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전체보기

알라딘

서재
장바구니
길 위에서

봄날


날 좋다 햇빛 알갱이 다 보이네
하늘에서 해가 내려 알을 슬어놓은 듯
볕 바랜 이불호청해 냄새 난다
꺄르르 가시나들 웃음소리에
울밑에 봉선화도 발돋움하겠네
희망공부


절망의 반대가 희망은 아니다
어두운 밤하늘에 별이 빛나듯
희망은 절망 속에 싹트는 거지
만약에 우리가 희망함이 적다면
그 누가 이 세상을 비추어줄까





‘희망공부‘라는 제목과 노랫말의 첫행은 백낙청 선생의 글에서 따왔고, ‘희망함이 적다‘는 표현은 전태일 열사의 일기에 나오는 구절이다.
그 여자


돈도
남편도 없지
자식만 둘 있는

가진 게 너무나 많은
그 여자

슬픔 때문에
허리띠가 남아도는




*어느 젊은 시인의 시에서 보았다는, 이진명 시인의 시구를 다시 인용함.
허수아비


참새가 참새인 것은
제가 참새인 줄 모르기 때문

허수아비가 허수아비인 것은
제 머리에 새가 앉아도 가만 있기 때문

허수아비 주인이 허수아비나 마찬가지인 것은
허수아비가 참새를 쫓아줄 거라 믿기 때문

이 땅의 농부가 농부인 것은
그런 줄 알면서도 벼 익는 들판에 허수아비를 세우고
우여어 우여어 허공에 헛손질하기 때문
태백산행


눈이 내린다 기차 타고
태백에 가야겠다
배낭 둘러메고 나서는데
등 뒤에서 아내가 구시렁댄다
지가 열일곱살이야 열아홉살이야

구시렁구시렁 눈이 내리는
산등성 숨차게 올라가는데
칠십 고개 넘어선 노인네들이
여보 젊은이 함께 가지

앞지르는 나를 불러 세워
올해 몇이냐고
쉰일곱이라고
그중 한 사람이 말하기를
조오홀 때다
살아 천년 죽어 천년 한다는
태백산 주목이 평생을 그 모양으로
허옇게 눈을 뒤집어쓰고 서서
좋을 때다 좋을 때다
말을 받는다

당골집 귀때기 새파란 그 계집만
괜스레 나를 보고
늙었다 한다
이 좋은 봄날에


봄이 오면 대지가 입덧을 한다고
어떤 시인은 노래하는데
이 좋은 봄날에
미국이 기어이 전쟁을 하려나봐요
바그다드에서 어린애 울음소리가 들려와요
이것은 전쟁이 아니라 학살이지요
다리 다친 봄의 신음소리에
우리나라 산수유나무 새싹도 망가지겠어요



가까이 갈 수 없어
먼발치에 서서 보고 돌아왔다
내가 속으로 그리는 그 사람마냥
산이 어디 안 가고
그냥 거기 있어 마음 놓인다
태백 하늘에 떠도는 눈발처럼


괜찮다, 괜찮다, 괜찮다, 괜찮다
어느 시인의 시구처럼
사북 지나 고한 장성광업소
철암역두 선탄장(選炭場)
석탄더미에 내리는 눈발처럼
차라리 탄압이나 받았으면
어느 시인 말마따나
바람부리에 몰려다니는 눈발처럼
반짝이며 글썽이는 눈발처럼
어느 시인의 시구처럼
제가 울고 싶으니까 나더러
웃어봐!
새로운 세기의 노래


지나간 세기의 끝은 2000년
이제 새로운 시대로 들어섰지요
수수만년 쌓아올린 인류의 꿈은
지금 어느 별에 닿았는가요
사람들은 더 나은 미래를 그리며
땀 흘려 일하고
시인들은 평화로운 세상을 꿈꾸며
사랑노래 하는데
새로운 세기가 밝아오는 대지 위에
야만의 그림자가 서성이고 있네요
지나간 세기의 끝은 2000년
이제 세상도 새롭게 바뀌어야지요
시인의 말


세상이 아프니 내가 아프다.
누구의 말이던가. 문득 이 말이 떠오른다.
나는 병이 없는데도 앓는 소리를 내지는 않는다.
세상이 병들지 않았다면 내가 혼자 아픈 것이다.
스스로 세상 밖에 나앉았다고 생각했으나진실로 세상일을 잊은 적이 없다.
세상을 잊다니! 세상이 먼저 나를 잊겠지.
일탈을 꿈꾸지만 나는 늘 제자리걸음이다.

‘같은 자리를 지키고 있으려면 계속 달릴 수밖에 없다‘ 는 이 막막함이란 ‘거울나라의 엘리스‘만 겪는 고통이 아닐 것이다.
2008년 여름 정희성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