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나이조


좋은 친구와 술자리를 하면서 우리의 골치를 썩게 하는 갖가지 문제들에 대해 이야기했다. 그 중 맨 앞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역시 가족. 나이드신 부모님의 나날이 쇠해가는 모습, 내가 선택해 만든 가족인 남편과의 트러블.... 평범한 우리에게도 가족은 한 권의 책이다. 비록 아무도 읽어주지 않는다 해도, 당사자에게는 한없이 절절한 것이다.

뜬금없고 좀 청승맞기까지 한 생각이지만, 사람들을 보면서 문득 '대견하다'고 느끼게 되는 요즘이다. 전쟁 같은 삶 속에서 어떻게든 제 자리를 만들어내면서 모두들 살아가고 있다. 매일 달콤한 잠자리를 애써 떨쳐 일어나 세상으로 나가고, 이별과 만남을 반복하면서.

그런 생각을 하게 된 이유를 곰곰 생각해 보니, 두 권의 책의 영향이 컸다. 그 하나는 릴리 프랭키의 <도쿄 타워>였고, 다른 한 가지가 이 <만사 오케이>. 둘 다 재기발랄한 일본소설이면서, 가족을 주제로 다룬다는 공통점이 있다. <만사 오케이>는 처음으로 읽는 다이라 아스코의 소설이다. 능청스러운가 하면 뱃속에 구렁이 열댓마리 감춘 것처럼 은근하기도 한 필력이 인상적이어서 검색해 보니, 쉰을 넘은 나이 지긋한(?) 작가였다. 그렇게 다양한 세대를 자유자재로 넘나들 수 있는 비밀을 조금은 알게 된 기분. 소녀처럼 발칙하고 소년처럼 기개가 넘치지만, 세상사 달관한 아주머니의 넉넉함으로 인물들을 아우르는 것이다.

주인공 가타오카 가족은 책 표지에 나온대로 '콩가루 가족'이라는 표현이 무색하지 않다. 철저히 각개전투로 끊임없이 일을 친다. 뉘우칠 줄 모른다. 학습 효과, 교훈 따위의 따분한 표현은 이 가족이 보고 자란 사전에서는 애초에 빠져 있었던 것 같다. '한 대 때려주고 싶은 사람들'이라는 점에서는 영화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의 마츠코를 떠올리게 하는 구석도 있다.

생각해 보면 매일의 모든 행동이 손가락질 당하지 않기 위해 하는 것들 뿐이다. 지각을 해서는 안돼. 너무 짧은 치마를 입고 회사에 가서는 안 돼. 늦은 시간에 전화를 해서 몇 시간이나 떠들어서는 안 돼. '너무 사랑해서도' 안돼. 보답받을 수 없는 애정을 퍼붓는 것도 안돼. 어쩌면 단지 우리의 행동을 규정짓는 것은 왜소한 공포심일 지도 모를 일이다.

그래서 인간 속의 밝음 뿐 아니라 어둠까지 적나라하게 드러내 보이는 존재를 직시하기란 힘든 일이다. 그러나 끝까지 이 책을 낄낄대며 읽을 수 있는 이유, 고개를 설레설레 저으면서도 상쾌할 수 있는 이유는 섣부른 잣대가 없기 때문이다. 단죄하고 옥죄는 수많은 평가의 시선, 시선들. 우리가 도망가고 싶어하는 바로 그것 말이다.

행복한 가족을 이야기하기 위해, 작가 다이라 아스코는 '행복한 개인'을 탐구한다. 간단해 보이지만 쉽게 얻을 수 없는 통찰이자 발상의 전환이다. 우선 행복한 나와 너가 되지 않는다면 '우리의 행복'도 없다. 그리고 행복해질 수 있는 길은 모두가 각자 다르다. 그것을 먼저 짚고 넘어가지 않는다면 가족의 행복이란 것도 TV 광고 속에나 나오는 허상일 뿐일 게다. 자, 그러니 가족 소설도 이젠 쿨해질 때가 되었다. 그런 면에서 다이라 아스코란 작가는 영리한 선각자임에 분명하다.

한 가족-아버지대, 딸대, 손녀대에 이르는 방대한 한 가족-에 대한 두터운 일대기를 숨돌릴 틈 없이 읽어낸 후에는 "될대로 되라"는 자포자기 아닌 발칙한 용기가 마음 속 가득 파고든다. 누구에게나 인생은 한 편의 소설이다. 평범하지만 대견한 우리에게도. 그러니 하단전에 힘 빡주고, 만사 오케이!

 

종업원은 손님에게 하찮게 여겨지고, 손님은 손님대로 쓸모없는 놈이다 식충이다 하며 회사 사장에게 하찮게 여겨지고, 또 그 사장은 젊은 여사원에게 역겹다며 하찮게 여겨진다. 결국 모두가 서로를 하찮게 여기고 있다. 그래서 세상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이라면 좋지 않은가. 일일이 눈 꼬리를 치켜뜨는 건 쓸데없는 짓. 그렇게 생각하자 오히려 편해졌다. p245

시간은 무표정하게 앞으로 앞으로 나아간다. 그렇기에 ‘우연’이라는 것은 두 번 다시없는 보물상자다. 그 속에서 무엇이 튀어나올지 열어보지 않고서는 알 수 없다. 열지 않고 지나치는 방법도 있지만, 다카코는 일단 주운 지갑 안은 살펴보는 성격이다. 그리고 좋은 것이 있다면 취한다. p269

아아, 나도 가족도 나름대로 잘하고 있어. 남편의 일은 남편에게, 아이들의 일은 아이들에게 맡기고, 좋을 대로 하고 있으니 여한은 없어. 내 일은 내게 맡겨. p271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