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실히 노력해 리스크를 관리하고 가능한 한 누구에게도 폐를 끼치지 않으며 산다. 이야말로 성인이자 사회인의 자세다‘라는 규범이 너무 강고해진 나머지 무모한 도전뿐 아니라 ‘막상 해보면 쉬울 것‘ 같은 도전조차 생각만 하고 말기 쉽다.- P258
지금 우리가 사는 세계는 ‘안심‘, ‘안전‘을 부르짖으며 미래를 예측 가능하게 만들고 리스크를 줄여야 한다는 사고방식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이런 사고방식은 ‘준다는 확약 없이는 줄 수 없는‘ 사회적 관습을 강화하고 ‘빌려준 것‘과 ‘빌린 것‘을 즉시 청산하려는 태도를 낳는다.- P259
홍콩의 탄자니아인들은 조합 활동에 대한 실질적인 공헌도나 궁지에 몰린 원인을 묻지 않고, 조합원 자격이나 타자를 도울 때에 관한 세세한 규칙을 명확히 만들지않고, 그저 타자가 필요로 하는 지원에 응할 것인지 말 것인지만을 판단한다.- P261
스스로 무엇이든 해낼 수 있는 인간, 완벽한 인간이 되게끔 노력해서 자신의 가능성에 베팅하거나 또는 가치관과 자질이 서로 비슷한 동질적인 소수와 깊은 관계를 맺고 이에 따른 호수성 및 응답할 의무에 확실히 응답해가는 대신에, 능력, 자질, 선악의 기준, 인간성이 다른 사람들과 가능한 한 많이 느슨하게 연결되고 타자의 다양성이 만들어내는 ‘우발적인 응답‘의 가능성에 베팅하는 것은 ‘이질성과 유동성이 높고 누가 응답해줄지 모르는‘ 상황에서는 불합리한 전략이 아니다. 어떤 일이든 나름대로 해내는 제너럴리스트인 동시에 어떤 인간과도 나름대로 함께 헤쳐나갈 수 있는 제너럴리스트가 되어 불확실한 세계를 살아나가는 것이다.- P264
홍콩의 탄자니아인들은 유휴 자원이나 자투리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겠다는 목적 지향적인 경제 논리로 ‘겸사겸사‘를 조직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이들이 ‘겸사겸사‘, ‘무리하지 않는 것‘을 강조하는 이유는, 그것이 주는 사람이 유효하게 써먹을 수 있는 ‘낭비‘이기 때문이 아니라, 그 ‘대단치 않음‘이야말로 각자의 인생을 찾아 홍콩에 와서 각자의 방식대로 살아가는 개별 인간의 자율성, 서로 간의 대등함을 저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P267
단, ‘저 사람은 분명 나를 좋아한다‘는 행복한 확신을 인생에서 반복해서 얻으려면 사람들의 우발적인 욕망이나 욕구가 완벽하게 매칭될 수 있는 시스템이 아니라 때때로 버그나 에러가 일어나는 불완전한 시스템이 좋을지도 모르겠다.- P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