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이 책의 리뷰를 쓰는 이유는 단 하나다.
사실 나는 이 책에 대해서 별 느낌이 없었다. 많이 알려진 책이기에 언제 한번 읽어봐야겠다 생각하고 있었고, 얼마전에 책을 읽어봤는데 그리 큰 인상은 없었기에, 그냥 그런가보다 하고 잊어버렸다. 책을 읽고 난 소감은 우선 '대체 스키너는 어떤 사람인가'하는 궁금증이었고, 그 다음, 이 책의 알맹이, 즉 심리학적 내용(실험의 결과와 성과 같은 것)은, 책의 컨셉트에 비해 평이하다는 점 정도였다.
그런데 며칠전 우연한 일로 구글에서 "로렌 슬레이터"로 검색을 하다가 의외의 사실을 발견했다. 바로 이 책에 대한 강렬한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는 것이었다. 비록 나는 이 책을 심심하게 읽었지만, 외국에서도 상당히 인기가 좋고 우리나라에서도 좋은 평을 받는 이 책이 왜 그렇게 강렬한 비판을 받고 있는지 궁금해졌다.
비판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요지는 그녀가 '창조적인 논픽션'을 쓴다는 미명 아래 많은 심리학적 사실을 왜곡했다는 것이었다. 슬레이터를 비판하는 이들은 주로 심리학 전공자들이며, 그 중에는, 책에서 직접 다루어진 로젠한, 스피처 등도 포함되니 이는 결코 단순한 비방이라고 넘겨버릴 문제는 아니었다.
마이클 밀러라는 미네소타 대 심리학 교수는 이렇게 썼다.
로렌 슬레이터는 스스로를 학문적 글을 쓰는 저자, 혹은 "창조적인 논픽션" 작가라고 한다. 그녀의 책과 글(예를 들어 뉴욕타임즈에 실리는)은 매우 많은 사람들이 읽고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그녀의 많은 글들을 읽어보고 진지하게 생각해본 결과 나는 로렌 슬레이터의 책과 글들이 믿을만 하지 않다고 결론짓게 되었다. (중략) 나는 슬레이터의 글 뿐 아니라, 슬레이터의 책을 비판하는 이들의 글, 그리고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에서 슬레이터가 자신들의 이야기를 꾸며내거나 심각하게 왜곡했다고 주장하는 많은 심리학자들이 쓴 편지를 주의 깊게 읽어보고 위와 같은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중략)
슬레이터는 사실을 왜곡해서 뉴스거리를 만들어내고 또 그렇게 돈을 벌고자 하는, 그렇게 관심을 끌고자하는 충동적인 거짓말쟁이일 수도 있다. 이것이 너무 지나친 비난이라고 생각된다면 아래 첨부하는 증거들을 읽어보기 바란다. 슬레이터는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에서 자신이 몇몇 저명한 심리학자 및 정신과 의사와 인터뷰를 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인터뷰를 한 당사자들 상당수가, 슬레이터가 책에 인용한 것과 같은 말을 자신들은 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참 심각한 문제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읽었고 지금도 읽히는 책이 왜곡된 사실을 담고 있다면 말이다. 그런데 자료를 계속 찾아보니 정말로 책에 언급된 심리학자들인 로젠한, 스피처, 엘리자베스 로프터스 등이 내용 정정을 요구하는 편지를 슬레이터에게 보낸 것으로 나온다. 나는 심리학 지식이 전혀 없는 일반 독자라서 논쟁지점을 정확히 옮기지는 못하겠다. 그러나 요점은 위 심리학자들은 슬레이터가 책에 인용한 것과 같은 말을 한 적이 없으며, 심리학자들 간의 개인적 관계나 심리학적 입장 등이 왜곡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부분은 스키너의 딸 데보라가 직접 쓴 항의글이다. 데보라는 이 책의 출간소식을 일간지에서 읽고 큰 충격을 받았고 크게 분노했다고 밝혔다. 아래는 가디언 지에 쓴 글이다.
