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Rhizomata
  • 소크라테스 이전의 그리스 철학
  • 김내균
  • 8,000원 (240)
  • 1996-03-01
  • : 26

초기 그리스 철학이 어떤 경로로 형성되었는지 안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것이다. 그 모든 문헌들과 그에 얽힌 여러 추론들은 가설과 추측의 범위를 벗어나기가 힘들다. 줄곧 제기되는 문헌상의 문제들, 심지어 신화시대와 철학시대를 가르는 기준들에 대한 애매모호성들은 이 시대가 바로 현대철학에 이르기까지 회자되는 문제들을 상당부분 제기하고 있음에도 그들이 과연 어떤 동기로 사유를 시작했는지(흔히 얘기하듯이 그것이 '삶의 덧없음'으로 인한 것이었는지) 확증을 주지 못하게 만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기 철학을 연구하는 학자라면 그러한 불확실성들을 자기사유의 힘으로 명확하게 만들 시도를 해야 할 것이다. 게다가 연구자들이 보수적으로 텍스트에 대한 '번역'에만 골몰하는 것이 어떤 '미덕'이자 '사유의 치밀함'이라고까지 격상되는 학문적 분위기라면 그러한 시도는 더 소중하며, 권장될 만한 것이다.

 

김내균 선생의 이 책은 그러한 사도의 과단성을 잘 보여준다. 문헌에 대한 꼼꼼한 인용과 권위 있는 2차서들을 활용하면서도 고대 사상에 대한 자신의 '해석'을 무리 없이 논변 안에 녹여 내고 있다. 이것으로 인해 독자는 오직 '단편'들로만 존재하는 자연철학자들과 '전설'로만 떠도는 신화시대의 인물들을 머리속에 생생하게 떠올릴 수 있게 된다.

 

이제는 절판이 되어 버린 이 책이 고대 사상에 관한 보다 많은 현대적 논의들로 일신되고 확충되어 다시 출판되지 않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다. 김내균 선생은 연구를 그만둔 것일까?

 

 

접힌 부분 펼치기 ▼

 

서문

[19]합리라는 용어는 결국 이치에 합당하다는 말이지만, 그 이치가 필연적으로 논리적 정합성을 지녀야 한다는 것은 아니라는 의미다. 추상적 논리를 전제로 하고 있는 이성적 사유가 고정된 의미를 지닌 개념들에 의한 언어의 의미 체계 내에서 이루어지는 사유 활동이라면, 합리적 사유는 이성적 사유를 포용하면서도 그 한계, 모순과 대립을 넘어서 역동적인 진리의 보편성, 공통성, 통일성으로 나아가게 해준다. 합리적, 이성적이라는 두 개념을 이와 같이 구별해 사용한다면, 초기 자연철학자들은 다분히 전자에 속한 사유를 행하였고, 후자는 대체적으로 그들에 의해 영향을 받은 소크라테스 이후의 철학자들에 의해 수행된 흔적이 역력히 남아 있다.

플라톤 이래 학문을 가능케 해주는 근거로서의 이성(λογιστιόν: logistikon)은 본래 로고스라는 말에서부터 비롯되었다. 로고스의 광의적 의미는 인간의 보편적, 합리적 정신이며, 협의적 의미는 진리와 허위를 판별해 주는 논리적 이성, 오성, 반성적 사유 등을 뜻하는 정신적 개념이다. 플라톤 철학은 인간 이성이 중심이 되는 철학, 즉 철학의 인간화에 의해서 특징지어지고 있으며, 그러한 점에서 그는 존재(퓌시스) 중심의 철학을 이성 중심의 철학으로 바꾸어 놓았다.

하지만 소크라테스 이전의 자연철학자들은 로고스를 존재와 유리된 정신적 이성이라는 제한된 의미로 사용하고 있지 않다. 그것은 포괄적인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개념이다. 본래 퓌시스 개념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 로고스는 우주를 지배하는 물질적인 힘과 기운, 혹은 신적인 원리와 법칙 그리고 인간의 사고 등과 같은 의미를 모두 내포하고 있다. 퓌시스의 한 특성, 즉 질료적 특성을 지닌 로고스는 일차적으로 인간의 영혼과 정신을 [20]포함하는 살아 있는 우주의 신성한 힘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들 초기 철학자들은 신적인 것(τό θείον), 사유적인 것(ό θύμός, ἡ φρἠν) 그리고 질료적 특성(순수한 에테르적인)을 지닌 것(ὁ αἰθήρ)을 로고스라는 이름으로만 부르지 않았다. 자연철학자들이 추구하였던 아르케는 모두가 정신적 속성이 내재되어 있는 로고스적인 것들이다.

 

[R-Commentary] 김내균이 ‘이성적’과 ‘합리적’을 가르는 기준은 통상적인 어법과는 반대라고 보인다. 이렇게 보는 이유는 이 내용단락의 후반부에 진술되다시피, 소크라테스 이후를 ‘인간중심성’으로 바라보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그 기준은 실제로는 헤겔의 영향이 짙게 깔린 것이다. 헤겔의 ‘절대이성’과 그것의 ‘외화’로 퓌시스를 보면 그렇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그리스 고대철학의 관점과 동근원적이 아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합리성’은 그 자체로 ‘로고스'로부터 유래한 개념이라는 것이라는 것을 재고한다면 김내균의 이 언급들이 혼란스럽게 받아들여지는 것도 사실이다.

 

☞ 로고스: 고대 그리스 철학이나 신학의 기본용어. 파토스(Pathos)와 대립되는 개념이다. 그리스어의 원래적 의미인 '수집되어 정리된 것'으로부터 전화하여 '언어'(말)를 의미했는데, 말은 보편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므로, 여기에서 개념, 논리, 이론, 사상 등의 의미로도 사용되었으며(아리스토텔레스에서는 논리학을 로고스의 학문이라고 부르고 있다.), 나아가 이성이라든가 세계의 이법(理法)도 표현하게 되었다. 로고스와 유사한 개념으로 중국사상에서는 '도'(道), 불교에서는 '법'(法)이라고 하는 것이 있다.

그리스를 보면 헤라클레이토스는 로고스를 우주 만물을 지배하는 이법으로 받아들이고, 이 사상을 계승한 스토아 학파는 그 범신론 사상에 기초를 두어 그것을 물리(物理) 정신의 양 세계를 관통하고 지배하는 '세계이성'이라고 했다. 로마시대로 넘어가는 시기의 유태 철학자 필론은 로고스를 신과 그가 창조한 세계를 중개하는 것으로서의 창조력이라고 설명했는데, 이것과 유사한 사고방식은 로마 말기의 플로티노스, 그 후에 기독교, 스콜라 학파에서도 볼 수 있으며 여기서 그리스도는 영원한 신의 아들인 '신의 말'=로고스의 실현이라고 한다. 마르크스주의 철학에 선행한 헤겔 철학에서는 로고스가 이성활동으로 파악되고 있다. 마르크스주의 철학은 로고스라는 용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철학사전』, 중원문화

 

☞ 위키에 나오는 보다 상세한 설명도 참조: http://en.wikipedia.org/wiki/Logos

 

[22]퓌시스는 그 자체가 예술이다. 예술 감상은 수동적 통관(洞觀)에 의한 직관적 이해가 분석에 앞서지 않으면 안 된다.

 

[R-Commentary] 고대철학에 대한 이러한 신비주의적 사고가 어디까지 허용될 수 있는지 분명하지 않지만, 저자의 이런 시각이 충분한 정당화가 필요한 것만은 확실한 것 같다.

제1장. 철학적 사유의 전 단계

제1절 신화적 사고

1. 들어가는 말

2. 오르페우스교와 그 추종자들

[32]오르페우스교가 BC. 6세기와 5세기의 철학적 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기여하였는가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 입장이 있다. (...) 딜스(H. Diehls)와 크란츠(W. Kranz) 그리고 (...) 커크(G.S. Kirk)와 레이븐(J.E. Raven)은 오르페우스교의 영향을 인정하고 있으나, (...) 거트리(W.K.C. Guthrie)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 [33]그러나 비록 오르페우스교의 우주론과 인간에 대한 가르침이 종교적이며, 신화적인 형식을 빌려 나타나고 있지만, 그것이 철학적 사유의 발전으로 나아가게 해주는 디딤돌의 역할을 수반하고 있음 또한 부인하기 어렵다.

 

2.1 밤으로부터의 유래

2.2 서사시에 나타난 일반적인 신학적 이야기

2.3 히에로니모스와 헬라니코스에 의한 신학적 이야기

[36]이렇게 하여 신들의 여섯 세대가 완성된다. 즉 (가) 흐로노스(Chronos)와 아이테르, 카오스, (나) 파네스[헤시오도스에게는 ‘에로스’]와 밤[뉙스], (다) 우라노스와 가이아, (라) 크로노스(Kronos)와 레아, (라) 제우스와 페르세포네, (마) 디오니소스[자그레아스]

 

☞ 이와 관련하여 원문 참조: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 pp. 43-44)

“13. 다마스키오스(DK1B13)-히에로니모스와 헬라니코스-동일인물이 아니라고 할 경우-가 전해주는 신론([오르페우스교의 신론])은 이렇다. 그에 따르면 애초에 물과 질료가 있었으며, 이 질료가 굳어져 땅이 형성되었고, 물과 땅 이 두 가지를 먼저 근원으로 놓았다. … 두 근원 다음에 이것들-내가 말하는 것은 물과 땅이다-에서 세 번째 근원이 생성되었는데, 황소와 사자의 머리를 하고 가운데에는 신의 얼굴을 하고 어깨에는 날개를 단 뱀이었다고 한다. 또 같은 것이 늙지 않는 크로노스(Chronos)나 헤라클레스라고도 불린다고 한다. 그런데 그와 함께 있는 것은 아낭케[필연]인데, 이것은 본성(physis)상 아드라스테이아와 같은 것이고 빗물체적인 것으로서, 온 우주에 뻗어 있어서 그 경계에까지 닿아 있다고 한다. 내 생각에는, 모든 것을 낳는 원인으로 내세우기 위해 자웅일체로 상상한 점만 제외하고는 아낭케가 실체(ousia)에 상응하는 세 번째 근원이라 불린다. … 이 크로노스, 즉 뱀이 자손 셋을 낳았다. 그들의 말로는, 습한 에테르와 한정 없는 카오스, 그리고 이것들에 덧붙여 셋째로 안개 자욱한 에레보스를 … 그리고 나아가 크로노스가 이것들 안에 [세계] 알을 낳았다. … 이것들에 더하여 세 번째로 어깨에는 금빛 날개를 단 비물체적인 신을 낳았는데, 옆구리는 황소의 머리들을 가졌으며, 그 머리에는 온갖 짐승 모양을 닮은 무시무시한 뱀을 가졌다. … 그리고 이 신론은 프로토고노스를 칭송하고, 그를 모든 것과 온 우주를 질서 짓는 자로서 제우스라 부른다. 이 때문에 그는 판(Pan)이라고도 불린다.(『원리들에 관하여』 123)”

 

☞ Herman Diels의 책은 온라인으로 볼 수 있다.

