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하면 글을 잘 쓸 수 있나(1)
스스로 백치라 생각하고 엄격한 문장 수련 - 이인화
‘영원한 제국’의 소설가 이인화(35)씨는 “좋은 글이란 엄격한 문장 수련과 문학수업을 통해 도달할 수 있다.”고 말한다. 실제로 그는 엄격한 문학수업 시절을 거쳤다. 춘원 李光洙(이광수), 金允植(김윤식), 李御寧(이어령)의 글을 거의 다 통독했다.
“그분들의 글이라면, 그분들이 평생 동안 쓴 것을 모두 다 찾아 읽었습니다. 그분들의 글에 모자라는 것을 찾아 보충한다는 생각으로 제 글을 써왔을 정도입니다. 한마디로 私淑(사숙)한 거죠. 첨삭 지도는 아버지께 받았습니다. 아버지는 무척 자상하신 편이었고, 글쓰기에 대해 많은 얘기들을 들려주셨습니다. 그리고 고등학교 때 ‘계단문학동인회’라는 문학서클에서 활동했는데, 그 때 자기 나름의 방식대로 후배 글을 평해주고 다듬어 주던 선배들과 친구들이 참 고마웠습니다.”
그는 소설을 쓸 때, 쓰려고 하는 소재에 대한 공부부터 시작한다. 그 방면의 모든 책과 논문, 자료들을 읽고 꼼꼼히 노트하는 과정을 거쳐, 다 알았다는 느낌이 들 때까지 공부한다. 소재를 완전히 장악했다는 자신감이 들지 않는 한 그의 공부는 계속된다. 그렇게 하면 시간이 많이 걸리긴 하지만, 그렇게 하지 않고 쓸 때보다 오히려 전체 시간은 단축된다고 한다. 그 소재에 있어서는 어떤 학자보다 더 많이 알고 쓰고 싶은 게 소설가로서 그의 욕심이다.
“좋은 글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흔히 두 가지 답변이 있습니다. ‘글은 그 사람이다’라고 하면서 인격이나 사상의 완성이 바로 좋은 글을 쓸 수 있는 요건이라는 비교적 전통적인 입장이 그 하나지요. 다른 하나는 ‘글은 만들어 내는 것이다’라고 하면서 글 자체에 대한 장인적인 성실성을 강조하는 현대적인 입장입니다. 前者(전자)가 전통적인 文士(문사)의식이라면 後者(후자)를 현대적인 예술가의식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제 경험으로는 후자를 통해서 전자에 도달하는 것이 현대사회에서 가능한 최선의 글쓰기가 아닌가 하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글 자체에 장인적으로 성실하게 몰입하다 보면 생활 자체가 점점 더 단순해지고 소박해지고 헛된 욕심을 버리게 됩니다. 글 쓰는 것 외에 실제의 삶에서 재미를 찾지 못할 때, 한없이 허전하고 외로워서 글을 쓰고 고치는 것 외에는 마음 붙일 곳이 없다고 느낄 때 좋은 글이 나오고 그 사람의 삶도 일체의 장식을 털어 버린 겨울나무처럼 건실함과 확고함을 갖게 된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는 ‘文氣(문기)’라는 것은 그 사람 자체의 氣와는 다른 별개의 것이며, 오로지 글만이 자신의 인생 전체를 떠받치고 있다는 절박감이 있을 때만 생기는 힘이라고 본다. 단순히 흠 없는 글을 넘어 영혼까지 감동시키는 명문장의 비밀은 바로 이 ‘절박감’에 있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글을 잘 쓰려면 우선 수공업적인 첨삭수업 없이는 안 된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자기 힘에 알맞은 작은 소재를 택해서, 충분히 공부하고, 너무 소심한 것이 아닌가 싶을 만큼 단어 하나, 구절 하나, 문장 하나를 따지고 고친다면 누구나 좋은 글을 쓸 수 있습니다. 高名(고명)한 교수의 강의를 듣거나 어떤 계기로 깨달음을 얻었다고 해서 자기 글이 갑자기 좋아지는 건 절대 아닙니다.”
이인화씨는 자신을 가장 괴롭히는 것은 더 좋은 글을 쓸 수 있었는데 그때마다 큰 소재로 大作(대작)을 쓰겠다는 욕심, 불충분한 공부, 철저하지 못했던 첨삭과 퇴고로 미흡한 글을 만들고 말았다는 후회라고 고백했다. 그런 의미에서 좋은 글을 쓰는 것은 결국 자기 자신의 인간적인 미숙함과의 싸움이 아니겠느냐고.
자료제공 : 월간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