부정할 수 없는 진실은, 로렌 슬레이터는 그 모든 사실을 확인하는 수고를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녀는 나에게 연락을 시도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대신 그녀는 나와 내 가족에게 몹쓸 짓을 하고, 동시에 심리학의 역사를 훼손하는 쪽을 택했다. (중략)
옵저버 지 리뷰에서 팀 애덤스는 슬레이터의 조사가 충분치 않은 것같다는 의심을 내비쳤다. 그는 슬레이터가 내게 연락해서 의심스러운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그렇게 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아챈 것이다. 그래서 그의 결론은 무엇이냐고? 글쎄 여기서 그걸 말할 필요가 있을까. 보다시피, 나는 이렇게 말하고 있지 않은가. 나는 미치지도 죽지도 않았다고. 다만 아주 화가 났을 뿐이라고.
나는 앞서도 말했듯이 심리학자들이 슬레이터 책에 대해 반론하는 정확한 논쟁지점은 잘 모르겠지만, 그들이 슬레이터의 '주관적인 해석'을 문제삼고 있다는 점은 분명해 보인다. 그리고 무엇보다스키너 부분에 대해서는 슬레이터가 충분히 논란이 될만한 행위를 했다는 생각이 든다.
분명 슬레이터는 그 모든 이야기가 '괴소문'임을 이야기 말미에 밝혔다. 그러나 그것은 이미 그 '괴소문'을 충분히 활용한 뒤였다. 마치 영화에나 나올법한 자극적인 소문을 사실인 것처럼 제시해 독자들의 흥미를 끌었고, 스키너 개인의 성격에 대해 지속적으로 주관적인 평가를 하며 분위기를 몰아갔으며, 데보라의 동생을 인터뷰해 사실을 확인한 뒤에도 행간에 미묘한 여운을 남겨 놓았다. 그녀가 소문을 바로잡고자 하는 의도였다면 데보라나 다른 비판자들이 하듯이 괴소문을 조목조목 따질 수도 있었다. 그러나 그녀는 자신이 늘어놓은 괴소문들을 구체적으로 바로잡는 수고는 하지 않았다. 또한 데보라의 동생을 인터뷰했다면 데보라를 직접 인터뷰하는 것은 왜 불가능한가? 오히려 데보라를 직접 만나 소문의 진상을 밝히는 것이 더 상식적인 순서가 아닌가?
어느 누군가에겐 괴로울 수 있는 괴소문을, "대중적 글쓰기를 위해" 굳이 다시 들추어내 활용했다면( 데보라 등 당사자들로선 이것도 기분나쁜 일이겠지만), 그에 대한 책임도 확실히 졌어야 했다. 그러나 슬레이터는 소설적 흥분과 여운을 위해 마무리의 책임을 다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일부러 소홀히 한 것이든, 거기까지 생각을 미처 못한 것이든, 학자로서 또 글쓰는 이로서 비난받을 만한 일임은 틀림 없다.
앞서 말한 마이클 밀러 교수는 이것을 '슬레이터 사건'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그만큼 논란이 되었다는 뜻으로 보인다. 영문 자료들을 읽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이야기가 오고갔나 찾아보았는데, 찾지 못했다. 좀 의외였고 내가 모르고 있는건가 싶기도 하다. (아시는 분은 제게도 알려주시길.)
슬레이터의 책을 좋아하는가 하지 않는가 여부를 떠나, 적어도 이런 문제제기가 있었다는 것쯤은, 이 책의 독자로서 알아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결국 이 일련의 '사건'에 대한 판단은, 그리고 이 책의 미덕이 무엇이고 결함이 무엇인가 하는 판단은 독자 개개인의 몫이겠으니 말이다.
* 위에서 인용한 영문 사이트 및 이 책에 대해 언급한 사이트.
미네소타 대 마이클 밀러 교수의 글 http://taxa.epi.umn.edu/slater/
데보라 스키너의 글 http://taxa.epi.umn.edu/slater/news/20040312_Guardian_Buzan.html
대학에서 심리학을 가르치는 Rivka라는 블로거의 글
http://respectfulofotters.blogspot.com/2004_03_01_respectfulofotters_archive.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