Die Fragmente der Vorsokratiker griechisch und deutsch (1903) http://archive.org/stream/diefragmenteder00krangoog#page/n428/mode/2up

 

3. 헤시오도스

☞헤시오도스(?~?): B.C. 700년경의 그리스의 보이오티아의 농민 시인이었다. 종래의 신 등에 관한 이야기들을 신들의 계보에 따라 정리하여 『신통기』(神統記)를 기술하였다. 이것은 우주발생론과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이오니아의 자연철학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 밖에 그의 윤리적 종교관을 나타내 주는 교훈시 「작업과 나날들」이 있다.-[철학사전], 중원문화

 

☞Hesiod 관련 위키 사전: http://en.wikipedia.org/wiki/Hesiod

 

[40]헤시오도스는 기곤(O. Gigon)이 지적하고 있는 것처럼, ‘무엇이 가장 원초적인 것인가’에 대해서가 아니라 ‘처음에 무슨 일이 발생하게 되었는가’라는 문제에 주요한 관심이 있었다. 그의 신통기에는, 생성하지 않으면서 생성의 시작과 원리가 되는 것에 대한 추구가 나타나 있지 않다. 그는 그 문제를 대답하지 않은 채로 남겨 [41]두었다. 왜냐하면 그러한 질문을 피했기 때문이 아니라, 그 해답을 밝힐 수 있는 적절한 사고의 틀이 아직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고대의 우주 개벽론에는 우주가 이미 존재했었고, 지금도 존재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있을 그러한 것이기에, 그 이전이라는 것은 본래부터 없었다. 그러므로 ‘카오스 이전에 무엇이 있었는가’하는 질문은 의미가 없으며, 헤시오도스가 새삼스레 이 질문에 대답할 필요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R-Commentary] ‘생성의 시작’이라는 주제가 그리스인들에게 낯설었던 것은 오르페우스와 피타고라스의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그들에게 시간은 한낱 사라져 가는 어떤 것이 아니라 순환의 이미지로 알려진다. 이 순환의 경로 가운데, 카오스는 일정한 질료적 기반이 되는 것이고, 이는 ‘카오스’ 자체가 가지고 있는 특성으로부터 비롯되는 바, 시작의 이미지가 형성될 여지가 없는 것이다. 카오스는 그 자체로 시작과 종말, 이쪽과 저쪽의 구분을 무화시키는 ‘질료적 기체’라고 보인다.

 

3.1 독수리와 나이팅게일의 우화

3.2 정의에 관하여

4. 페레퀴데스

[44]페레퀴데스는 단편의 첫 번째 부분에서 제우스와 흐르노스 그리고 크토니에라는 세 신성에 대한 언급으로부터 시작하고 있다. (...) 페레퀴데스는 창조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힘쓰고 있는 것이 아니다. 단지 만물의 시작으로서, 헤시오도스적 카오스 대신 보다 논리적이고 또한 어원론적으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시간이라는 뜻의 흐르노스를 덧붙여 개입시킴으로써, 우주발생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여기에서 흐르노스는 변화하는 낮과 밤의 공통 기반으로서, 헤시오도스적인 카오스의 의미에 더 가깝다.

 

☞페리퀴데스에 대한 DK의 원문은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pp. 72~85 참조. 단편 64로 표시된 곳을 보면 페리퀴데스는 탈레스와 마찬가지로 만물의 원질을 ‘물’로 보고 있다.

 

5. 초기 신화론적 사고의 종합

[32]이들의 신화론적, 우주 개벽론적 사고 가운데 우리의 관심을 끄는 흥미로운 사실은 신화적 사고의 흐름에 하나의 발전이 있다고 하는 점이다. 즉, 우주가 단일 존재에서 비롯되었다는 주장으로부터 여기에 대응하는 주장, 즉 다수로부터 우주 만물이 나오게 되었다는 해석이 그것이다. 오르페우스교의 관점에서는 흐르노스(Chronos)를 그 첫 번째 원리로 설정하나, 헤시오도스나 페레퀴데스 다수가 최초의 존재들에 대한 원인이라고 보고 있다.

 

[33]특기할 점은 권위주의와 특권 의식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했던 그들[그리스인들]의 자유로운 의식이다. 권위적 신앙으로부터 개인을 보호하면서 합리성에 근거한 평등과 균형 그리고 조화를 추구했던 사고방식이라고 말할 수 있다. 고대 중국이나 인도에서 종교적인 사고와 철학적인 사고가 오랫동안 미분된 상태로 지속되어 온 까닭도 어쩌면 위계질서와 계급 안에서 조화를 중식하는 가부장적 제도의 지속에서 그 주요한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제2절 7현인들의 시대

1. 린도스 출신의 클레오불로스(Kleoboulos)

[49]모든 일에 적도(metron)을 가지는 것이 최상이다.

 

2. 아테네 출신의 솔론(Solon)

[50]너무 지나치지 않게(meden agan: μηδέν αγαν).

 

3. 스파르타의 킬론(Chilon)

[50]너 자신을 알라(gnothi sauton: γνωθι σαυτον).

 

4. 밀레토스의 탈레스(Thales)

[51]보증을 서게 되면, 파멸이 곁에 있다.

 

5. 레스보스 출신의 피타코스(Pittakos)

[51]친구를 나쁘게 말하지 말며, 적에 대해서는 좋게 말하지 말라. 왜냐하면 그것은 분별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6. 프리에네 출신의 비아스(Bias)

[52]큰 도움이 안 된다면, 가난한 사람은 부자들을 높게 보지 말라.

 

7. 코린티오스 출신의 페리안드로스(Periandros)

[52]민주주의가 참주정치보다 낫다.

 

[53]특기할만한 사실은 적어도 이들의 경구들 속에는 초기의 이른바 자연철학자들의 사고와 관련을 갖는 어떠한 우주론적인 특징이나 내용이 발견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초기 그리스 사상가들이 인간과 사회에 대한 적지 않은 실천적 관심을 가지고 있었음을 발견하게 된다. 그러나 인간의 사회적인 삶에 대한 관심이 비단 7현인들에게서만 집중적으로 나타났던 것은 물론 아니었다. 그것은 오르페우스를 비롯한 신화론자들의 사고 속에서도 나타났으며 (...) 자연철학자들의 철학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R-Commentary] 이 말은 자연철학자들이나 오르페우스, 7현인들이 ‘본격적으로’ 인간에 대한 사유하였다는 것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물론 인간에 대한 본격적인 사고는 소피스테스에서부터며, 이는 그리스 사회가 BC 480년 살라미스 해전 이후 그리스인들 자신들에 대한 자긍심이 최고조로 달한 시기와 일치한다는 것도 알아야 한다. 이에 대해서는 거스리의 논지를 참고하면 되겠다.

 

제2장. 밀레토스인들의 철학

들어가는 말

[57]주41) [철학의 시작에 대한 네 가지 특유한 의견들: (1) 스파르타에서부터 시작되었다는 주장. 이는 7현인들과 관련된다. 그러나 이는 삶의 교훈과 관련되므로 합리적 방식에 의한 이해와 인식이라는 철학의 본령과는 거리가 있다. (2) 헤시오도스를 시조로 보는 입장. 그러나 헤시오도스의 사고는 다분히 신화적인 부분이 많다. (3) 근동(페르시아, 아시리아, 바빌로니아)과 이집트로부터 그리스로 유입되었다는 설. 이러한 유입이 역사적 사실이긴 하지만 수학, 천문학 등에 대해 이론적으로 사유한 것은 그리스인들이 처음이다. (4) 아낙시만드로스를 시조로 하는 주장. 주로 Chernis와 Kahn에 의해 제기된다. 이들에 따르면 탈레스의 사유에서는 7현인과 같은 요소가 더 많기 때문에 탈레스를 시조로 보기는 힘들다는 것이다.]

 

☞Kahn의 저서는 온라인으로 읽고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http://archive.org/details/anaximanderorigi00kahn

 

제1절 탈레스

1. 생애

2. 철학적 업적

[61]탈레스는 귀납적 방식에 의해서 ‘만물은 물엣 비롯되는 것이다’라는 일반 명제를 도출하고 있다. 그러므로 아리스토텔레스는 탈레스를 과학적 정신을 가진 인물로 평가하고 있다. (...) [그러나, Kirk와 Raven 등은] 탈레스의 우주론은 이미 이집트와 바빌로니아에도 있었고 그곳의 사제들로부터 그것을 배워 왔[다고 주장한다.] (...) 탈레스의 공적은 이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사물들의 생성소멸 과정을 보다 합리적으로 설명하고자 했다는 데 있다는 것이다. 결국 탈레스는 ‘이 세계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를 묻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이 세계가 그리고 그 안에 있는 사물들이 생겨나게 되었는가?’에 대한 물음을 묻고 있다는 것이다.

 

제2절 아낙시만드로스

 

☞아낙시만드로스와 관련해서 온라인에 개방된 텍스트: http://archive.org/details/originsofscienti00desa

위의 Kahn의 텍스트도 참조.

 

1. 생애와 학문적 특성

2. 아낙시만드로스의 철학

2.1 우주론

 

 

 

 

2.2 철학적 단편

[69]탈레스는 물이 아르케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그것의 대립적 요소를 만들어낼 근거를 제시할 수가 없었다. 아낙시만드로스는 이 문제를 극복하고자 노력한 것으로 보인다. 즉 대립자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무한하다고 한다면, 나머지 대립[70]자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한계로 인하여 이에 필적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 다양한 대립적 요소들이 완벽하게 혼합되어 있는 아페이론 자체에서는 어떠한 힘도 다른 것을 지배할 수 없으며, 불의를 범할 수도 없다. 다만 세계가 형성되기 위해 분리가 일어날 때에 우열을 가진 대립적 힘들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힘들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힘들을 침해할 정도로 강하다고 해도 그러한 불의는 처벌되고 심판을 받음으로써 대립자들은 파괴되지 않고 아페이론 속에서 존립하게 된다. 그들은 다시 한 번 혼합될 뿐이며, 그들의 균형은 완벽하게 복구된다. (...) 그리하여 아낙시만드로스에게 이 세계는 그 어느 요소들도 다른 요소들을 침해토록 허용치 않는 것이므로 이 세계는 항상 정의롭게 유지된다고 간주되었다.

 

2.3 무한자

2.4 생물학적 단편

제3절 아낙시메네스

1. 생애와 사상

 

2. 만물의 원질로서의 공기

 

3. 변화의 과정: 농축과 희박

[80]아낙시메네스는 아낙시만드로스의 무한자를 가지고 사물들의 질적인 변화를 설명하기에 충분치 않다고 생각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 결국 공기의 농도가 사물의 질을 결정한다는 주장을 함으로써 아낙시메네스는 최초로 양과 질의 관계를 일[81]원론적으로 정립한 그리스 철학자가 되었다. 그의 일원론은 변증법적 유물론을 비중있게 받아들이는 곳에서 커다란 의미를 지닌다.

