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두서점 주인 김상윤과 부인 정현애 주인의 동생 김상집 씨가 겪은 518의 기억을 기록으로 남긴 책
논문이나 기사처럼 딱딱하지 않고
운동권 김상윤
교사 정현애
갓 제대한 청년 김상집
의 시선으로 518을 바라 봐서 좋았다.
특히 정현애씨의 내용은
광주의 시민들 이야기 중심이어서 좋았다.
주먹밥 해 주는 아주머니
양말이라도 갈아 신었으면 좋겠다는
어린 시민군, 버스터미널에서 구두를 닦다가 공수의 만행에 떨쳐 일어선 박래풍, 술집에서 술을 팔다가 항쟁에 발벗고 뛰어든 아가씨 등 5ㆍ18의 중심에는 가난하고 배우지 못한 사람들이 있었고, 녹두서점은 그들 곁에 있었다.
5ㆍ18 항쟁하면 사진이나 자료들이 남성 중심의 이야기들이 많지만 위에서 언급한 정현애씨의 이야기에서 여성들이 갖는 의미가 크다.
마치 <#세여자>책 처럼 자칫 묻힐 수 있는 주제가 될만하다 생각한다.
ㅡ
📌210쪽
이번에도 학생증과 주민등록증을 모두 회수하고 이를 박용준에게 맡겼다. 그런데 이 신분증들은 곧 소각되고 만다. 27일 새벽 계엄군이 쳐들어오자 박용준이 증거를 없애기 위해 태워 버렸기 때문이다. 신분증을 소각한 박용준 또한 총을 맞고 사망하고 만다.
ㆍ
ㆍ
안타깝게 읽은 장면.
가족을 찾기 위해 거리로 나선 남은 가족의 희망이 될 수 있는 물품인데.
ㆍ
ㆍ
서점 가족 모두(부인, 동생, 처제) 잡혀온 걸 서점 주인이 보게되며 걱정하고 미안해 하는 상황이나
부인이 같이 잡혀간 동생이나 시동생을 보며 걱정하는 장면
시동생이 형수와 형수의 동생을 걱정하는 장면은
눈물이 저절로 날 수 밖에 없었다.
ㆍ
ㆍ
코로나로 가족의 건강을 생각하고 안부를 물어보는 현실인데 고립되고 총살당하고 고문당하는 상황에서는 오죽했겠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