 청년들은 어느 정도는 다 하루오이기도 하다. 그리고 괴로운 건, 아버지의 자식이기도, 어머니의 자식이기도 한 한 사람에게 넌 어머니 자식이잖아!라고 윽박지르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 그건 마치 넌 얼마만큼 덜 하루오니?라고 묻는 것과 똑같은데 말이지. (사실 이 질문은 미나미-남 선생이 받는 질문이다.) 어느쪽 편은 참으로 명료한데, 양쪽이기도 한 내면의 하루오는 아마도 내면이 찢겨나가겠지. <풀이 깊다>에서는 색의 장려 운동과 이에 반항하는 사람들 얘기가 나온다. 흰 옷만 입던 조선인들에게 여러 색을 입으라며 먹으로 사람들 옷에 세모 네모 동그라미를 그렸다는 역사적 사실에 근거해서 산골 곳곳을 도는 일제 부역자들이 그려지고, 그 말단에서 그저 붙어 먹고 살아남느라 골골거리는 코풀이 선생의 모습이 그려진다. 그리고 색의 장려 운동에 대한 저항 중 하나로 백백교라는 사이비 종교가 어떻게 산골에서 일어났는지 (색을 강요하는 일제에 맞서느라 이름이 백백교가 된 건 몰랐다.) 그 백백교가 수백 명을 어떻게 죽였는지, 색을 강요하는 자와 색에 저항하는 자는 어떻게 다 폭력적인지, 그러다가 오로지 먹고 사는 일에만 빌빌거리며 하염없이 허리를 굽히고 찔찔거리며 코를 풀던 조선인은 백백교가 설치던 산골에 색의 장려를 하러 들어갔다가 영영 돌아오지 못했는지.....그런 얘기가 그려진다. 정의를 외치는 양쪽이 다 폭력적일 수 있다는 데에 깊이 공감한다. 그리고, 그저 코를 찔찔거리는 약자에 불과한 대다수의 사람들이 어떻게 역사에 갈려들어가는지도 안타깝다. 지금도 벌어지는 일이니까. *********백 여년 전 소설은 현대에 어떤 의미로 불러와야 하는 걸까. 김사량이 수도 없이 느꼈을 내면의 균열에 함께 슬퍼하지 않을 수가 없다. 조선과 일본과 중국, 그 어디에서도 자신의 균열을 꿰어 맞추지 못하고 여기저기 떠돌다 결국 그는 어디에도 온전히 속하지 못하고 전쟁을 벌이는 두 조국의 틈바구니에 끼어 전선에서 운명을 달리했다. 둘 사이에 끼어 죽었다. 가끔 죽는 모습이 살아온 삶을 집약한다는 생각을 할 때가 있다. 평생 일본인/ 조선인 정체성 그 틈바구니에서 균열을 일으키며 앓던 작가는 북한/남한의 균열 가운데에서 숨을 거두었다. <빛 속으로>라는 책 제목으로 돌아온다. 균열은 고통이지만 축복이기도 한다. 어두운 고통 속에 있을 때 균열의 틈을 통해 빛이 들어오기 때문이다. 이 책은 그래서 정체성의 균열을, 언어의 균열을, 허위와 현실의 균열을 치열하게 다루지만, 결국 빛은 그 균열을 통해 들어온다는 말을 하고 싶었나보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