 

4. 우주발생론과 우주론

[83]그는 최초의 분리, 즉 공기로부터 농축이 어떻게 해서 일어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마치 아낙시만드로스의 무한자의 분리와 마찬가지로 영원으로부터의 운동(영원한 운동)이라는 말을 제외하고는, 그 역시 아무런 언급을 첨가하고 있지 않다.

 

[R-Commentary] 이들에게 ‘영원성’이란 어떤 의미를 띄었던 것일까? 철학시대로부터 비극의 시대까지 그리스인들의 ‘시간’이란 ‘회귀’(오르페우스, 피타고라스)와 ‘파멸’을 함께 함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덧없음’에 대한 아주 이른 깨달음이 ‘철학함’의 시작이었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언급을 참고한다면, 이들에게 이 모든 시간성들이 현상계의 덧없음으로 흘러가는 것이었을 수도 있다. 그렇다면 이와 다른 차원에서 ‘영원’이 존재한다는 것인가? 만일 그렇다면 그 시간은 초월적이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어떤 내재적인 영원성이 이들의 시간의식에 속함에 틀림없다.

 

 

제3장. 피타고라스와 그 학파

1. 피타고라스의 생애와 사상의 출처

 

2. 피타고라스 교설의 철학적 특성과 형성

[91]피타고라스가 철학자라고 부르는 사람은 혼의 정화를 통하여 운명과 출생의 굴레로부터 벗어나려고 부단히 애를 쓰는 사람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피타고라스 사상의 주요한 개념들은 관상(觀想: theoria)과 질서(秩序: cosmos) 그리고 정화(淨化: katharsis) 등의 개념들로 압축될 수 있을 것이다.

 

3. 영혼에 대한 교설과 이론들

3.1 영혼의 불멸과 윤회

 

3.2 영혼의 본성

[100]영혼조화설이 커크의 해석처럼 피타고라스 자신의 주장이 아니라, 그의 이론을 변형시켜 만든 알크마이온의 의술이론에 근거하는 것인지는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전자의 입장을 취한다면 피타고라스의 영혼불멸 이론이 영혼 조화설에 의해서 손상받을 수 있다. 왜냐하면 영혼이 조화라고 말할 경우, 우리는 영혼이 여러 요소들로부터 혼합된 실체라는 사실을 아울러 인정해야 하며, 또한 이 경우에 영혼은 심미아스의 주장과 같이 죽음과 더불어 사라져 버리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

[101]또 다른 가능성은 영혼이 물질적인 대립자들 간의 조화가 아닌 수와의 조화를 의미하고 있다고 했을 경우이다. (...) 그러므로 수의 본성이 조화이듯이 영혼도 조화라고 생각하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4. 학문적 업적과 가르침

4.1 조화로서의 음악

 

4.2 산술과 수학에 관한 철학적 이론

[110]주164)하나는 숫자의 시작이자 피타고라스 공동체에서 최상의 숭배를 받은 대상인데, 이 하나는 아폴론 신을 지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 까닭을 우리는 아폴론(Apollon)이라는 이름을 분석해 보면 알 수 있다. 그리스어 A는 부정 접두사로 아님을 뜻하고, pollon은 많다를 의미하는 형용사 polys에서 비롯되었으므로 아폴론의 문자상의 의미는 다수가 아닌 것, 즉 일자를 뜻한다. 일자를 또한 히페리온(Hyperion)으로도 불렀다. 히페리온의 문자상의 의미는 ‘넘어선 것’으로, 모든 수를 초월한 일자를 뜻한다. 플로티노스도 히페리온의 어원적 의미를 V5, 13, 19에서 밝힌 바 있다. 히페리온은 태양을 관장하는 신으로서 아폴론의 또 다른 이름도 된다. 훗날에 와서 태양은 일자의 상징이 된다. 이는 태양이 우주의 모든 생명체를 산출해 내는 것과 마찬가지로 일자도 보이지 않는 우주 속에서 모든 숫자를 산출해 내기 때문이다. D. K. 44A. K. Freeman(1966), 227쪽, 그리고 P. Gorman(1979), 116쪽 참조.

제4장. 크세노파네스의 철학

1. 들어가는 말

 

2. 비판적 신관

 

3. 신관의 긍정적 기여

 

4. 자연에 관한 이론

 

4.1 천체

 

4.2 피조물의 기원으로서의 물과 흙

 

5. 인식에 관한 크세노파네스의 견해

 

제5장. 헤라클레이토스의 철학

1. 생애와 철학적 특성

 

2. 퓌시스(physis)의 탐구

 

3. 불과 로고스

3.1 불

 

3.2 로고스

[135]명사로서의 로고스는 원래 동사 λέγω(lego)가 to reckon, to speak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사용될 때에 비로소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λέγω의 어근은 λέγ-로서 대체로 1. 모으다, 수집하다(최초의 예는 호메로스의 시가에서 나타나고 있다: “Τρωά󰐠 μέν λέξασθαί έϕέστιοι ὅσσοικἔασιν”: 도시에 사는 모든 트로이 사람들을 모아서 …), 2. 세다, 셈하다, 3. 열거, 매거하다, 4. 이야기하다, 말하다 등의 네 가지 주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logos 개념은 이상과 같은 동사 lego의 의미에 상응하여 사용되었다. 따라서 명사로서의 로고스는 collection, counting, reckoning, calculation, account, consideration, reflection, ground, condition, enunciation, catalogue, word, narrative 등의 의미를 지니며 발전하였다. 예문을 중심으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collection: 수집이라는 의미는 주로 복합명사 또는 파생어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를테면 παλίλ­λογος(pali-logos: 다시 모음, 다시 거두어 들임), σύλ­λογος(syl­logos: 결합, 회합, 집회), συλ­λογέυς(syl­logeus: 수집가), σπερμο­λογός(spermo­logos: 이삭줍기) 등.

2. narrative, word, speech, fable, story, conversation, legend: 말해진 것, 허구적이든 실재적인 것이든 어떤 이야기, 어떤 것에 대한 설명, 상황이나 환경에 대한 해명, 소식, 연설, 주고받는 말, 대화 일반, 신탁의 대답, 소문, 보고, 격언적으로 말해진 어떤 것, 언급, 주목, 행위나 사실에 반대되는 단순한 말, 조약, 명령, 쓰여진 작품의 한 단락 등을 의미한다.

3. thing, spoken of, things, matter: 어떠 어떠한 것, 사물이나 사건을 의미하는 경우에도 로고스가 쓰인다: Hdt,. I, 21: “모든 로고스[것]를 분명히 먼저 알았기 때문에 … ”(σαΦέως προππυσμένος παντα λόγον …), 같은 책, VIII, 65. : “그 로고스[것] 외의 다른 것은 말하지 말라”(… μηδένι ἄλλῳ τόν λόγον τούτον εἴπης).

4. counting, reconing, calculation, account, mention 그리고 새 take account of와 mention의 의미에서 자연스럽게 가치, 평가, 명성, 고려, 관심 그리고 생각 등의 관념이 생기게 된다.

5. correspondence, relation, proportion, measure: 대응, 비례, 비율, 관계, 적도, 기준.

6. 1과 4로부터 reflection, ground, condition, thought, cause, reasoning, consideration, true account of things, argument 등의 의미가 일상사와 철학에서 중요하게 사용된다.

7. general principle, reason, cosmic reason, rule, power of speech and thought: 일반적 원리, 이성, 우주 이성, 규칙, 언어와 사유의 힘.

 

4. 대립자의 통일

 

5. 존재자의 통일성을 가능케 하는 내재적 구조

 

6. 변화와 투쟁

[158]플라톤은 아마도 그가 동일한 강물에 한 차례도 들어갈 수가 없다고 믿은 크라틸로스에게 영향을 받은 것 같다고 한다. 만일 플라톤이 헤라클레이토스 단편의 의미를 크라틸로스로 인하여 잘못 이해하였다면, 다음과 같은 커크와 레이븐의 해석을 받아들일 수 있다. 전체로서 생각되는 강이라는 단일성(unity)은 물로 구성된 흐름(유전)의 규칙성에 달려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만일 “강은 세계이며”, “물은 세계의 부분들이다”라고 한다면, 강물의 비유는 다음과 같은 것, 즉 강의 단일성은 세계 내에 있는 요소들의 변화의 규칙성에 달려 있다는 것이 된다.

 

[R-Commentary] 글쎄? 커크와 레이븐이 ‘강의 단일성’이 ‘변화’로부터 온다는 것은 수긍이 가지만, 그것이 ‘규칙성’이라는 것은 단지 헤라클레이토스의 맥락에 천착하기 때문일수도 있다. 만약 ‘로고스의 신비’라는 헤라클레이토스의 다른 지점에 착안한다면, 그것은 ‘규칙성’이긴 하지만 다만 파생된 규칙성이며 보다 거대하고 중요한 것은 강 자체의 ‘우연성’일 것이다.

7. 인식론적 견해

 

제6장. 엘레아 학파의 철학

제1절 파르메니데스의 철학

1. 들어가는 말

 

2. 책의 서문

 

3. 진리의 길

3.1 탐구의 길들

 

3.2 진리의 길에 대한 논증

 

4. 억견의 길

4.1 억견의 길에 대한 해석의 문제

[182]진리의 길은 논리적 필연에 대한 확신으로 주어졌으나, 억견의 길은 가사적인 세계에 자신을 조화시키지 않을 수 없는 결과로 주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존재에 관한 물음이 억견에 관한 물음 없이 해결될 수는 없다. 비존재의 길은 생각할 수 없는 길이나, 억견의 길은 존재와 비존재의 세계를 왔다갔다하는 길(단편 6)이므로, 감각 지각에 의해 나타나는 억견의 길에 어떤 실재성을 파르메니데스는 주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마치 플라톤의 doxa(억견)와 마찬가지로, 비록 참은 아니더라도 부정할 수 없는 존재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말이다.

 

4.2 억견의 길에 대한 단편들의 해석

5. 인식에 관한 견해

제2절 제논의 철학

1. 들어가는 말

2. 잡다에 대한 제논의 논증

3. 잡다에 맞서는 제논의 파라독스

3.1 경주장

3.2 아킬레스와 거북이

3.3 나는 화살

3.4 움직이는 물체

제3절 멜리소스의 철학

1. 들어가는 말

2. 실재의 특성들

2.1 실재는 불생불멸

2.2 무한한 실재

2.3 실재의 다른 특성들

3. 상식에 대한 논박

 

제7장. 다원론자들의 철학

제1절 엠페도클레스의 철학

1. 들어가는 말

[216]파르메니데스에 이르러 이오니아 철학에 없었던 이러한 현상과 실재의 구별은 쉽게 조화될 수 없는 양자의 단절을 가져오게 하였다. 여기에서 실제와 현상 사이의 가교를 놓는 일, 즉 현상을 구제하는 일(σόζειν φαινόμενα)은 파르메니데스가 이후 사상가들에게 남겨 놓은 숙제가 된 셈이다. 그러므로 ‘파르메니데스적 존재가 아무런 손상을 입지 않고 어떻게 세계 속에서 운동과 변화의 문제를 수용할 수 있겠는가’하는 근본 문제는 엠페도클레[217]스를 비롯한 여러 다원론자들이 부여 받은 주요한 철학적 탐구 과제가 되었다.

