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 프랑스 최초의 핵무기 실험이 성공하자, 드골은 프랑스가 나토 동맹 안에서도 대외정책의 독립성을 지켜야 한다고 느꼈다. 유럽문화적 통일성이라는 뿌리 깊은 인식으로 무장한 보수주의자 프랑스 대통령은 미국이 동반국과 관계를 맺는 데 너무 고압적으로 변했다고 보았다. 드골은 나토에서 미국의 역할에 균형을 맞출 수 있는프랑스의 지도로 서유럽이 독립성을 강화하기를 원했다. 유럽 통합으로 나아가는 유럽경제공동체에 영국이 가입하려 했을 때, 드골이
‘안 된다‘라고 반기를 든 것은 런던이 워싱턴의 트로이목마 노릇을- P537
한다는 인식에 기반을 둔 행동이었다. 드골은 프랑스가 미국의 안보를 보장하고 미국과 동방에 다리를 놓으면서, 서유럽을 더욱 독립적으로 이끌 수 있는 유일한 나라라고 생각했다.
1964년 프랑스 대통령은 동유럽 및 소련과 기술적·문화적으로협력하기 위한 사업을 적극적으로 개시했다. 드골은 1965년 얄타회담 20주년 기념일에 극적으로 기자회견을 하면서, "얄타"를 극복하고 유럽 분열에 종지부를 찍는 것이 목표라고 선언했다.- P538
유럽경제공동체는 회원국-네덜란드, 룩셈부르크, 벨기에, 서독, 이탈리아, 프랑스-이 상품, 자본, 노동자를 위한 공동 시장을 만들게 했다.
드골파가 이의를 제기하고, 교섭 과정이 더디고 때로는 분노를 자아내기도 했지만, 10년 뒤 내부 관세 폐지가 완수되면서 당시 이름으로유럽공동체(European Community, EC) 내부에서 완전한 관세동맹이 이루어졌다. 성공의 비결은 두 가지였다. 하나는 내부적인 것으로, 서독이 공업 제품을 자유로이 수출하는 대가로 프랑스와 이탈리아 농민을위한 보조금에 거액을 내는 공동농업정책(Common Agricultural Policy)이었다. 다른 하나는 외부적인 것으로, 서유럽 모든 수도에서 유럽이하나로 뭉치면 냉전에서 강력한 목소리를 되찾을 수 있다는 인식이생겨났다.
그리하여 냉전이라는 조건 아래 독일의 경제적 힘과 드골주의원칙의 유럽화가 결합했다.- P540
브란트는 동베를린으로 가는 길이 모스크바를 통해야 한다는것을 알았다. 1970년 브레즈네프와 협상하면서, 브란트는 소련과 무역 및 경제 협력을 증대하고 조약을 체결하겠다고 약속했다. 폴란드와 독일의 새로운 국경과 동독과 서독의 국경을 포함해 전후 유럽의국경을 침범할 수 없다는 데 양쪽이 합의하는 조약이었다. 브레즈네프는 아주 흡족했다. 서독과 체결한 조약은 독일의 영토 탈환 정책에대한 공포를 줄이고, 더욱 중요하게는 어느 시점이 되어 중립국 독일이 유럽에서 냉전의 균형을 소련에 유리하게 기울일 수 있음을 의미했기 때문이다.- P542
브란트는 모스크바 조약에 이어, 1970년에 폴란드와 별도의 조약을 맺었다. 여기서 독일연방공화국은 폴란드의 서부 국경을 수용한다고 다시 언급하면서 양국 정부가 계속 평화적으로 협력할 것을약속했다. 이 협상에서 가장 중요한 측면은 브란트가 1970년 12월바르샤바를 방문한 것이었다.- P543
1975년 중반 유럽안보협력회의 헬싱키선언 조인은 유럽 데탕트의 중대한 시점이었다. 이는 브레즈네프의 정치 경력이 최고점으로 치달은 순간이었다. 35개국이 참가국 간 관계를 인도하는 원칙에관한 선언‘에 합의했다. 이 원칙에 동등한 주권, 국경 침범 불가, 국내문제 불간섭 등이 담겨 있었다. 모두 소련이 국가 창건 이후 늘 주장한 제안이었다. 최종의정서에 개인의 권리에 관한 핵심 구절도 포함되었다.- P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