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마의 산
작업이 시작되고 30분이 지났을 때, 실험자가 방으로 들어와 그들이 작업을 하고 있는 테이블 위에 달콤한 냄새가 풍기는 초콜릿칩 쿠키를 갖다 놓았다. 접시에는 쿠키가 네 개가 아닌 다섯 개가 놓여 있었다. 마지막 남은 음식은 남겨야 한다는 식탁 예절을 고려한 것이다. (칵테일파티에서 애피타이저를 돌릴 때, 마지막 한 개는 접시에 남기고 주방으로 물리는 게 일반적이다.) 어쨌든 접시에 다섯 개의 쿠키가 있었으니, 실험 참가자 가운데 한 명은 하나 더 먹어도 될 터였다. 그래서 관찰하였더니 더 큰 권력을 부여받은 참가자가 쿠키를 한 번 더 집을 확률이 다른 참가자에 비해 두 배나 높게 나왔다. 기억할 것은 그 권력이 재능, 기여도, 자격, 연륜에 의해서가 아닌 제비뽑기로 주어졌다는 사실이다. 그럼에도 권력을 부여받은 이는 자신이 더 먹을 자격이 있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먹는 일에선 이기적 충동과 다른 사람에 대한 관심 사이의 섬세한 균형 잡기가 요구된다. 되새김질, 입을 벌리는 행위, 침을 흘리는 행위는 식탁 예절에서 금기시 된다. 우리가 어릴 때 듣던, ‘입 벌리고 먹지 말라’, ‘입안 가득 음식을 넣고 게걸스럽게 먹지 말라’는 얘기도 떠오른다. 이런 식탁 예절을 기준 삼아, 우리 연구팀은 수개월에 걸쳐 실험 참가자들이 쿠키를 먹는 영상을 분석하는 작업을 했다. 특히 충동적 행위를 보여주는 다음과 같은 지표에 주목했다.

입을 벌리는 정도

입맛을 다시고 쩝쩝거리는 횟수

음식물을 흘리는 횟수

분석 작업을 끝내고 보니 이보다 더 명료한 결과는 나올 수 없었다. 권력을 부여받은 참가자들이 더 충동적인 식습관을 보였다. 입 벌리고 음식을 먹고, 입맛을 다시고, 스웨터에 음식물을 흘리는 일이 더 많았다. 다른 사람이 어떻게 볼까 하는 문제에 개의치 않는 게 역력했다. - <선한 권력의 탄생>, 대커 켈트너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fb594fb308b045d9

단순히 참가자들에게 자신이 권력을 가졌던 때를 회상해보라고 했다. 이런 식으로 잠시나마 권력을 체감하게 했을 뿐인데도, 참가자들이 비도덕적 행위를 지지하는 경우가 증대했다. 자신에게 권력이 있다고 느끼는 사람일수록 탈세를 하고, 출장 경비를 부풀리고, 고속도로에서 과속하는 것에 대해 무슨 문제냐는 식의 태도를 보였다. 권력을 갖게 되면 우리의 도덕관념은 옅어지기 시작한다. 권력에서 비롯된 도덕적 해이는 사회에 큰 해를 끼칠 뿐만 아니라, 권력을 가진 이가 다른 사람으로부터 존경과 인정을 받을 수 없는 주요인이 된다(원리 5에서 8). 그런데 존경과 인정은 영향력을 유지할 수 있는 기반이다. - <선한 권력의 탄생>, 대커 켈트너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fb594fb308b045d9

이런 결과들을 발표하자, 뜨거운 반응의 이메일들이 쏟아져 들어왔다. 어떤 이들은 매우 격분하여 버클리 빨갱이, 복지에 편승한 게으름뱅이, 미국을 망치는 이민자, 감옥에 처넣어야 할 정신병자 소시오패스라고 욕설을 퍼붓는 편지를 보냈다.

그러나 부유한 자들의 도덕적 해이에 대한 이야기를 적어서 보낸 이들이 더 많았다. 부유한 고객에게 대금을 떼인 도급업자 사연, 교통법규 위반으로 BMW를 세웠는데, 그 차주로부터 일장 훈시를 들었다는 경찰관 사연 그리고 휴가철 음식점에서 고맙다는 말도 팁도 건네지 않는 부유한 손님을 서빙한 종업원 사연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나는 갑부들을 대상으로 재정 상담을 하거나 CEO 비서로 일하는 사람들로부터 갑부들의 경악할 만한 도덕적 해이를 목격한 이야기도 들었다. - <선한 권력의 탄생>, 대커 켈트너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fb594fb308b045d9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