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에는 형벌을 형벌이 아니게 하는 세 가지 순간이나온다. 그중 특히 마지막 순간, "또 한차례 그 바위를짊어지고 오르기 위해 / 천천히 산을 내려갈 때 / 주변풍경이 주는 짧지만 깊은 위로"의 순간은 특별하다. 이시간에 내가 주로 한 일이 책을 읽거나 자연 속에 들어가는것이었다. 나에게 주는 선물 같은 시간이었다. 내 노동 말고, 내 짐 말고, 내 압박감, 긴장감 말고 다른 것에 빠져보고, 내 내면 말고 다른 세상이 펼쳐지는 것을 발견하는 시간이기 때문에 선물이었다. 빛의 일렁거림이나 꽃의 하늘거림 같은것에 눈길을 주고 있으면 지친 와중에도 행복했다. 나는 늘 책을 읽거나 뭔가를 바라보고 있으니, 늘 나 자신에게 선물을 주고 있는 셈이다.- P11
책을 읽다 보면 ‘선물 같은‘ 생각 하나, 문장 하나가떠오르기도 한다. 우연히 마주친 책의 한 구절, 시한 소절, 얼핏 떠오른 생각 하나, 사랑의 말 한마디. 이런 것들이 대체무엇이길래 그렇게 소중하게 느껴지는 것일까? 마음을 뒤흔드는 이 덧없는 것들의 정체는 무엇일까? 그것들이무엇이길래 감동을 받고 조금 더 잘해야겠다, 이겨내야겠다.
다짐하게 하는 것일까? 그것들이 무엇이길래 어떻게든삶으로 바꾸려고 하는 것일까?
그 짧은 휴식 시간에 많은 생각이 내 머리를 스쳐간다. ‘가장 좋은 생각이 나를 움직이게 하라‘ 이런 마음이 든다면, 작은 빛 하나를 들고 일어서는 것과도 같다. 휴식은 끝나도끝나지 않는 생각이, 계속 말을 거는 목소리 하나가 마음에 남을 수 있다.- P12
우리 인류가 옛날에도 좋아했고 앞으로도 좋아할 것이 많다. 나는 머리 위로 커다란 구름이 지나갈 때의 인간의 모습이 좋고 꽃그늘 아래 있는 인간의 모습이 좋다. 햇살이 좋은 날 사랑하는 사람이랑 빛을 쬐는 인간의 모습이 좋다. 강물에 손을 담그고 빛을 바라보는 인간의 모습이 좋다. 커다란 느티나무 아래 모여 있는 인간의 모습이 좋고새들이 새끼를 품고 있는 둥지가 숨겨져 있는 절벽이 좋고그 둥지를 지키려는 인간의 모습이 좋다.
나쓰메 소세키의 기도가 민들레 같은 사람이 되는 것이었다면 나는 저 멀리서 빛이 새어 나오는 숲길이고싶다. 아니, 사실은 되고 싶은 것이 너무 많다. 나는 인간의 아름다움과 영원히 함께하는 많은 것들이 되고 싶다.- P13
자아라는 것은 다름 아닌 기억의 총합이므로 동물을 사랑하면서 나의 자아도 확장되었다. 동물들은 그 고유한 아름다움으로 나를 붙잡아뒀다. 그 아름다움으로 지상의 갖가지 생명체와 세상을 바라보게 했다. 예상하지 못한 것을 사랑하게 되고 그렇게 할 수 있는 것이 세상에 아직 남아있으므로 세상은 본질적으로 자비로운 곳이다. 사랑하는 것이 늘어날수록 행복에 대한
생각이 바뀌었다. 진짜 감탄할 것이 있는 세상에서 진짜 감탄할줄 아는 인간("우와! 우와!" 한 인간으로 살 수 있으면그게 행복이고 삶의 의미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기시작한 것이다. 단순하게 말하면, 사랑하는 것들 속에 있는것이 행복이다. 전에는 한 번도 생각해본 적 없는 행복의모습이었다.- P55
그것만 바라는 것이 아니다. 위축되어 초라함에 떨지않기를, 고개를 떨구고 혼자 어둠 속에 있지 않기를, 혐오에 빠져들지 않기를, 웃음과 유머를 잃지 않기를, 너무고통받지 않기를, 힘을 잘못된 데 쓰지 않기를, 존엄성과생명을 잃지 않기를, 자신의 능력과 기쁨을 찾기를,
사랑하고 사랑받을 기회를 가지기를 진심으로 바라게되었다.
나는 사랑하는 것을 보면서, 사랑하는 것을 지키면서힘을 내는 법을 배웠다. 지금은 한 가지를 더 배우고 있다. 워즈워스의 표현을 빌리면 나는 "우리가 아는 모든 것을 사랑하는 법을 배워야" 하는 학생이다. 사랑에 빠지면 지금까지와는 다른 공기 속에 있게 되고 이 사랑은 세상을다르게 보게 만든다는 말이 있지 않은가? 나에게 일어난 일이 바로 이 일이었다. 나는 이제 고래를 만나기 이전으로 돌아가지 못한다.- P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