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나는 일을 하고 있는 중이었다.
신입으로 입사한 지 막 두 달이 지나고 있는 시점이었고, 현장 지원을 위해 나가 있던 호텔의 회의실에서 누군가 ‘헉!’ 하며 큰 소리를 냈다. 그리고 한 켠에 덩그러니 놓여 있던 TV를 켰다. 화면 속에는 바다 한 가운데 선 배가 위태롭게 기울어 있었다. 배는 점점 가라앉고 있었다.
하지만 나는 일 때문에 정신이 없었다. 걱정스러운 마음이 드는 것도 사실이었으나, 전날 밤을 거의 뜬 눈으로 보낸 탓에 틈만 나면 화장실에 가서 5분씩 졸다 나오기 바빴고, 당장 내일부터 며칠간 이어질 행사를 준비한다고 선배들이 불러대는 통에 정신이 없었다. 잠시 틈을 타 회의실에 들어왔더니 상석에 앉아 있던 팀장님이 말했다. ‘배에 타고 있던 사람들 다 구조됐대!’ 잠이 부족해 해롱해롱한 데다 정신이 쏙 빠져 있는 상태였지만 마음이 놓였다. 그리고 사고 소식은 잠시 잊은 채 행사를 마쳤다.
구조되었다는 소식은 오보였다. 너무 많은 사람이 희생되었다. 생전 처음 들어보는 ‘팽목항’이라는 곳에 온갖 사람들이 몰려갔다. 피해자 가족들은 물론이고 실종자 수색을 위한 경찰과 잠수부에 소식을 전하기 위해 진을 친 미디어와 실제로 걱정을 하는 건지 걱정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싶은 건지 알 수 없는 정치인들까지.
그러나 속 시원한 뉴스는 들려오지 않았다. 시간이 지나면 무언가는 밝혀지겠지, 무언가는 해결되겠지, 라는 기대가 무색하게 10년을 내리 고착 상태에 있다. 10년 사이에 많은 일이 있었다. 세월호가 가라앉고 있을 때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야 할 시점에 자취를 감추었던 대통령이 탄핵된 이후 정권은 두 번이나 바뀌었다.
“촛불로 정권이 바뀌었지만 진상 규명은 여전히 지난했다. ‘매듭이 풀리려나 싶으면 다시 묶이는 것 같은’ 시간이었다.”(30쪽)
그러나 변한 건 없었고 정부와 사회의 안전 불감증으로 인한 참사는 끊이지 않고 발생했다. 10년 전으로부터 아무것도 배우지 못한 거다.
“국가가 뭘 해준 건 없다고 생각해요. 보상도 저희가 노력해서 쟁취한 거죠. 이태원참사를 봐도 여전히 국가가 저희를 지켜준다, 보호해 준다, 그런 느낌은 없는 것 같아요.” (208쪽)
그렇기에 이 시점에 우리는 10년 전을 되돌아보며 지금 우리의 위치를 다시금 생각해 봐야 할 필요가 있다. 세월호참사 10주기 위원회에서 기획하여 펴낸 <기억의 공간에서 너를 그린다>를 읽어야 하는 이유다.
“왜 구하지 않았고 왜 침몰했는지를 알아야 책임자를 처벌하고 그 이후에 안전사회로 갈 수 있는 목표가 정해진다, 저는 처음부터 그렇게 확신했어요. 아무도 처벌을 안 받는데 어떻게 안전사회로 가겠어요.
10월 29일, 이태원참사 일어났을 때 제 느낌이 어땠는지 알아요? 똑같이 가겠다. 길게 끌면 안 된다, 빨리 끝내야 된다. 정부가 세월호 보고 학습한 거예요. 오송참사도 마찬가지고 이태원참사 일어났을 때 더 확고해졌는데 한계를 느끼니까…” (38쪽)
* * *
책은 크게 1부와 2부로 나뉜다. 1부에는 “전국의 주요 기억장소, 기억공간을 찾아가 10년 동안 그곳을 지켜온 사람들의 이야기”가 실려 있다. 자원봉사자, 안산에 있는 ‘기억과 약속의 길’을 지키는 걷고 지키는 사람들, 기억교실, 기억관을 지키는 사람들의 이야기와 10년 동안, 그리고 10년이 지난 지금 그들의 생각이 정리되어 있다.
2부는 피해자들의 이야기이다. 벌써 20대 후반이 된 단원고의 생존자 학생들, 그리고 그 수가 충격적이었던 탓에 비교적 주목을 덜 받았던 일반인 생존자, 유가족 등 남은 이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사고가 발생했을 때 너무 울어서 시력이 망가진 분도, 이가 다 무너져 내린 분도 있다(55쪽)는 말이 충격적이었다. 대체 얼마나 울고 얼마나 고통스러웠으면 시력이 망가지고 이가 무너져 내렸을까.
현재 우리는(대한민국 국민은) 탑다운top-down 방향으로는 사회가 바뀌기 어려운 시대를 살고 있다. 보텀업bottom-up으로 뜻을 적극적으로 알리지 않으면 의사 결정권자들은 대중의 의사를 알려고 하지 않는다. 바로 어제 총선에서 모두가 직접 목도하지 않았나.
“이제 그만하라고 그러더라고요. 저는 아직도 이해가 안 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화가 났는데 점점 아무 일도 아닌 것처럼. 이래도 되는 건가, 아무것도 해결되지 않았는데 시간이 지났다고 없던 일처럼 여겨도 되는 건가 싶었어요.” (169쪽)
참사는 반복되지만 반복되는 만큼 충격에 대한 사람들의 역치는 낮아져 아무리 충격적인 사고 소식이라 해도 뇌리에서 잊히는 시간은 짧아진다. 결코 바람직한 현상은 아니다. 사람이 일으킨 재난, 즉 인재는 절대 잊혀서는 안 된다. 반복하지 않기 위함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미 2014년 4월은 커녕, 2022년 10월 29일도, 2023년 여름의 오송도 조금씩 잊고 있다. 가끔씩 ‘아, 그런 일이 있었지!’라며 떠올릴 뿐이다.
“안전한 사회를 위한 약속에는 나와 사랑하는 내 가족의 안전도 포함되어 있다. 결국 우리는 모두 연결되어 있다.” (57쪽) 이 모든 아픔들이 남의 일이 아니라는 건 겪기 전에는 체감하기 어렵다. 그러나 이 아픔과 고통을 직접 겪음으로써 체감해서는 안 되지 않겠나. 내 일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지나가는 발걸음에 흘깃 보며 ‘아직도 세월호야?’ ‘노란 리본 아직까지 붙이고 다녀?’ ‘이제 그만 좀 하지, 언제까지 시위할 건가.’라고 말하고 생각한다. 그러나 “참사를 공간화하고 형상화하는 것은 희생된 아이들의 비극과 고통 속으로 들어가 그들의 아픔에 공감함으로써 공동체의 안전한 미래를 약속한다는 의미이다.”(57쪽) 잊지 않아야 반복하지 않는다.
* 하니포터8기 활동을 통해 제공받은 도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