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거리의화가의 서재

생산 일반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역사 일반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대신 최종적으로는 특수한 구조들 위에 정초해 있는 역사성의 특수한 구조들이 서로 다른 생산양식들이, 이 총체성들의 본질에 따라서만, 다시 말해 이 총체성들의 고유한 복잡성의 본질에 따라서만 의미를 가지는 역사성의 특수한 구조들(왜냐하면 이 역사성의 특수한 구조들은 전체들로서 결정되고결합된 사회구성체들의 실존, 특수한 생산양식들에 속해 있는 사회구성- P502
체들의 실존에 불과하기 때문에)이 존재하는 것이라는 점을 지적해야한다.- P503
경제학자와 역사학자가 보지 못했던 것은 정치경제학의 ‘추상적‘
이론이 역사이론의 대상 자체에 지역으로서(수준 혹은 심급으로서)유기적으로 속해 있는 하나의 지역에 대한 이론[즉 ‘지역적 이론‘ 혹은
‘국지적 이론‘]이라는 점이다. 경제학자와 역사학자가 보지 못했던 것은 『자본』에서 역사가 현실대상이 아니라 이론대상으로, 현실적-구체적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개념적인) ‘추상적‘ 대상으로 등장한다는점, 그리고 일차적 수준의 역사(학)적 취급[분석]이 노동일 감축을 위한 투쟁에 대해서든 자본주의적인 본원적 축적에 대해서든 마르크스에 의해 적용되는 곳인 『자본의 몇몇 장[즉 자본의 ‘역사적 장들‘]이 역사이론에, 역사 개념의 구축에 그리고 이 역사 개념의 ‘전개된 형태들‘자본주의 생산양식에 대한 경제이론은 이 ‘전개된 형태들‘의규정된 한 ‘지역‘을 구성한다의 구축에 그 원리로서 준거한다는점이다.- P523
현실적인 것[대상의 현실] 내에서 이론적 전체ensemble (정치경제학이론)와 현실적인 경험적 전체ensemble(구체적 역사)이론적 전체는 이 현실적인 경험적 전체에 대한 인식인데 사이에서 이 둘을 일대일로 조응하게 만드는 것이 『자본 내에서의 ‘[대문자]논리‘와 ‘[소문자]역사‘ 사이의 ‘관계‘에 관한 질문에 대해 저질러졌던 오해들의기원에 존재한다는 원리 말이다. 이 오해들 중 가장 심각한 것은 다음과 같은 맹목aveuglement의 효과이다. 즉, 「자본이 경제이론에 대한이해에 필요불가결한 하나의 역사이론을 온전히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종종 지각하지 못하게끔 방해하는 그러한 맹목 말이다.- P526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