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거리의화가의 서재
3장
언어는 경험에 대한 해석적 정의를 제공하고, 행동은 이런 해석적 정의 안에서 조직. 
스테드먼 존스가 정의한 정치란 ->- 대결로서의 정치: 계급 정체성의 형성- 집단 운동의 목표로서의 정치: 공식 참여
스테드먼 존스의 「차티스트운동 재고」글에서는 정치의 두 번째 정의를 사용.
결론적으로 차티스트운동의 발흥과 쇠퇴가 "국가의 성격 및 정책 변화"와 연관돼 있다.  언어는 의미나 지식의 전체 체계를 드러내. 의미는 관계를 통해, 차이화를 통해 만들어지고, 관계들을 구성.
젠더는 차이를 표현하고 자연화하는 방법을 제공했으므로 의미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분석하는 데 더 도움을 줄 수 있는 도구.
차티스트운동은 1832년 선거법 개정안으로 인한 논쟁 속에서 표명된 정치적 권리와 대표성의 문제에 대한 목소리. 차티스트들은 선거권이 박탈된 사람들과 무산자인 노동자 남성을 위한 노동 자산에 대한 개념을 발전시키려 했음. 그들은 개인의 노동 혹은 노동력의 산물이 자산이므로 자산을 개인의 정치적 권리 향유와 관련지었음(로크)
계급의 남성적 재현 -> 노동계급의 젠더화에 영향(적 문제)
차티스트들이 말한 계급의 언어는 여성과 아이를 부차적이고 의존적인 지위에 위치시켜.


스테드먼 존스는 차티스트운동의 역사를 재개념화하는 첫단추를 끼우는 데까지는 나아가지 못하는데, 이는 그가 "언어"를 의미체계나 의미 작용 과정이라기보다는 단순히 생각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P116
차티스트운동의 언어는 정치적 연합의 조건을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집단들 간의 유사성 혹은 공통점을 확고히 하는 역할도 했다.

차티스트들은 개인의 노동 혹은 노동력의 산물이 그자체로 자산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자산을 개인의 정치적 권리 향유와 관련지은 로크 이론의 한 측면을 발전시켰다. 그러면서 차티스트들은 이미선거권을 획득한 이들과 자신들 사이의 또 다른 유사성 - 그들 모두가 남성이라는 사실을 인정했다. 차티스트들은 성인 남성의 보통선거권을요구할 때 (기존의 선거 자격 요건을 그대로 가져와) 오직 남성만이 사회계약을 체결하고 이런 계약에 진입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했다. 실제로 차티스트들이 선거권을 이미 획득한 이들과의 유사성으로 주장했던 것은 그들모두가 남성 자산 소유자라는 점이었다. 동시에 차티스트운동은 젠더를 이용해 자신들의 운동을 민중운동의논쟁 안에 자리 잡게 하고, 그 속의 일부 흐름들, 특히 감정 표출적이거나- P122
결사체적이거나 종교적인 흐름들과 자신을 구별했다. 그들은 그런 유토피아적 운동들을 "여성적인 것으로, 차티스트운동을 "남성적인" 것으로묘사함으로써 젠더를 활용했다.- P123
계급의 남성적 재현은 노동운동에서 노동자 문제를 정의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쳤다. 여성은 노동에 대한 소유권을 갖지 않는 것으로 여겨지- P124
므로, 여성의 초저임금 고용이 특정 직종 남성들의 경쟁력 위기를 가져왔을 때, 여성들을 해고하는 것 말고는 다른 해결책을 찾기 어려웠다. 여성노동자의 지위를 본격적으로 옹호하지 못하게 막은 것은 상상력의 결여나 남성 우월주의가 아니라, 생산성과 남성성을 동일시한 계급 개념의 구성이었다.- P125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