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거리의화가의 서재
6장

레트윈과 길무어의 가장 주된 차이점은 신사의 위치를 빅토리아시대의 계급적 구조 안에서 파악하는지의 여부이다. 그런데 계급을초월했다는 레트윈의 견해와, 좀더 역사의식이 반영된 길무어의 견해를 함께 감안하면, 우리는 당시의 신사 역할에 대해 보다 폭넓은이해를 할 수 있다. 레트윈과 길무어 모두 진정한 <신사>는 계급이나 지위의 개념을 초월한다는 데 동의한다. 신사는 단순히 특정한계급의 구성원들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개개인의 장점과 자질에근거하여 그 명칭이 부여되었다.- P230
『올리버 트위스트』와 『데이비드 카퍼필드 David Copperfield』, 그리고 『위대한 유산과 같은 디킨스의 빌둥스로만들은 그의 작품 가운데서도 가장 인기를 누린 소설에 속한다. 이 소설들은 모두 신사가 되는 것의 의미에 관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 소년의 성장에 관한디킨스의 반자전적 이야기들의 핵심에는 작가 본인의 어린 시절로거슬러 올라가는 신사다움, 즉 신사가 되는 방법과 신사의 지위를유지하는 방법에 관한 염려가 자리 잡고 있다.- P233
1857년 10월 4일 안젤라 버뎃 쿠츠Angela Burdett Coutts에게 보낸 편지에서 디킨스는 대량학살에 대한 충동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고 있다.
내가 인도의 최고사령관이었으면 좋겠다. 그렇다면 내가 제일 먼저 할일은 그 동양 인종을 불시에 습격하여, (....) 그들에게 선전포고를 하고, (.....) 최근에 자행된 잔혹한 행위의 흔적들이 남아 있는 인종을 근절시키기 위해 나는 최선을 다했을 것이다. (……) 내가 그곳의 책임자라면, 다양한 처형 방법을 강구해 그들을 완전히 뿌리 뽑아 한시 바삐 인류에서 사라지게 했을 것이다."- P238
애니 세드린이 주장하듯, 이 소설은 <범죄와신사다움의 상호 관련성을 핵심적으로 짚어내면서도 불편한 심기를드러낸다>. 『위대한 유산』은 진보와 발전을 향한 시도마다 앞을가로막으면서, 핍과 독자에게 다윈의 지배를 받는 삶의 그물망을 상기시킨다. 즉 『위대한 유산의 모든 것들은 그 근원으로 되돌아간다.- P242
에드워드 사이드 Edward Said는 『문화와 제국주의 Culture andImperialism』에서 『위대한 유산을 논의하면서 『데이비드 카퍼필드』와 달리 이 소설은 식민지로의 추방이 가졌던 <영속성>을 사실상위반하며, 문제의 소지가 있는 매그위치의 영국 귀향을 묘사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사이드는 <갱생을 위해 설계되었으나, 이송되었던 영국 범죄자들의 본국 송환은 사실상 금지되었던 형벌 식민지였다>)고 오스트레일리아를 설명한다.
매그위치의 귀환에 대한 금지령은 단순히 형벌의 의미가 아니라 제국주의적인 것이다. 국민들은 오스트레일리아와 같은 장소로 이송될 수 있지만, 디킨스의 모든 소설이 입증하듯 모국의 개개인들이 만들어낸 계급조직이 철저하게 도식화하고 확보하여 이미 구성원들이 거주하고 있는모국의 공간으로 ‘귀환‘이 허락될 수 없었다.- P262
핍은 영국 남성성의 다양한 정의에 관해 고심하면서 자신이 <신사>에 대해 최초로 내렸던 정의, 즉 그가 되고 싶다고 생각했던 신사는무책임하고 파산 상태에 빠진 상류층 젊은이로서, 좀처럼 존경하기힘든 인물이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핍과 허버트의 빚은 작가인 디킨스가 어린 시절에 빚 때문에 아버지가 투옥되었던 경험과 관련하여겪은 가장 큰 충격에서 비롯된, 그들의 삶에 대한 심오한 질책으로이해해야 한다. 소설 끝부분에 이르면 핍은 실제로 경제적 능력과상관없이 심정적으로는 진정한 신사이다. 막연한 상상이 점차 현실로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핍은 자신이 속한 영국 사회가 물질적인것, 특히 식민지 자본에 근거를 두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P269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