 

2. 생애와 저작

3. 엠페도클레스의 자연 철학: 『퓌시스에 관하여』

3.1 네 개의 뿌리(rhizomata)와 요소들의 혼합에 의한 생성과 소멸

[224]이 네 가지 요소들은 생성된 것이 아니다. 생성하는 이 세계는 무로부터 온 새로운 탄생이 없을뿐더러 무로의 소멸도 없다. 출생이라는 것도 알고 보면 인간이 붙인 이름에 불과하다(단편 8). 요소들이 혼합되어 인간이나 식물, 혹은 새의 모습을 형성하게 되면, 바로 그것이 생성 혹은 탄생이라고 사람들이 부르는 것이다(단편 21, 23). 그러므로 요소들이 어떻게 혼합될 것인가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요소들의 많고 적음의 비율에 따라서 헤아릴 수 없는 다양한 사물들이 나타나게 되기 때문이다. [225]반면에 그렇게 형성된 사물들의 요소가 분리되면 거기에는 이른바 죽음이라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탄생이다, 죽음이다라고 말하는 것은 당연히 옳지 않다. 그러나 엠페도클레스 자신도 습관적으로 그렇게 부르고 있다(단편 9). 생성과 소멸을 실제로 믿는다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단편 11). 어떠한 것도 무로부터 생기지 않으며, 존재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파괴될 수가 없는 것이다(단편 12).

(...) 이러한 입장은 인간의 삶에 대해서도 똑같이 적용된다. 즉 우리가 삶이라고 부르는 것은 존재도, 죽음도, 파괴도 아니다. 삶이란 요소들이 결합되어 인간을 만들고 있는 동안일 뿐이며, 죽음이란 단지 이 결합의 해체에 불과하다. 왜냐하면 어떠한 것도 무로 될 수가 없기 때문이다(단편 15). 삶의 본질은 새롭게 창조된 것도 아니며, 무로 없어지는 그러한 것이 아니라는 의미다(단편 23).

 

[R-Commentary] 요소들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과정(‘동안’)이 자연의 변화, 운동양상이고 그것이 그대로 삶의 양상이라는 것은 유물론이 지니는 낙관론이다. 이제 근동의 종교와 기독교가 이 낙관적 세계관에 ‘종말’과 ‘창세’라는 관념을 들여놓음으로써 정신사에서 하나의 대전환이 일어나는 것이다.

 

3.2 사랑(Philotes)과 미움(Neikos) 그리고 우주의 순환적 변화

1) 하나의 구체(球體): 사랑이 지배하는 시기

2) 미움이 증진되는 시기

3) 미움이 지배하는 시기

4) 사랑이 증대하는 시기

3.3 엠페도클레스의 우주 발생론

3.4 동물발생론

3.5 생물학

[243]엠페도클레스에게 ‘사랑은 결합이며, 미움은 분리다’라는 단순한 등식은 성립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우주 발생론에 나타나는 미움은 요소들로의 분리를 의미하며, 그런 점에서 그것은 요소들끼리의 친화성의 완전한 실현이 이루어진 것이라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고, 반면에 사랑의 영향에 의해서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게 되었을 때 요소들은 분리를 통한 통합을 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사랑의 활동은 그것이 같은 것이 되었든지, 다른 것이 되었든지 간에 일체의 것을 끌어당기고 결합하는 힘을 일반적으로 의미한다. (...) 미움은 요소들의 친화성과 더불어 분리시키는 작용으로 말미암아 개개의 생명체나 사물들의 생성과 소멸을 사랑을 가지고 가능케 만든다. 생명체에서 같은 것은 같은 것 뿐만 아니라, 다른 것을 추구한다.

 

[R-Commentary] 만약 이렇게 해석한다면 엠페도클레스는 명실 공히 최초의 자연변증법을 창시한 인물이 된다.

 

3.6 감각 지각과 사고

4. 『정화론』: 엠페도클레스의 신학과 종교

4.1 자연론과 정화론

4.2 『정화론』에 나타난 원죄와 윤회

1) 타락 전의 상태와 타락의 원인

2) 육화의 주기 및 육화된 상태

제2절 아낙사고라스의 철학

1. 들어가는 말

1.1 생애

1.2 저작

2. 아낙사고라스 철학의 시발

3. 아낙사고라스의 존재론적 원리

3.1 누스(Nous)

3.2 몫(moira)과 종자(씨: spermata), 대립자(ta enantia)

1) 몫

2) 종자

[271]아낙사고라스는 단순 실체라고 여기는 유기체나 무기물 등의 모든 티끌에다 종자란 이름을 붙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실체들의 티끌들은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서 동질서(homoiomere)라고 불렸다. 아낙사고라스 자신은 이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의 종자는 무한히 작은 티끌들로[272]서, 서로 같지만 정확하게 같지는 않다. 그것은 응고되었을 때 살, 머리칼, 뼈, 금과 같은 단순 실체를 부여한다. 우리가 한 동물, 식물의 종자라고 부를 때 이미 그것은 복합적이다. 결국 그것으로부터 발전하는 모든 실체들의 티끌들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안 된다.

3) 대립자

4. 아낙사고라스의 자연 과학적 견해

4.1 우주 발생론

4.2 천문에 관한 여러 견해들

4.3 동물과 식물

[279]생명체는 그들 내부에 누스[정신]의 한 몫을 가지고 있다. 비록 누스 자체는 그 무엇과도 혼합되어 있지 않다. 그것은 생명을 지[280]닌 것들 안에 있다. 그러나 이 말은 모든 살아 있는 것들이 지성(phronesin)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모든 인간 존재들까지 포함해서도 그렇다. 아낙사고라스는 또한 인간은 손을 가졌기 때문에 동물들 가운데에서 가장 지적으로(phronimotaton) 발달했다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러한 그의 생각에 반대하여, 손이란 인간이 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구로서 주어진 것이라고 말했다.

 

[R-Commentary] 아낙사고라스의 ‘지성’은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근대적인 의미의 정신주체를 의미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 그것은 환경과의 교호를 통해 형성되는 무엇이다. 여기서도 physis가 앞서는 것이지 nous가 앞서는 것이 아닌 것이다.

 

4.4 인식, 감각지각에 관한 견해

제3절 원자론자들의 철학

1. 들어가는 말

1.1 레우키포스

1.2 데모크리토스

[286]데모크리토스는 자신의 연구활동을 위하여 공적인 일, 특히 정치적인 일이나, 사적인 일들을 대부분 포기하고 저술 활동과 가르치는 일에만 몰두한 철학자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는 정치[287]나 일상사적인 일에 대해 무관심하였던 것은 아니었다 왜냐하면 그는 자신의 저술 속에서 정치나, 사회, 윤리적인 문제들을 폭넓게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들을 감안한다면 데모크리토스는 레우키포스가 다분히 기계론적이며 결정론적인 원자 이론의 체계를 구상하고 있었다면, 데모크리토스는 그 기계론적인 결정론에 숨통을 터줄 수 있는 길을 원자론에서 모색하고자 했던 철학자였다.

 

2. 원자론

2.1 형이상학적 원리

[290]엘레아적 존재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시에 물리적 자연 세계의 현상적 변화를 받아들이기 위해서, 레우키포스는 빈 공간을 필요로 하였다. 그러나 존재의 본성은 파르메니데스에 의하면 존재하지 않는 공간(따라서 생각할 수도 없는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빈 허공이 존재한다는 것을 주장하는 일은 레우키포스나 데모크리토스에게 분명 쉬운 일은 아니었을 것이다. 그래서 그는 허공이 비존재라고 말하면서도, 그 비존재를 존재로서 인정하는 비논리적인 주장(파르메니데스적 입장에서)을 하고 있다. 허공이란 단순히 독자적으로 혹은 자체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원자들이 존재함으로써 의미를 지니는 비존재, 즉 원자들의 존재를 드러내 주기 위해서 그들 사이사이에 있는 비존재적 존재이다.

(...) 생성소멸이 없는 파르메니데스적 존재(on)는, 결국 원자론자들에게는 생성소멸하지 않는 무수한 존재들(onta)인 원자들로 산산조각 나게 되었다. (...) 그리하여 엠페도클레스와 아낙사고라스의 다원론에 의해 시작된 현상 구제의 과업은 원자론자들에 의해 일단락된 셈이 되었다.

 

2.2 원자의 본성

2.3 원자들의 운동

[297]원자론자들은 모든 방향에서 제멋대로 종잡을 수 없는 운동을 하는 원자들이 무한한 허공 속에서 자유롭게 존재한다는 사실 외에 원자 운동에 대한 적극적 원인을 제시해야 할 이유를 갖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원자들이 서로 부딪힐 때 움직이게 되는 그러한 운동은 물질의 영원한 내재적 특성으로 받아들여진다. 왜냐하면 그것은 시작이 없는 영원한 것이기 때문이다.

 

2.4 우주 형성론

[300]주500) 데모크리토스는 우연과 필연의 차이를 분명히 하지 않고 있다. 어떤 때는 우연과 필연을 구분 없이 혼용하고 있는데, 거트리에 의하면, 필연적 우연(ἀναγκεία τύχη: Sophocles, El., 48, Aj., 485)이라든가 플라톤의 필연으로부터 나온 우연에서(κατά τύχη έξ ἀναγκες: Laws, 889c)라는 표현들은 그 당시 자연철학자들에게 극히 자연스러웠다고 말한다.

 

[303]원자 자체가 지니고 있는 원리인 우연과 필연 그리고 이법 가운데, 우연이란 원자들이 아직 규정되지 않은 무질서 상태에서 활동하고 있는 것을 뜻하고, 필연은 그러한 무규정한 상태에 있는 원자들을 규정된 상태로 이끌어 가는 것이며, 이법은 규정된 존재자들을 생성과 소멸의 인과율에 따르게 하는 법칙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분은 이해를 위한 편의적인 설명이나, 엄밀히 말하자면 이들 원리가 원자 자체에 내재하는 것인 만큼 우연 속에도 필연과 이법이, 필연과 이법 속에도 우연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므로 현상과 실재를 구별한 원자론자들은 현상이나 실재 모두는 일정한 순환적 운동을 하고 있다고 보았다. 즉 실재(원자들)는 불확정적인 무질서로부터 질서 잡혀진 규정된 것들을 향하여 움직이며, 반면에 현상은(일단 규정된 것들) 다시 무질서의 실재로 복귀하는 운동을 하게 된다.

