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여행의 장점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내 생각에 가장 가치 있는 것은 '생각의 폭과 넓이'가 커진다는 점이다. 물론 여행지에서 맛있는 것만 기억할 수도 있긴 하지만 그냥 큰 목적 없이 내가 사는 곳을 벗어나 색다른 공간에 가면 뭔가 느끼는 것이 있는 경우가 많다. 매일 매일 똑 같은 길로 가다가 다른 길로 가면 그만큼 긴장감도 있고 때론 더 멋진 것을 볼 수도 있다. 그동안 쌓였던 여러 스트레스나 고민을 풀기도 한다. 그래서 옛날부터 여행 가라는 말들을 많이 한 것 같다.
이 책의 지은이 '베리 로페즈'는 삶이 참 다채로운 사람이다. 여러 지역을 오가면서 자랐고 글쓰기와 사진, 연극을 공부했는데 인간을 중심으로 한 글들을 발표 한 것 보면 기본적으로 글을 쓰는 사람 같다. 그리고 사진작가, 화가, 음악가, 극작가, 환경 운동가, 과학자 등 여러 분야의 사람들과 교류하면서 공동 작업도 많이 했는데 이 사람을 나타내는 가장 큰 수식어는 '여행가' 이지 싶다. 평생 약 일흔 개 나라를 여행했다고 하는데 사람들이 잘 안 찾고 척박하면서 외진 곳을 많이 가면서 거기에서 깨닫게 된 여러 사유의 글들을 책으로 많이 펴냈다. 그래서 지은이는 '글 잘 쓰는 여행가'가 아닐까 싶다.
이 책은 생전 마지막으로 펴낸 장편 논픽션으로 북태평양 동부, 캐나다 북극권, 갈라파고스 제도,아프리카 케냐, 호주, 남극 등 여러 대륙을 횡단하면서 거기에서 느낀 여러 생각들을 적은 내용인데 단순한 여행기라기 보다는 여행을 통한 깊이 있는 사유의 이야기를 쓴 글이다.
사실 처음 들어보는 작가이긴 했지만 책을 읽어가면서 참 대단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같은 것을 보고도 깊이 있는 통찰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이 많은데 지은이는 다른 사람이 느끼지 못한 것을 알려주고 있어서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인간에 대한 생각을 다른 시각에서 느끼게 한다. 아마 오랫동안 여행을 하고 글을 쓰고 사람을 만나면서 축적된 경험과 배움이 합쳐져서 넓은 바다 같은 이야기를 쓴 것이 아닐까 싶다.
책의 앞 부분은 지은이의 일생을 소개하고 있다. 일종의 자서전인데 이 부분이 왜 필요할까 싶은데 뒤에 나오는 글들을 보면 아 이 사람의 인생이 이랬기 때문에 이런 글을 쓸 수 있었겠구나 싶다. 어릴 때부터 만났던 여러 인연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경험을 쌓았고 이것이 결국 수 많은 나라를 여행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지 않았나 싶다. 그렇게 쌓인 것들이 지평선 너머의 현상에 울림 있는 깨달음을 얻게 된 것 같다.
책은 여러 지역을 여행한 이야기를 쓰고 있는데 처음에 '파울웨더곶' 을 소개한다. 이 곳은 북아메리카 서부에 위치한 해안인데 북태평양에서 보자면 동부 연안이다. 제임스 쿡이 세계 일주 항해 당시 처음으로 북아메리카 서해안에 도착했을 때 상륙한 곳이라고 한다. 제임스 쿡은 영국의 군인이자 탐험가로 태평양의 남쪽 끝에서 북쪽 끝까지 탐험한 사람이다. 지은이는 이 제임스 쿡의 이야기를 이끌어내면서 그의 사상에 대해서 논평을 길게 한다. 그러다가 바다의 여러 생물에 대해서 이야기 하기도 하고 어느 순간 자연스럽게 허블 망원경을 이야기하면서 망원경에서 보는 과학과 예술의 이야기도 한다. 그러다가 다시 제임스 쿡의 이야기로 돌아오고. 한마디로 의식의 흐름대로 서술한다고나 할까.
이런 식으로 여러 지역을 나타내는 소제목이 있긴 하지만 거기를 묘사한 여행기라기 보다는 그 지역에 갔다가 일어나는 여러가지 생각들을 종횡무진으로 이야기 하고 있다. 살아오면서 여러 분야의 사람들과 교류 혹은 공동 작업을 하고 여러 책들을 읽고 또 많은 지역들을 여행하면서 많은 지식과 성찰이 쌓였기에 많은 생각들이 글로 나타나는 것 같다. 머리 속에 말하고 싶은 주제는 10개인데 입은 하나인 형국이라고 해야 하나. 그래도 글이 자연스럽게 이어지고 있어서 어느 순간 주제가 바뀌어도 잘 읽을 수 있었다.
처음에 좀 다양한 관점에서 보는 여행기인줄 알았는데 책을 읽다 보면 지구라는 곳에 살면서 생각해보지 못한 여러 관점의 감각을 일깨우는 일종의 인문학적 여행기라는 생각이 들었다. 특정한 지역을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그 지역에 연결된 여러가지 이야기들을 여러 학문의 입장에서 알 수 있게 이야기하고 있어서 종합인문서를 읽는 듯한 느낌이 들게 한다.
책은 900쪽이 넘는 방대한 분량이다. 글이 어렵지는 않지만 한번에 읽기 쉽지 않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소제목을 보고 끌리는 부분부터 읽어도 될 만큼 각 장이 독립적이면서 시간과 공간이 다양하다. 시간을 들여서 천천히 읽으면 더 좋을 책. 인간과 지구에 대한 시각을 더 넓게 해주는 역작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