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태기 씨의 모노드라마 〈돈〉에는 돈의 행방에 따라 여러 인물이 등장한다. 마지막 재산 1천 원을 털어서 산 복권이 당첨돼 벼락부자가 된 실직자. 그 돈을 탈취한 강도. 그 강도로부터 청혼을 받는 창녀. 강도가 목욕하는 사이에 돈 가방을 훔쳐 병에 시달리는 애인에게 달려간 창녀. 돈 때문에 사랑하는 여자를 사창가에 내몬 죄책감을 견디지 못하여 자살한 애인. 이 연극에서 ‘돈’은 화폐로서의 ‘돈’을 비롯해 “윤회한다”는 의미의 “돈다”와 “미친다”는 뜻의 “돈다”는 의미를 동시에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돈이 사람을 사이코로 만드는 기능만 갖고 있는 것은 물론 아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이 갖고 있는 첫 번째 기능은 의식주를 해결하여 준다는 것이다.
-알라딘 eBook <세이노의 가르침> (세이노 지음)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