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이 원하는 말이 쓰여 있지 않다고 해서 노작들에 대해 별점 테러를 하는 짓거리는 좀 그만했으면 좋겠다. 그게 독서인가? 서평인가? 그저 '당신이 내가 원하는 말을 하지 않았다'는 속 좁은 불평에 불과하지 않은가. 왜 저자가 그래야 하나? 저자는 당신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 글을 쓰는 사람이 아니다.
수 틀리면 빵점을 주는 시험관을 아무도 공정하다고 생각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그런 식으로 무언가에 대해 평가를 하는 이분법적인 사고방식이 굉장히 널리 퍼져 있는 것 같다. 이거 아니면 저거, 이 사람 아니면 저 사람, 여기 아니면 저기. 세상이 어디 두 가지 색만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도 아니고. 가장 그런 태도를 멀리해야 할 독서인들에게서도 이 경향을 보는 게 정말이지 역겹고 고통스럽다.
별점 제도는 정말 개선의 여지가 없는 것일까? 광고와 비슷한 형식으로 별점을 남발하는 태도도 바람직하지 않겠지만 소위 책을 읽는 사람들이 '테러'를 하는 꼴은 더 봐주지 못하겠다. 우리가 어떤 책을 평가하는 방법이 정말 이런 종류밖에는 없는 것일까? 차라리 서평 숫자나 책 소개 페이지 조회수, 그리고 이건 터무니없을 수도 있는데 서평에 실린 글자 수가 몇 개인가를 세는 게 나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아니면 가장 공정하고 깔끔하게 '판매지수'만 남기든지.
물론 이런 어처구니없는 생각만으로는 바뀌는 게 없을 것이다. 하지만 좀더 진지하게 책을 평가하는 방법을 이제 서점들도 고민하고 개발할 시점이 오지 않았나 싶다. 아무리 좋은 제도도 그걸 운용하는 사람들이 엉망이면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다. 별점 제도나 서평도 좋은 제도지만 이제는 진부하다 못해 악용되는 경우가 훨씬 많이 띄는 것 같다. 내 마음에 들지 않으니 당신은 별 한개를 받으시오. 이게 논거 없는 혐오발언과 다를 게 뭔가. 이런 걸 적절히 걸러내는 방법이란 없는 걸까. 서평을 볼 때마다 참고가 되고 감동하기는커녕 기분을 잡치는 경우만 늘어난다. 이 상황에 염증을 느끼면 그런 걸 가장 안 볼 수 있는 곳으로 옮겨 가려 하는 마음이 되는 게 당연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