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정에 걸리다]
Felice Varinie
1952년~
<바닥 쪽 모서리가 없는 노란색의 동심 직사각형들(Concentric Yellow Rectangles without Floor Corners)>
1997년, 아크릴 물감, 스위스, 수글리오 루가노, 개인 소장
펠리체 바리니의 작품을 감상하고 싶은 사람은 산책자가 되어야 한다. 바리니가 했듯이 어떤 장소를 거닐면서 작품을 발견해야 하기 때문이다. 바리니는 건물 내부나 도시 풍경이 원래 가지고 있는 형태에 그림을 더해서, 사람들이 해당 장소를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지각하도록 유도한다.
그의 그림은 공간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만들며, 관람객으로 하여금 작가의 출발점, 즉 작품이 기하학적인 형태를 드러내는 시점을 찾아 이동하도록 이끈다. 바리니는 시점을 자신의 눈높이에 따라 지면에서 정확히 162센티미터 되는 지점으로 정했다. 세상을 자기 기준에 맞추고, 관람객을 자신이 보는 광경 안으로 끌어들이는 것이다. 바리니는 자신의 시선을 구체화함으로써 우리가 세상을 직선과 곡선의 집합체, 무한히 많은 그림으로 이루어진 공간으로 바라보게 유도한다.
바리니의 작업은 배경으로 선택된 장소에 이미지를 투사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그리고 그 형태에 따라 윤곽을 그리고 색을 더한다. 그는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와 원색, 흰색과 검은색을 사용한다. 트롱프뢰유를 그리려는 게 아니라 그림의 배경이 된 공간을 다른 방식으로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코로나 모양의 아치> (특정 시점을 벗어나서 봤을 때)
2004년, 아크릴 물감, 스위스, 몬테카라소, 아우구스티누스 수도원
그림을 이루는 각각의 조각은 건축물의 세부를 새롭게 발견하게 해주고, 전체적인 그림은 도시와 건축물을 새로운 방식으로 읽게 해준다. 바리니는 이상한 형체가 우리 시야에 들어오게 함으로써 우리의 시선을 붙잡는다. 그의 작품은 3차원의 공간에 2차원의 그림이 펼쳐져 있는 것 같은 착각을 주기 때문이다. 이처럼 공간을 평평하게 만들어 보여준다는 점에서 바리니의 그림은 사진처럼 기능한다고 볼 수 있다.
게다가 바리니의 작품은 3차원의 공간에서 짧은 수명을 다한 뒤에는 사진을 통해 두 번째 인생을 시작한다. 사진은 바리니의 작품이 만들어낸 그림을 충실히 보여주는 동시에, 이 그림이 함정임을 고발한다. 관람객이 현장에서 바리니의 작품을 알아보려면 그가 파놓은 시각적 함정에 걸려들어야 한다. 정확한 형태가 드러나는 초점을 찾아낸 순간 관람객은 큰 기쁨을 맛보게 되는데, 공간에 흩어져 있던 작품을 자신이 완성한 것 같은 기분이 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각각의 감상자가 만들어내는 무한히 많은 시점 역시 의미를 지니며, 이 모든 새로운 시각이 작품을 한없이 풍요롭게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