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건한 기독교도란 기독교의 신념에 입각하여 행동하는 신사를 말하는데, 정직, 예의, 협동심, 용기, 리더십과 더불어 강한 체력과 애틀레시즘athleticism (스포츠애호주의)을 갖춘 사람을 의미한다. 강건한 기독교주의는 그 특성이<남성다움 manliness>의 고양이었으며, 남성다움이란 전체를 위해희생할 수 있는 용기라고 주장되었다. 강건한 기독교주의라는 이데올로기는 『톰 브라운』 시리즈"를 통해 19세기 후반 영국 사회로 광범위하게 확산되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이다.- P196
집을 떠난 소년에게 낯선 곳은 곧 모험의 공간이 된다. 최근 제국주의 연구들은 1880년 전후로 나타난 청소년 문학을 제국주의적 선전과 강하게 결합하여 발달한 것으로 파악한다. 이런 문학에서 제국은 모험이 기다리고 있는 곳이고 동시에 소년이 성인이 되는 곳이다. 나아가 그 주인공은 제국주의의 영웅으로 숭앙받는다. 톰 브라은 제국이라는 바깥 세상 대신 영국 내에 <퍼블릭 스쿨>이라는모험 공간을 설정한다. 그곳에서 주인공은 고향에서와는 다른 새로운 자아를 만나야 하고, 영웅으로 거듭난다.- P201
19세기는 고대 그리스 문화와 중세 문화를 이상화하면서 흠뻑 젖어들던 시기였다. 고대의 이상과 중세의 영향이 가장 집약되어 녹아든 곳이 퍼블릭 스쿨이었다. 그곳에서는 그리스어를 비롯한 고전교육 위주의 커리큘럼과 스파르타식 교육, 중세의 기사도가 교묘하게 결합되어 있었다. 학생들은 고전 교육, 설교, 독서, 교과서 등을통해 남성들 사이의 우정 혹은 애정을 미화하는 내용을 늘 들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또한 소년들로만 이루어진 퍼블릭 스쿨은남성만으로 이루어진 중세 수도원의 형태와 가장 근접한 곳이었기에 빅토리아 시대에 유행한 수도사나 독신 사제의 금욕에 대한 예찬이 이곳에서도 강하게 주입되었다.- P208
퍼블릭 스쿨은 엄격한 위계와 의식화된 코드, 계율과 질서의 총본산이다. 19세기의 많은 퍼블릭 스쿨에서는 상급생이 하급생을 지도하고 관리, 감독하는 프리펙트패깅 시스템 prefect-fagging system이라는 조직 체계를 운영하였다. 프리펙트 prefect나 프리포스터(preposter, praeposter)는 상급생 가운데 선발된 감독생을 일컫는 말인 반면, 상급생이 부려먹는 하급생은 흔히 패그fag라고 불렸다. 기숙사 생활을 원칙으로 하는 퍼블릭 스쿨에서 상급생과 하급생의 관계, 나아가 프리펙트-패깅 시스템은 학생들에게 엄격한 위계 질서를체화하게 만드는 환경을 제공했다.- P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