 

3. 인식에 관한 견해: 감각 지각과 사고

4. 윤리학과 사회 정치에 관한 견해

4.1 윤리학적 사유

[309]그[데모크리토스]에 의해서 사용되고 있는 윤리적 용어들은 자연학에 대한 깊은 탐구로부터 나오며 따라서 그의 존재론과도 연관을 가지고 있다. 그의 윤리적 사유에서 중심이 되는 개념은 euesto(잘 있음, well-being)이다. 그에 의하면, 모든 인간의 삶의 목적이 바로 잘 있게 됨에 있으므로, 여기에서 우리는 자연학에 대한 윤리적 언어의 연관성을 보게 된다. 이러한 윤리적 용어들 즉 마음의 평정을 뜻하는 기쁨(euthymia), 동요 없음(athambia), 평정(ataraxia) 등은 인간의 당위적인 삶과 관계가 있다. 물론 삶의 상태와 활동은 숙명적이지는 않고 어디까지나 인간의 자발적인 노력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잘 있기 위하여, 마음의 평온함에 의한 기쁨을 얻기 위하여 끊임없는 노력과 지혜가 필요하다.

잘 있음과 평정의 상태는 적도에 의해서 인도될 수 있는데 이 상태는 물질적인 것에 달려 있지 않다.

 

4.2 정치철학적 사유

[317]이 변형(metarysmoi)이란 용어는 원자의 형태(rysmoi)와 관계가 있다. 데모크리토스의 교육은 인간의 구조를 변화시키는 것이므로, 영혼의 운동 역시 물리적 세계의 운동과 같은 새로운 본성, 새로운 세계를 만드는 변형으로 이해된다. 영혼의 운동은 무분별, 무절제에 대적하여 올바른 적도를 가짐으로써 자신을 규제하고, 로고스에 의한 균형있는 삶을 영위함으로써 마음의 평화와 두려움이 없는 만족한 평온의 상태로 우리를 이끈다. 그의 원자들이 부조화와 무질서에서 질서와 균형 잡힌 결합으로 우주의 존재를 형성시키며 자연을 유지시키듯이, 인간의 삶에서도 누스는 영혼의 균형과 조화를 확보하면서 욕망, 무질서, 불균형에 맞서며 살아간다.

그러므로 데모크리토스의 윤리와 정치사상은 이러한 조화와 균형 있는 삶, 즉 행복한 인간의 삶을 실현시키기 위한 존재론과 연관된 시도로서 제시되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찾아보기  

