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쿠데타는 보통 정권 탈취의 목적으로 불법적인 방법을 동원하는 행위라고 알고 있는데 우리 현대사에서 5.16 군사 쿠데타나 12.12 사태 등에 해당된다. 이때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합법 정부를 군대를 이용해서 불법 강압적으로 타파하고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 시키려고 했다. 이때 만들어진 정부를 우리는 군사 정부라고 부르곤 했다. 그렇다면 과거 우리 역사 중에서 고대사에는 어떤 쿠데타가 있었을까. 이 책은 그런 의문을 종합적으로 잘 풀어주는 내용이다.
책은 우선 위만 조선을 설명한다. 위만 조선은 고조선을 이은 나라인데 우리 역사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정변, 즉 쿠데타이다. 위만은 그 정체가 불분명했는데 대략 만주 쪽에 살던 조선계 인물인 것으로 추정한다. 책은 그의 정체성을 설명하면서 당시의 정세와 여러 자료를 종합해서 조선 출신으로 이야기하는데 설득력이 있다. 그가 중국 출신의 외국인이었다면 그렇게 쉽게 정변을 일으키진 못했을 것이다.
당시 고조선의 왕이었던 준왕은 그가 같은 조선계라는 것을 믿고 북방을 지키는 임무를 주면서 받아들였다. 책은 위만이 고조선으로 건너오게 된 여러가지 상황과 그것을 바탕으로 큰 세력을 만들어 결국 정변을 일으킨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정변이 일어났지만 나라를 교체 한 것이 아니라 왕이 교체된 것이라서 국호도 같고 대내외적인 변동도 적었던 것이다. 아무튼 위만의 집권으로 고조선은 더 팽창하게 되었고 그것은 나중 한 무제에 이르러 당대 최강의 제국과 충돌하게 된다.
고구려는 수 백 년 역사 중에 대략 16건 정도의 정변이 기록되는데 전기에 11건, 후기에 5건이 확인된다. 전기에 많은 이유는 나라가 정립되어 가면서 왕위 계승에 관한 여러 충돌이 있었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형제 상속이었는데 이것이 장자 상속으로 정착되어가는 와중에 일어난 일들이 많다. 후기는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왕권이 안정되어 있어서 주로 귀족 세력들의 정변이 많이 일어났다.
책에서는 차대왕의 정변을 통해서 초기의 여러 정변의 성격을 설명하고 당시의 왕위 계승의 원칙을 이야기 한다. 고구려 최후의 정변은 연개소문이 영류왕을 시해하고 보장왕을 옹립한 후 정권을 장악한 사건이다. 연개소문의 사실상 독재였는데 이것이 당의 침략을 막는 강력한 힘이 되었지만 그의 사후 권력의 공백기에 일어난 분열은 결국 나라를 망하게 되는 결과를 맺게 된다.
백제는 일본 서기에 교차 검증할 자료가 남아 있어서 그것을 바탕으로 정변을 설명하고 있는데 초기에는 역시 왕위 계승과 관련된 것들이 많다. 백제의 초기 왕계는 언뜻 보면 상당히 비합리적이라서 이해하기가 어렵다. 초고계가 몇 대 왕위를 이어가다가 고이계가 이어가고 또 다시 초고계가 이어진다. 이것은 온조와 비류의 두 건국 세력의 상황이 왕위 계승과 연관이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백제는 역사서가 고구려보다 더 적어서 여러가지로 해석하기가 쉽지가 않다.
신라는 상대와 하대에 정변이 많이 일어났는데 상대는 박,석,김 세 성씨 세력의 교체로 인해 여러 정변이 일어났고 왕위가 어느 정도 확립이 되다가 진지왕의 폐위로 한 차례 고비를 맞게 되지만 이른바 성골 왕위가 끝나고 무열왕의 진골계가 왕위를 잇게 됨으로써 삼국을 통일하고 왕권이 안정되면서 큰 정변은 없었는데 하대로 가면서 쿠데타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이것은 그만큼 왕권이 약해지고 왕위 계승에 대한 원칙도 권위도 무너진 탓이다. 누구나 왕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으니 자주 정변이 일어난 것이다.
신라 하대는 155년 동안 13차례의 쿠데타가 일어나고 그 중에서 4건이 성공한다. 그리고 쿠데타에 성공한 세력은 당과의 외교 교섭에 집중하는데 그것은 정권 교체의 국제적인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다. 책에서는 당과의 외교가 어떻게 진행되고 당에서는 어떤 식으로 반응 했는지 잘 알려주고 있다. 정변이 자주 일어난다는 것은 그만큼 정권이 불안한 것이고 지방 통제력이 약해지게 된다는 것을 뜻한다. 이것은 결국 각 지역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국가들이 나타나게 되고 신라는 멸망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이밖에 마지막으로 발해에 대해서도 이야기 한다. 사실 발해는 역사서가 많지 않아서 더 분석하기가 어려웠지만 최근의 고고학적인 성과를 반영해서 여러 번의 정변에 대해서 나름의 해석을 하고 있어서 당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책은 어렵다. 한 명이 쓴 책이 아니라 여러 학자들의 논문을 실은 책이라서 책을 읽기 전부터 짐작하긴 했지만 생각보다 읽기 어렵다. 이 책은 '눈문 모음집' 이지 '역사 교양서'가 아니다. 관련되는 역사적 지식이 많아야 본문 내용을 이해할 수 있기에 보통 사람들이 접근하기에 어렵다. 좋은 주제의 책인데 좀 더 쉽게 쓰고 관련 자료를 많이 넣어서 책을 만들었으면 좋았을텐데 그냥 논문만 모은 수준이라서 상당히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