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리텔링 작법의 비밀> 답답해서 못 읽은 책. 유용한 내용이 없어서이기도 했고, 현실의 내용을 담은 거라기에 지겨웠다.
실전 없이 교육 이야기하거나 실력 상승 방법을 전달하는 게 아니라..심지어 이것도 조심해야 하건만 어쨌든 무슨 인간성이든 논리랑 실전 경험을 제대로 풀어서 적지 않는 경우가 허다해서 서적 불평
작법이든 동기부여든 사람 교육을 어쩌고든 사람에 관한 내용있는 듯이 적은 부분이 제일 마음에 안 든다. 전혀 티가 안 나는데 스스로 인생도 잘 못 사는 사람이 적었다는 생각이 든다. 현실의 인생에 적응도 잘 못하는 사람같고 황당하다. 다른 사람에게 필요한 게 마치 스스로에게 있다는 듯이 의견을 적어내는 사람들은 큰소리치고 다른 사람에게 피해만 줄 뿐인 경우가 훨씬 많다. 필요도 없는 일인데 왜 그럼 시끄러운 소리내고 윽박지르고 스스로의 기준을 남에게 또 시끄럽게 전달하는 걸까. 그것은 근본적으로 모자란다는 사실을 인정하기 싫기 때문이다. 존재 자체가 결핍과 부족으로 가득한 채로 남의 눈에 띄지 말아야 하는 것은 당신이라고 말해주고 싶다. 도무지 어디가 겸손한건지도 모르는 사람의 글을 읽고 싶지 않다. 부족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것도 아니고, 계속해서 본론 이야기해도 본인이 합리화해서 할 일을 만들어대는 건 그대로라서 대화하고 싶지 않다.
<Save the cat! : 흥행하는 영화 시나리오의 8가지 법칙> 현실적인 직업과 과업의 토론하는 장에 발 담가본 내용이 있는 책이다. 다만 나에게 필요가 없는 책이다. 무엇이라고 하는 목적어인지 주어가 중요하지도 않았고 아예 듣도 보도 못해서 필요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뜻에서 필요없다는 말이 떠올랐다. 서양인이 아니면 이 책에서 무능함/이해력이나 자격 증명 이 둘로 갈리는 해석을 하겠지. 전자는 하나도 얻어가는 것이 없을 거고, 후자는 실제 사람 상황이든 성격이든 본인이 느끼거나 아는 것을 통해서 들을테니 유용할 수도 있고, 유용하지 않은 부분도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