펼친 부분 접기 ▲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R-Commentary] 김내균이 ‘이성적’과 ‘합리적’을 가르는 기준은 통상적인 어법과는 반대라고 보인다. 이렇게 보는 이유는 이 내용단락의 후반부에 진술되다시피, 소크라테스 이후를 ‘인간중심성’으로 바라보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그 기준은 실제로는 헤겔의 영향이 짙게 깔린 것이다. 헤겔의 ‘절대이성’과 그것의 ‘외화’로 퓌시스를 보면 그렇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그리스 고대철학의 관점과 동근원적이 아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합리성’은 그 자체로 ‘로고스'로부터 유래한 개념이라는 것이라는 것을 재고한다면 김내균의 이 언급들이 혼란스럽게 받아들여지는 것도 사실이다.   ☞ 로고스: 고대 그리스 철학이나 신학의 기본용어. 파토스(Pathos)와 대립되는 개념이다. 그리스어의 원래적 의미인 '수집되어 정리된 것'으로부터 전화하여 '언어'(말)를 의미했는데, 말은 보편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므로, 여기에서 개념, 논리, 이론, 사상 등의 의미로도 사용되었으며(아리스토텔레스에서는 논리학을 로고스의 학문이라고 부르고 있다.), 나아가 이성이라든가 세계의 이법(理法)도 표현하게 되었다. 로고스와 유사한 개념으로 중국사상에서는 '도'(道), 불교에서는 '법'(法)이라고 하는 것이 있다. 그리스를 보면 헤라클레이토스는 로고스를 우주 만물을 지배하는 이법으로 받아들이고, 이 사상을 계승한 스토아 학파는 그 범신론 사상에 기초를 두어 그것을 물리(物理) 정신의 양 세계를 관통하고 지배하는 '세계이성'이라고 했다. 로마시대로 넘어가는 시기의 유태 철학자 필론은 로고스를 신과 그가 창조한 세계를 중개하는 것으로서의 창조력이라고 설명했는데, 이것과 유사한 사고방식은 로마 말기의 플로티노스, 그 후에 기독교, 스콜라 학파에서도 볼 수 있으며 여기서 그리스도는 영원한 신의 아들인 '신의 말'=로고스의 실현이라고 한다. 마르크스주의 철학에 선행한 헤겔 철학에서는 로고스가 이성활동으로 파악되고 있다. 마르크스주의 철학은 로고스라는 용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철학사전』, 중원문화   ☞ 위키에 나오는 보다 상세한 설명도 참조: http://en.wikipedia.org/wiki/Logos   [22]퓌시스는 그 자체가 예술이다. 예술 감상은 수동적 통관(洞觀)에 의한 직관적 이해가 분석에 앞서지 않으면 안 된다.   [R-Commentary] 고대철학에 대한 이러한 신비주의적 사고가 어디까지 허용될 수 있는지 분명하지 않지만, 저자의 이런 시각이 충분한 정당화가 필요한 것만은 확실한 것 같다. 제1장. 철학적 사유의 전 단계 제1절 신화적 사고 1. 들어가는 말 2. 오르페우스교와 그 추종자들 [32]오르페우스교가 BC. 6세기와 5세기의 철학적 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기여하였는가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 입장이 있다. (...) 딜스(H. Diehls)와 크란츠(W. Kranz) 그리고 (...) 커크(G.S. Kirk)와 레이븐(J.E. Raven)은 오르페우스교의 영향을 인정하고 있으나, (...) 거트리(W.K.C. Guthrie)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 [33]그러나 비록 오르페우스교의 우주론과 인간에 대한 가르침이 종교적이며, 신화적인 형식을 빌려 나타나고 있지만, 그것이 철학적 사유의 발전으로 나아가게 해주는 디딤돌의 역할을 수반하고 있음 또한 부인하기 어렵다.   2.1 밤으로부터의 유래 2.2 서사시에 나타난 일반적인 신학적 이야기 2.3 히에로니모스와 헬라니코스에 의한 신학적 이야기 [36]이렇게 하여 신들의 여섯 세대가 완성된다. 즉 (가) 흐로노스(Chronos)와 아이테르, 카오스, (나) 파네스[헤시오도스에게는 ‘에로스’]와 밤[뉙스], (다) 우라노스와 가이아, (라) 크로노스(Kronos)와 레아, (라) 제우스와 페르세포네, (마) 디오니소스[자그레아스]   ☞ 이와 관련하여 원문 참조: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 pp. 43-44) “13. 다마스키오스(DK1B13)-히에로니모스와 헬라니코스-동일인물이 아니라고 할 경우-가 전해주는 신론([오르페우스교의 신론])은 이렇다. 그에 따르면 애초에 물과 질료가 있었으며, 이 질료가 굳어져 땅이 형성되었고, 물과 땅 이 두 가지를 먼저 근원으로 놓았다. … 두 근원 다음에 이것들-내가 말하는 것은 물과 땅이다-에서 세 번째 근원이 생성되었는데, 황소와 사자의 머리를 하고 가운데에는 신의 얼굴을 하고 어깨에는 날개를 단 뱀이었다고 한다. 또 같은 것이 늙지 않는 크로노스(Chronos)나 헤라클레스라고도 불린다고 한다. 그런데 그와 함께 있는 것은 아낭케[필연]인데, 이것은 본성(physis)상 아드라스테이아와 같은 것이고 빗물체적인 것으로서, 온 우주에 뻗어 있어서 그 경계에까지 닿아 있다고 한다. 내 생각에는, 모든 것을 낳는 원인으로 내세우기 위해 자웅일체로 상상한 점만 제외하고는 아낭케가 실체(ousia)에 상응하는 세 번째 근원이라 불린다. … 이 크로노스, 즉 뱀이 자손 셋을 낳았다. 그들의 말로는, 습한 에테르와 한정 없는 카오스, 그리고 이것들에 덧붙여 셋째로 안개 자욱한 에레보스를 … 그리고 나아가 크로노스가 이것들 안에 [세계] 알을 낳았다. … 이것들에 더하여 세 번째로 어깨에는 금빛 날개를 단 비물체적인 신을 낳았는데, 옆구리는 황소의 머리들을 가졌으며, 그 머리에는 온갖 짐승 모양을 닮은 무시무시한 뱀을 가졌다. … 그리고 이 신론은 프로토고노스를 칭송하고, 그를 모든 것과 온 우주를 질서 짓는 자로서 제우스라 부른다. 이 때문에 그는 판(Pan)이라고도 불린다.(『원리들에 관하여』 123)”   ☞ Herman Diels의 책은 온라인으로 볼 수 있다. Die Fragmente der Vorsokratiker griechisch und deutsch (1903) http://archive.org/stream/diefragmenteder00krangoog#page/n428/mode/2up   3. 헤시오도스 ☞헤시오도스(?~?): B.C. 700년경의 그리스의 보이오티아의 농민 시인이었다. 종래의 신 등에 관한 이야기들을 신들의 계보에 따라 정리하여 『신통기』(神統記)를 기술하였다. 이것은 우주발생론과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이오니아의 자연철학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 밖에 그의 윤리적 종교관을 나타내 주는 교훈시 「작업과 나날들」이 있다.-[철학사전], 중원문화   ☞Hesiod 관련 위키 사전: http://en.wikipedia.org/wiki/Hesiod   [40]헤시오도스는 기곤(O. Gigon)이 지적하고 있는 것처럼, ‘무엇이 가장 원초적인 것인가’에 대해서가 아니라 ‘처음에 무슨 일이 발생하게 되었는가’라는 문제에 주요한 관심이 있었다. 그의 신통기에는, 생성하지 않으면서 생성의 시작과 원리가 되는 것에 대한 추구가 나타나 있지 않다. 그는 그 문제를 대답하지 않은 채로 남겨 [41]두었다. 왜냐하면 그러한 질문을 피했기 때문이 아니라, 그 해답을 밝힐 수 있는 적절한 사고의 틀이 아직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고대의 우주 개벽론에는 우주가 이미 존재했었고, 지금도 존재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있을 그러한 것이기에, 그 이전이라는 것은 본래부터 없었다. 그러므로 ‘카오스 이전에 무엇이 있었는가’하는 질문은 의미가 없으며, 헤시오도스가 새삼스레 이 질문에 대답할 필요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R-Commentary] ‘생성의 시작’이라는 주제가 그리스인들에게 낯설었던 것은 오르페우스와 피타고라스의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그들에게 시간은 한낱 사라져 가는 어떤 것이 아니라 순환의 이미지로 알려진다. 이 순환의 경로 가운데, 카오스는 일정한 질료적 기반이 되는 것이고, 이는 ‘카오스’ 자체가 가지고 있는 특성으로부터 비롯되는 바, 시작의 이미지가 형성될 여지가 없는 것이다. 카오스는 그 자체로 시작과 종말, 이쪽과 저쪽의 구분을 무화시키는 ‘질료적 기체’라고 보인다.   3.1 독수리와 나이팅게일의 우화 3.2 정의에 관하여 4. 페레퀴데스 [44]페레퀴데스는 단편의 첫 번째 부분에서 제우스와 흐르노스 그리고 크토니에라는 세 신성에 대한 언급으로부터 시작하고 있다. (...) 페레퀴데스는 창조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힘쓰고 있는 것이 아니다. 단지 만물의 시작으로서, 헤시오도스적 카오스 대신 보다 논리적이고 또한 어원론적으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시간이라는 뜻의 흐르노스를 덧붙여 개입시킴으로써, 우주발생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여기에서 흐르노스는 변화하는 낮과 밤의 공통 기반으로서, 헤시오도스적인 카오스의 의미에 더 가깝다.   ☞페리퀴데스에 대한 DK의 원문은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pp. 72~85 참조. 단편 64로 표시된 곳을 보면 페리퀴데스는 탈레스와 마찬가지로 만물의 원질을 ‘물’로 보고 있다.   5. 초기 신화론적 사고의 종합 [32]이들의 신화론적, 우주 개벽론적 사고 가운데 우리의 관심을 끄는 흥미로운 사실은 신화적 사고의 흐름에 하나의 발전이 있다고 하는 점이다. 즉, 우주가 단일 존재에서 비롯되었다는 주장으로부터 여기에 대응하는 주장, 즉 다수로부터 우주 만물이 나오게 되었다는 해석이 그것이다. 오르페우스교의 관점에서는 흐르노스(Chronos)를 그 첫 번째 원리로 설정하나, 헤시오도스나 페레퀴데스 다수가 최초의 존재들에 대한 원인이라고 보고 있다.   [33]특기할 점은 권위주의와 특권 의식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했던 그들[그리스인들]의 자유로운 의식이다. 권위적 신앙으로부터 개인을 보호하면서 합리성에 근거한 평등과 균형 그리고 조화를 추구했던 사고방식이라고 말할 수 있다. 고대 중국이나 인도에서 종교적인 사고와 철학적인 사고가 오랫동안 미분된 상태로 지속되어 온 까닭도 어쩌면 위계질서와 계급 안에서 조화를 중식하는 가부장적 제도의 지속에서 그 주요한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제2절 7현인들의 시대 1. 린도스 출신의 클레오불로스(Kleoboulos) [49]모든 일에 적도(metron)을 가지는 것이 최상이다.   2. 아테네 출신의 솔론(Solon) [50]너무 지나치지 않게(meden agan: μηδέν αγαν).   3. 스파르타의 킬론(Chilon) [50]너 자신을 알라(gnothi sauton: γνωθι σαυτον).   4. 밀레토스의 탈레스(Thales) [51]보증을 서게 되면, 파멸이 곁에 있다.   5. 레스보스 출신의 피타코스(Pittakos) [51]친구를 나쁘게 말하지 말며, 적에 대해서는 좋게 말하지 말라. 왜냐하면 그것은 분별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6. 프리에네 출신의 비아스(Bias) [52]큰 도움이 안 된다면, 가난한 사람은 부자들을 높게 보지 말라.   7. 코린티오스 출신의 페리안드로스(Periandros) [52]민주주의가 참주정치보다 낫다.   [53]특기할만한 사실은 적어도 이들의 경구들 속에는 초기의 이른바 자연철학자들의 사고와 관련을 갖는 어떠한 우주론적인 특징이나 내용이 발견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초기 그리스 사상가들이 인간과 사회에 대한 적지 않은 실천적 관심을 가지고 있었음을 발견하게 된다. 그러나 인간의 사회적인 삶에 대한 관심이 비단 7현인들에게서만 집중적으로 나타났던 것은 물론 아니었다. 그것은 오르페우스를 비롯한 신화론자들의 사고 속에서도 나타났으며 (...) 자연철학자들의 철학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R-Commentary] 이 말은 자연철학자들이나 오르페우스, 7현인들이 ‘본격적으로’ 인간에 대한 사유하였다는 것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물론 인간에 대한 본격적인 사고는 소피스테스에서부터며, 이는 그리스 사회가 BC 480년 살라미스 해전 이후 그리스인들 자신들에 대한 자긍심이 최고조로 달한 시기와 일치한다는 것도 알아야 한다. 이에 대해서는 거스리의 논지를 참고하면 되겠다.   제2장. 밀레토스인들의 철학 들어가는 말 [57]주41) [철학의 시작에 대한 네 가지 특유한 의견들: (1) 스파르타에서부터 시작되었다는 주장. 이는 7현인들과 관련된다. 그러나 이는 삶의 교훈과 관련되므로 합리적 방식에 의한 이해와 인식이라는 철학의 본령과는 거리가 있다. (2) 헤시오도스를 시조로 보는 입장. 그러나 헤시오도스의 사고는 다분히 신화적인 부분이 많다. (3) 근동(페르시아, 아시리아, 바빌로니아)과 이집트로부터 그리스로 유입되었다는 설. 이러한 유입이 역사적 사실이긴 하지만 수학, 천문학 등에 대해 이론적으로 사유한 것은 그리스인들이 처음이다. (4) 아낙시만드로스를 시조로 하는 주장. 주로 Chernis와 Kahn에 의해 제기된다. 이들에 따르면 탈레스의 사유에서는 7현인과 같은 요소가 더 많기 때문에 탈레스를 시조로 보기는 힘들다는 것이다.]   ☞Kahn의 저서는 온라인으로 읽고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http://archive.org/details/anaximanderorigi00kahn   제1절 탈레스 1. 생애 2. 철학적 업적 [61]탈레스는 귀납적 방식에 의해서 ‘만물은 물엣 비롯되는 것이다’라는 일반 명제를 도출하고 있다. 그러므로 아리스토텔레스는 탈레스를 과학적 정신을 가진 인물로 평가하고 있다. (...) [그러나, Kirk와 Raven 등은] 탈레스의 우주론은 이미 이집트와 바빌로니아에도 있었고 그곳의 사제들로부터 그것을 배워 왔[다고 주장한다.] (...) 탈레스의 공적은 이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사물들의 생성소멸 과정을 보다 합리적으로 설명하고자 했다는 데 있다는 것이다. 결국 탈레스는 ‘이 세계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를 묻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이 세계가 그리고 그 안에 있는 사물들이 생겨나게 되었는가?’에 대한 물음을 묻고 있다는 것이다.   제2절 아낙시만드로스   ☞아낙시만드로스와 관련해서 온라인에 개방된 텍스트: http://archive.org/details/originsofscienti00desa 위의 Kahn의 텍스트도 참조.   1. 생애와 학문적 특성 2. 아낙시만드로스의 철학 2.1 우주론         2.2 철학적 단편 [69]탈레스는 물이 아르케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그것의 대립적 요소를 만들어낼 근거를 제시할 수가 없었다. 아낙시만드로스는 이 문제를 극복하고자 노력한 것으로 보인다. 즉 대립자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무한하다고 한다면, 나머지 대립[70]자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한계로 인하여 이에 필적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 다양한 대립적 요소들이 완벽하게 혼합되어 있는 아페이론 자체에서는 어떠한 힘도 다른 것을 지배할 수 없으며, 불의를 범할 수도 없다. 다만 세계가 형성되기 위해 분리가 일어날 때에 우열을 가진 대립적 힘들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힘들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힘들을 침해할 정도로 강하다고 해도 그러한 불의는 처벌되고 심판을 받음으로써 대립자들은 파괴되지 않고 아페이론 속에서 존립하게 된다. 그들은 다시 한 번 혼합될 뿐이며, 그들의 균형은 완벽하게 복구된다. (...) 그리하여 아낙시만드로스에게 이 세계는 그 어느 요소들도 다른 요소들을 침해토록 허용치 않는 것이므로 이 세계는 항상 정의롭게 유지된다고 간주되었다.   2.3 무한자 2.4 생물학적 단편 제3절 아낙시메네스 1. 생애와 사상   2. 만물의 원질로서의 공기   3. 변화의 과정: 농축과 희박 [80]아낙시메네스는 아낙시만드로스의 무한자를 가지고 사물들의 질적인 변화를 설명하기에 충분치 않다고 생각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 결국 공기의 농도가 사물의 질을 결정한다는 주장을 함으로써 아낙시메네스는 최초로 양과 질의 관계를 일[81]원론적으로 정립한 그리스 철학자가 되었다. 그의 일원론은 변증법적 유물론을 비중있게 받아들이는 곳에서 커다란 의미를 지닌다.   4. 우주발생론과 우주론 [83]그는 최초의 분리, 즉 공기로부터 농축이 어떻게 해서 일어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마치 아낙시만드로스의 무한자의 분리와 마찬가지로 영원으로부터의 운동(영원한 운동)이라는 말을 제외하고는, 그 역시 아무런 언급을 첨가하고 있지 않다.   [R-Commentary] 이들에게 ‘영원성’이란 어떤 의미를 띄었던 것일까? 철학시대로부터 비극의 시대까지 그리스인들의 ‘시간’이란 ‘회귀’(오르페우스, 피타고라스)와 ‘파멸’을 함께 함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덧없음’에 대한 아주 이른 깨달음이 ‘철학함’의 시작이었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언급을 참고한다면, 이들에게 이 모든 시간성들이 현상계의 덧없음으로 흘러가는 것이었을 수도 있다. 그렇다면 이와 다른 차원에서 ‘영원’이 존재한다는 것인가? 만일 그렇다면 그 시간은 초월적이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어떤 내재적인 영원성이 이들의 시간의식에 속함에 틀림없다.     제3장. 피타고라스와 그 학파 1. 피타고라스의 생애와 사상의 출처   2. 피타고라스 교설의 철학적 특성과 형성 [91]피타고라스가 철학자라고 부르는 사람은 혼의 정화를 통하여 운명과 출생의 굴레로부터 벗어나려고 부단히 애를 쓰는 사람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피타고라스 사상의 주요한 개념들은 관상(觀想: theoria)과 질서(秩序: cosmos) 그리고 정화(淨化: katharsis) 등의 개념들로 압축될 수 있을 것이다.   3. 영혼에 대한 교설과 이론들 3.1 영혼의 불멸과 윤회   3.2 영혼의 본성 [100]영혼조화설이 커크의 해석처럼 피타고라스 자신의 주장이 아니라, 그의 이론을 변형시켜 만든 알크마이온의 의술이론에 근거하는 것인지는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전자의 입장을 취한다면 피타고라스의 영혼불멸 이론이 영혼 조화설에 의해서 손상받을 수 있다. 왜냐하면 영혼이 조화라고 말할 경우, 우리는 영혼이 여러 요소들로부터 혼합된 실체라는 사실을 아울러 인정해야 하며, 또한 이 경우에 영혼은 심미아스의 주장과 같이 죽음과 더불어 사라져 버리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 [101]또 다른 가능성은 영혼이 물질적인 대립자들 간의 조화가 아닌 수와의 조화를 의미하고 있다고 했을 경우이다. (...) 그러므로 수의 본성이 조화이듯이 영혼도 조화라고 생각하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4. 학문적 업적과 가르침 4.1 조화로서의 음악   4.2 산술과 수학에 관한 철학적 이론 [110]주164)하나는 숫자의 시작이자 피타고라스 공동체에서 최상의 숭배를 받은 대상인데, 이 하나는 아폴론 신을 지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 까닭을 우리는 아폴론(Apollon)이라는 이름을 분석해 보면 알 수 있다. 그리스어 A는 부정 접두사로 아님을 뜻하고, pollon은 많다를 의미하는 형용사 polys에서 비롯되었으므로 아폴론의 문자상의 의미는 다수가 아닌 것, 즉 일자를 뜻한다. 일자를 또한 히페리온(Hyperion)으로도 불렀다. 히페리온의 문자상의 의미는 ‘넘어선 것’으로, 모든 수를 초월한 일자를 뜻한다. 플로티노스도 히페리온의 어원적 의미를 V5, 13, 19에서 밝힌 바 있다. 히페리온은 태양을 관장하는 신으로서 아폴론의 또 다른 이름도 된다. 훗날에 와서 태양은 일자의 상징이 된다. 이는 태양이 우주의 모든 생명체를 산출해 내는 것과 마찬가지로 일자도 보이지 않는 우주 속에서 모든 숫자를 산출해 내기 때문이다. D. K. 44A. K. Freeman(1966), 227쪽, 그리고 P. Gorman(1979), 116쪽 참조. 제4장. 크세노파네스의 철학 1. 들어가는 말   2. 비판적 신관   3. 신관의 긍정적 기여   4. 자연에 관한 이론   4.1 천체   4.2 피조물의 기원으로서의 물과 흙   5. 인식에 관한 크세노파네스의 견해   제5장. 헤라클레이토스의 철학 1. 생애와 철학적 특성   2. 퓌시스(physis)의 탐구   3. 불과 로고스 3.1 불   3.2 로고스 [135]명사로서의 로고스는 원래 동사 λέγω(lego)가 to reckon, to speak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사용될 때에 비로소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λέγω의 어근은 λέγ-로서 대체로 1. 모으다, 수집하다(최초의 예는 호메로스의 시가에서 나타나고 있다: “Τρωά󰐠 μέν λέξασθαί έϕέστιοι ὅσσοικἔασιν”: 도시에 사는 모든 트로이 사람들을 모아서 …), 2. 세다, 셈하다, 3. 열거, 매거하다, 4. 이야기하다, 말하다 등의 네 가지 주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logos 개념은 이상과 같은 동사 lego의 의미에 상응하여 사용되었다. 따라서 명사로서의 로고스는 collection, counting, reckoning, calculation, account, consideration, reflection, ground, condition, enunciation, catalogue, word, narrative 등의 의미를 지니며 발전하였다. 예문을 중심으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collection: 수집이라는 의미는 주로 복합명사 또는 파생어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를테면 παλίλ­λογος(pali-logos: 다시 모음, 다시 거두어 들임), σύλ­λογος(syl­logos: 결합, 회합, 집회), συλ­λογέυς(syl­logeus: 수집가), σπερμο­λογός(spermo­logos: 이삭줍기) 등. 2. narrative, word, speech, fable, story, conversation, legend: 말해진 것, 허구적이든 실재적인 것이든 어떤 이야기, 어떤 것에 대한 설명, 상황이나 환경에 대한 해명, 소식, 연설, 주고받는 말, 대화 일반, 신탁의 대답, 소문, 보고, 격언적으로 말해진 어떤 것, 언급, 주목, 행위나 사실에 반대되는 단순한 말, 조약, 명령, 쓰여진 작품의 한 단락 등을 의미한다. 3. thing, spoken of, things, matter: 어떠 어떠한 것, 사물이나 사건을 의미하는 경우에도 로고스가 쓰인다: Hdt,. I, 21: “모든 로고스[것]를 분명히 먼저 알았기 때문에 … ”(σαΦέως προππυσμένος παντα λόγον …), 같은 책, VIII, 65. : “그 로고스[것] 외의 다른 것은 말하지 말라”(… μηδένι ἄλλῳ τόν λόγον τούτον εἴπης). 4. counting, reconing, calculation, account, mention 그리고 새 take account of와 mention의 의미에서 자연스럽게 가치, 평가, 명성, 고려, 관심 그리고 생각 등의 관념이 생기게 된다. 5. correspondence, relation, proportion, measure: 대응, 비례, 비율, 관계, 적도, 기준. 6. 1과 4로부터 reflection, ground, condition, thought, cause, reasoning, consideration, true account of things, argument 등의 의미가 일상사와 철학에서 중요하게 사용된다. 7. general principle, reason, cosmic reason, rule, power of speech and thought: 일반적 원리, 이성, 우주 이성, 규칙, 언어와 사유의 힘.   4. 대립자의 통일   5. 존재자의 통일성을 가능케 하는 내재적 구조   6. 변화와 투쟁 [158]플라톤은 아마도 그가 동일한 강물에 한 차례도 들어갈 수가 없다고 믿은 크라틸로스에게 영향을 받은 것 같다고 한다. 만일 플라톤이 헤라클레이토스 단편의 의미를 크라틸로스로 인하여 잘못 이해하였다면, 다음과 같은 커크와 레이븐의 해석을 받아들일 수 있다. 전체로서 생각되는 강이라는 단일성(unity)은 물로 구성된 흐름(유전)의 규칙성에 달려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만일 “강은 세계이며”, “물은 세계의 부분들이다”라고 한다면, 강물의 비유는 다음과 같은 것, 즉 강의 단일성은 세계 내에 있는 요소들의 변화의 규칙성에 달려 있다는 것이 된다.   [R-Commentary] 글쎄? 커크와 레이븐이 ‘강의 단일성’이 ‘변화’로부터 온다는 것은 수긍이 가지만, 그것이 ‘규칙성’이라는 것은 단지 헤라클레이토스의 맥락에 천착하기 때문일수도 있다. 만약 ‘로고스의 신비’라는 헤라클레이토스의 다른 지점에 착안한다면, 그것은 ‘규칙성’이긴 하지만 다만 파생된 규칙성이며 보다 거대하고 중요한 것은 강 자체의 ‘우연성’일 것이다. 7. 인식론적 견해   제6장. 엘레아 학파의 철학 제1절 파르메니데스의 철학 1. 들어가는 말   2. 책의 서문   3. 진리의 길 3.1 탐구의 길들   3.2 진리의 길에 대한 논증   4. 억견의 길 4.1 억견의 길에 대한 해석의 문제 [182]진리의 길은 논리적 필연에 대한 확신으로 주어졌으나, 억견의 길은 가사적인 세계에 자신을 조화시키지 않을 수 없는 결과로 주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존재에 관한 물음이 억견에 관한 물음 없이 해결될 수는 없다. 비존재의 길은 생각할 수 없는 길이나, 억견의 길은 존재와 비존재의 세계를 왔다갔다하는 길(단편 6)이므로, 감각 지각에 의해 나타나는 억견의 길에 어떤 실재성을 파르메니데스는 주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마치 플라톤의 doxa(억견)와 마찬가지로, 비록 참은 아니더라도 부정할 수 없는 존재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말이다.   4.2 억견의 길에 대한 단편들의 해석 5. 인식에 관한 견해 제2절 제논의 철학 1. 