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책과 고양이와 나
  • 어린 시절
  • 토베 디틀레우센
  • 11,700원 (10%650)
  • 2022-08-20
  • : 1,289

어린 시절, '아침이면 희망이 있었다.' 라는 첫 문장으로 시작하는 토베 디틀레우센의 회고록.


코펜하겐 삼부작 중 1부로 그동안 좋은 이야기만 듣다가 김화진의 소설을 읽다가 이 시리즈가 나오는 것을 보고 구매해 보았다. 전혀 정보 없이 읽기 시작해서 회고록인 것도 뒤늦게 알았고, 읽으면서 엘레나 페란테 생각나네 싶었는데, 책소개에 있을 정도로 다들. 시인이 되고 싶었던 어린시절은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이 없는 것으로 둘러쌓여 있다. 나의 어린시절도 비슷했겠지만, 좋지 않은 기억들은 모두 묻어버리고 살아서 내 어린시절에 관해서라면 부분적인 장면들만 떠오르지만, (굳이 떠올리지 않지만) 요즘 어린이들을 만나면서 그것이 누구나의 어린시절의 특징이 아닐까 생각한다. 


집에서는 부모가, 학교에서는 선생이 어린시절을 온통 휘어잡고 있다. 그것은 보호와 교육이기도 하지만, 학대와 소유이기도 하다. 시인이 되고 싶은 토베에게 여자는 시인이 될 수 없다는 아빠, 기회만 되면 집을 나가 도망가고 싶게 만드는 존재인 엄마. 어린시절에 유일한 내 것은 내 마음뿐이다. 시인이 되고 싶은 내게 내 편이 되어주는 것은 책뿐이다. 어릴적부터 어른 책을 읽고, 어린이 책에 모욕을 느꼈던 어린이가 어린이 책부터 읽었으면 어땠을까. 다섯 살때 고리키의 책을 읽다가 '비탄'이 무슨 뜻인지 물어보는 대신에 말이다. 의미 없는 가정이긴 하다. 어린 시절에 무엇을 쏟아붓든 어린 시절에만 소화할 수 있는 것이 있었을테니깐. 그것이 어린이의 것이건, 소화할 수 없지만 들어와 버린 어른의 것이건 말이다. 


"그건 러시아어에서 온 단어야. 고통과 비참함과 슬픔을 뜻하는 말이란다. 고리키는 위대한 시인이었지." 

나는 기쁨에 차서 말했다. "나도 시인이 되고 싶어요!"

그러자 아버지는 곧바로 얼굴을 찡그리더니 엄한 목소리로 말했다. "바보 같은 소리! 여자는 시인이 될 수 없어!" 

상처받고 화가 난 나는 다시 내 안에 틀어박혔고 그러는 동안 어머니와 에드빈은 그 터무니없는 생각을 비웃었다. 


'어린 시절'의 뒷 이야기인 '청춘'과 '의존' 이 궁금하다. 

저자는 '어린 시절'에서 어린 시절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말한다. 


"그것은 나쁜 냄새처럼 몸에 달라붙는다. 당신은 다른 아이들에게서 그것을 감지한다. 각각의 유년기는 특유의 냄새를 풍기기 때문이다. 자기 자신의 냄새는 알아차리지 못하는 우리는 때때로 자신에게서 남들보다 나쁜 냄새가 날까 봐 두려워한다."  


어린 시절을 내면에 품고 사는 어른들. 어린 시절에서 벗어날 수 없는 것과 어린 시절을 품고 사는 것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굳이 품고 사는 것이 아니라 내재화된 어린 시절이겠지. 과거의 모든 순간의 내가 차곡차곡 쌓여서 지금의 나를 이룬다. 그러나 지금의 내가 아닌 과거의 특정 순간들의 내가 시간이 흐름에도 뒤로 가지 않고, 계속 고집을 부려 앞으로 나서는 순간들이 바로 어린 시절에서 벗어날 수 없는 순간들일 것이다. 


내 마음대로 되는 것이 없는 어린 시절, 체념이나 포기가 아직 들어서기 전인 순수하다는 이유로 날 것의 상처로 가득한 어린 시절, 마지막에 나오는 이야기는 아니지만, 첫 문장인 '아침이면 희망이 있었다.' 와 짝을 이루는 말을 5챕터에서 찾아두었다. 


"지금은 저녁이고, 나는 언제나처럼 침실의 차가운 창턱에 올라앉아 마당을 내려다보고 있다. 내게는 하루 중 가장 행복한 시간이다." 


아침이면 희망이 있고, 저녁은 하루 중 가장 행복한 시간이다. 아침과 저녁 사이에는 절망과 분노와 좌절과 체념이 있고, 저녁과 아침 사이에는 행복과 희망이 있다. 어린 시절은 그 사이를 매일 오가면서 멀어져 가는지도 모르겠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