들어가는 말 2. 잡다에 대한 제논의 논증 3. 잡다에 맞서는 제논의 파라독스 3.1 경주장 3.2 아킬레스와 거북이 3.3 나는 화살 3.4 움직이는 물체 제3절 멜리소스의 철학 1. 들어가는 말 2. 실재의 특성들 2.1 실재는 불생불멸 2.2 무한한 실재 2.3 실재의 다른 특성들 3. 상식에 대한 논박   제7장. 다원론자들의 철학 제1절 엠페도클레스의 철학 1. 들어가는 말 [216]파르메니데스에 이르러 이오니아 철학에 없었던 이러한 현상과 실재의 구별은 쉽게 조화될 수 없는 양자의 단절을 가져오게 하였다. 여기에서 실제와 현상 사이의 가교를 놓는 일, 즉 현상을 구제하는 일(σόζειν φαινόμενα)은 파르메니데스가 이후 사상가들에게 남겨 놓은 숙제가 된 셈이다. 그러므로 ‘파르메니데스적 존재가 아무런 손상을 입지 않고 어떻게 세계 속에서 운동과 변화의 문제를 수용할 수 있겠는가’하는 근본 문제는 엠페도클레[217]스를 비롯한 여러 다원론자들이 부여 받은 주요한 철학적 탐구 과제가 되었다.   2. 생애와 저작 3. 엠페도클레스의 자연 철학: 『퓌시스에 관하여』 3.1 네 개의 뿌리(rhizomata)와 요소들의 혼합에 의한 생성과 소멸 [224]이 네 가지 요소들은 생성된 것이 아니다. 생성하는 이 세계는 무로부터 온 새로운 탄생이 없을뿐더러 무로의 소멸도 없다. 출생이라는 것도 알고 보면 인간이 붙인 이름에 불과하다(단편 8). 요소들이 혼합되어 인간이나 식물, 혹은 새의 모습을 형성하게 되면, 바로 그것이 생성 혹은 탄생이라고 사람들이 부르는 것이다(단편 21, 23). 그러므로 요소들이 어떻게 혼합될 것인가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요소들의 많고 적음의 비율에 따라서 헤아릴 수 없는 다양한 사물들이 나타나게 되기 때문이다. [225]반면에 그렇게 형성된 사물들의 요소가 분리되면 거기에는 이른바 죽음이라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탄생이다, 죽음이다라고 말하는 것은 당연히 옳지 않다. 그러나 엠페도클레스 자신도 습관적으로 그렇게 부르고 있다(단편 9). 생성과 소멸을 실제로 믿는다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단편 11). 어떠한 것도 무로부터 생기지 않으며, 존재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파괴될 수가 없는 것이다(단편 12). (...) 이러한 입장은 인간의 삶에 대해서도 똑같이 적용된다. 즉 우리가 삶이라고 부르는 것은 존재도, 죽음도, 파괴도 아니다. 삶이란 요소들이 결합되어 인간을 만들고 있는 동안일 뿐이며, 죽음이란 단지 이 결합의 해체에 불과하다. 왜냐하면 어떠한 것도 무로 될 수가 없기 때문이다(단편 15). 삶의 본질은 새롭게 창조된 것도 아니며, 무로 없어지는 그러한 것이 아니라는 의미다(단편 23).   [R-Commentary] 요소들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과정(‘동안’)이 자연의 변화, 운동양상이고 그것이 그대로 삶의 양상이라는 것은 유물론이 지니는 낙관론이다. 이제 근동의 종교와 기독교가 이 낙관적 세계관에 ‘종말’과 ‘창세’라는 관념을 들여놓음으로써 정신사에서 하나의 대전환이 일어나는 것이다.   3.2 사랑(Philotes)과 미움(Neikos) 그리고 우주의 순환적 변화 1) 하나의 구체(球體): 사랑이 지배하는 시기 2) 미움이 증진되는 시기 3) 미움이 지배하는 시기 4) 사랑이 증대하는 시기 3.3 엠페도클레스의 우주 발생론 3.4 동물발생론 3.5 생물학 [243]엠페도클레스에게 ‘사랑은 결합이며, 미움은 분리다’라는 단순한 등식은 성립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우주 발생론에 나타나는 미움은 요소들로의 분리를 의미하며, 그런 점에서 그것은 요소들끼리의 친화성의 완전한 실현이 이루어진 것이라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고, 반면에 사랑의 영향에 의해서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게 되었을 때 요소들은 분리를 통한 통합을 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사랑의 활동은 그것이 같은 것이 되었든지, 다른 것이 되었든지 간에 일체의 것을 끌어당기고 결합하는 힘을 일반적으로 의미한다. (...) 미움은 요소들의 친화성과 더불어 분리시키는 작용으로 말미암아 개개의 생명체나 사물들의 생성과 소멸을 사랑을 가지고 가능케 만든다. 생명체에서 같은 것은 같은 것 뿐만 아니라, 다른 것을 추구한다.   [R-Commentary] 만약 이렇게 해석한다면 엠페도클레스는 명실 공히 최초의 자연변증법을 창시한 인물이 된다.   3.6 감각 지각과 사고 4. 『정화론』: 엠페도클레스의 신학과 종교 4.1 자연론과 정화론 4.2 『정화론』에 나타난 원죄와 윤회 1) 타락 전의 상태와 타락의 원인 2) 육화의 주기 및 육화된 상태 제2절 아낙사고라스의 철학 1. 들어가는 말 1.1 생애 1.2 저작 2. 아낙사고라스 철학의 시발 3. 아낙사고라스의 존재론적 원리 3.1 누스(Nous) 3.2 몫(moira)과 종자(씨: spermata), 대립자(ta enantia) 1) 몫 2) 종자 [271]아낙사고라스는 단순 실체라고 여기는 유기체나 무기물 등의 모든 티끌에다 종자란 이름을 붙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실체들의 티끌들은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서 동질서(homoiomere)라고 불렸다. 아낙사고라스 자신은 이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의 종자는 무한히 작은 티끌들로[272]서, 서로 같지만 정확하게 같지는 않다. 그것은 응고되었을 때 살, 머리칼, 뼈, 금과 같은 단순 실체를 부여한다. 우리가 한 동물, 식물의 종자라고 부를 때 이미 그것은 복합적이다. 결국 그것으로부터 발전하는 모든 실체들의 티끌들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안 된다. 3) 대립자 4. 아낙사고라스의 자연 과학적 견해 4.1 우주 발생론 4.2 천문에 관한 여러 견해들 4.3 동물과 식물 [279]생명체는 그들 내부에 누스[정신]의 한 몫을 가지고 있다. 비록 누스 자체는 그 무엇과도 혼합되어 있지 않다. 그것은 생명을 지[280]닌 것들 안에 있다. 그러나 이 말은 모든 살아 있는 것들이 지성(phronesin)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모든 인간 존재들까지 포함해서도 그렇다. 아낙사고라스는 또한 인간은 손을 가졌기 때문에 동물들 가운데에서 가장 지적으로(phronimotaton) 발달했다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러한 그의 생각에 반대하여, 손이란 인간이 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구로서 주어진 것이라고 말했다.   [R-Commentary] 아낙사고라스의 ‘지성’은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근대적인 의미의 정신주체를 의미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 그것은 환경과의 교호를 통해 형성되는 무엇이다. 여기서도 physis가 앞서는 것이지 nous가 앞서는 것이 아닌 것이다.   4.4 인식, 감각지각에 관한 견해 제3절 원자론자들의 철학 1. 들어가는 말 1.1 레우키포스 1.2 데모크리토스 [286]데모크리토스는 자신의 연구활동을 위하여 공적인 일, 특히 정치적인 일이나, 사적인 일들을 대부분 포기하고 저술 활동과 가르치는 일에만 몰두한 철학자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는 정치[287]나 일상사적인 일에 대해 무관심하였던 것은 아니었다 왜냐하면 그는 자신의 저술 속에서 정치나, 사회, 윤리적인 문제들을 폭넓게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들을 감안한다면 데모크리토스는 레우키포스가 다분히 기계론적이며 결정론적인 원자 이론의 체계를 구상하고 있었다면, 데모크리토스는 그 기계론적인 결정론에 숨통을 터줄 수 있는 길을 원자론에서 모색하고자 했던 철학자였다.   2. 원자론 2.1 형이상학적 원리 [290]엘레아적 존재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시에 물리적 자연 세계의 현상적 변화를 받아들이기 위해서, 레우키포스는 빈 공간을 필요로 하였다. 그러나 존재의 본성은 파르메니데스에 의하면 존재하지 않는 공간(따라서 생각할 수도 없는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빈 허공이 존재한다는 것을 주장하는 일은 레우키포스나 데모크리토스에게 분명 쉬운 일은 아니었을 것이다. 그래서 그는 허공이 비존재라고 말하면서도, 그 비존재를 존재로서 인정하는 비논리적인 주장(파르메니데스적 입장에서)을 하고 있다. 허공이란 단순히 독자적으로 혹은 자체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원자들이 존재함으로써 의미를 지니는 비존재, 즉 원자들의 존재를 드러내 주기 위해서 그들 사이사이에 있는 비존재적 존재이다. (...) 생성소멸이 없는 파르메니데스적 존재(on)는, 결국 원자론자들에게는 생성소멸하지 않는 무수한 존재들(onta)인 원자들로 산산조각 나게 되었다. (...) 그리하여 엠페도클레스와 아낙사고라스의 다원론에 의해 시작된 현상 구제의 과업은 원자론자들에 의해 일단락된 셈이 되었다.   2.2 원자의 본성 2.3 원자들의 운동 [297]원자론자들은 모든 방향에서 제멋대로 종잡을 수 없는 운동을 하는 원자들이 무한한 허공 속에서 자유롭게 존재한다는 사실 외에 원자 운동에 대한 적극적 원인을 제시해야 할 이유를 갖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원자들이 서로 부딪힐 때 움직이게 되는 그러한 운동은 물질의 영원한 내재적 특성으로 받아들여진다. 왜냐하면 그것은 시작이 없는 영원한 것이기 때문이다.   2.4 우주 형성론 [300]주500) 데모크리토스는 우연과 필연의 차이를 분명히 하지 않고 있다. 어떤 때는 우연과 필연을 구분 없이 혼용하고 있는데, 거트리에 의하면, 필연적 우연(ἀναγκεία τύχη: Sophocles, El., 48, Aj., 485)이라든가 플라톤의 필연으로부터 나온 우연에서(κατά τύχη έξ ἀναγκες: Laws, 889c)라는 표현들은 그 당시 자연철학자들에게 극히 자연스러웠다고 말한다.   [303]원자 자체가 지니고 있는 원리인 우연과 필연 그리고 이법 가운데, 우연이란 원자들이 아직 규정되지 않은 무질서 상태에서 활동하고 있는 것을 뜻하고, 필연은 그러한 무규정한 상태에 있는 원자들을 규정된 상태로 이끌어 가는 것이며, 이법은 규정된 존재자들을 생성과 소멸의 인과율에 따르게 하는 법칙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분은 이해를 위한 편의적인 설명이나, 엄밀히 말하자면 이들 원리가 원자 자체에 내재하는 것인 만큼 우연 속에도 필연과 이법이, 필연과 이법 속에도 우연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므로 현상과 실재를 구별한 원자론자들은 현상이나 실재 모두는 일정한 순환적 운동을 하고 있다고 보았다. 즉 실재(원자들)는 불확정적인 무질서로부터 질서 잡혀진 규정된 것들을 향하여 움직이며, 반면에 현상은(일단 규정된 것들) 다시 무질서의 실재로 복귀하는 운동을 하게 된다.   3. 인식에 관한 견해: 감각 지각과 사고 4. 윤리학과 사회 정치에 관한 견해 4.1 윤리학적 사유 [309]그[데모크리토스]에 의해서 사용되고 있는 윤리적 용어들은 자연학에 대한 깊은 탐구로부터 나오며 따라서 그의 존재론과도 연관을 가지고 있다. 그의 윤리적 사유에서 중심이 되는 개념은 euesto(잘 있음, well-being)이다. 그에 의하면, 모든 인간의 삶의 목적이 바로 잘 있게 됨에 있으므로, 여기에서 우리는 자연학에 대한 윤리적 언어의 연관성을 보게 된다. 이러한 윤리적 용어들 즉 마음의 평정을 뜻하는 기쁨(euthymia), 동요 없음(athambia), 평정(ataraxia) 등은 인간의 당위적인 삶과 관계가 있다. 물론 삶의 상태와 활동은 숙명적이지는 않고 어디까지나 인간의 자발적인 노력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잘 있기 위하여, 마음의 평온함에 의한 기쁨을 얻기 위하여 끊임없는 노력과 지혜가 필요하다. 잘 있음과 평정의 상태는 적도에 의해서 인도될 수 있는데 이 상태는 물질적인 것에 달려 있지 않다.   4.2 정치철학적 사유 [317]이 변형(metarysmoi)이란 용어는 원자의 형태(rysmoi)와 관계가 있다. 데모크리토스의 교육은 인간의 구조를 변화시키는 것이므로, 영혼의 운동 역시 물리적 세계의 운동과 같은 새로운 본성, 새로운 세계를 만드는 변형으로 이해된다. 영혼의 운동은 무분별, 무절제에 대적하여 올바른 적도를 가짐으로써 자신을 규제하고, 로고스에 의한 균형있는 삶을 영위함으로써 마음의 평화와 두려움이 없는 만족한 평온의 상태로 우리를 이끈다. 그의 원자들이 부조화와 무질서에서 질서와 균형 잡힌 결합으로 우주의 존재를 형성시키며 자연을 유지시키듯이, 인간의 삶에서도 누스는 영혼의 균형과 조화를 확보하면서 욕망, 무질서, 불균형에 맞서며 살아간다. 그러므로 데모크리토스의 윤리와 정치사상은 이러한 조화와 균형 있는 삶, 즉 행복한 인간의 삶을 실현시키기 위한 존재론과 연관된 시도로서 제시되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찾아보기   펼친 부분 접기 ▲  " />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