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내면의 첫 태양
  • 코스믹 쿼리
  • 닐 디그래스 타이슨.제임스 트레필
  • 25,200원 (10%1,400)
  • 2025-11-06
  • : 5,940

#코스믹쿼리 #닐디그래스타이슨 #제임스트레필 #궤도추천 #우주먼지추천 #우주스타그램 #알레 #베스트셀러 #북스타그램 @allez_pub

 

출판사로부터 #도서제공 을 받아 자유롭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인도의 탄트라 경전 [비그야나 바이라바 탄트라]에서는 시바신의 배우자 데비 여신이 시바신에게 이런 질문을 한다.

 

“오 시바여, 당신의 실체는 무엇입니까? 이토록 경이로 가득 찬 우주는 무엇입니까? 이 모든 원소는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습니까? 우주의 중심에 앉은 자는 누구입니까? 형상들로 충만하며 동시에 모든 형상을 초월한 이 생명은 무엇입니까? 어떻게 우리는 시간과 공간, 이름과 모양마저도 뛰어넘어 그 속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까?”

 

그래서 시바신은 데비 여신에게 112개의 탄트라 수행 방편을 강설한다. 우주와 존재의 신비에 대해 현학적이고 이성적인 대답을 선언하는 것이 아니라 신비 그 자체가 되어 체험하는 길을 알려주는 것이다.

 

우리는 우주와 존재에 대한 의문을 품고 그것을 종교나 철학에게 또 과학에게 답변을 듣고자 하기도 한다. 종교는 그래서 ‘왜’에 대한 답변을 시도했고 과학은 ‘어떻게’에 대해 답변을 시도하고자 하고 있다.

 

본서는 [코스모스]라는 다큐멘터리와 저작으로 유명한 칼 세이건의 제자이자 동명의 다큐멘터리 후속 시리즈를 진행하기도 한 미국의 유명 천체 물리학자 닐 디그래스 타이슨과 물리학과 교수인 제임스 트레필이 공저한 천체 물리학에 대한 책이다.

 

제목에 ‘쿼리’라는 단어가 있는데 이 말은 컴퓨터 용어로서 방대한 데이터베이스에서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요청하는 것을 말한다고 한다. 한마디로 ‘최적의 질문’을 가리키는 것이 쿼리라는 말이니 [코스믹 쿼리]는 우주에 대한 최적의 질문이라는 뜻일 것이다.

 

목차만 보아도 알겠지만 이 책에는 단순한 질문부터 심층적인 질문까지 10가지 질문으로 우주와 우리의 기원과 존재 방식까지를 ‘어떻게’라는 차원에서 논하고 있다. 이 궁극적인 질문들에 대답하기 위해 천체 물리학, 이론물리학, 양자역학, 진화생물학 등등 학문의 여러 분야가 동원되며 통섭적 차원에서 우주의 기원과 존재의 구조 그리고 외계와 다중 우주를 거쳐 우주의 종말까지를 논하고 있다. [빅 히스토리]적인 저작을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누구라도 끌릴 만한 책이다.

 

이 시절이 실용성에 큰 의미를 두는 시절이라지만 이때 역시 그럼에도 모든 이들이 자신과 우주에 대해 ‘왜’와 ‘어떻게’라는 차원에서 궁극적이랄까 실제적인 의문을 늘 품고 살아가게 되지 않나 싶다. 그래서 수행을 찾는 분들과 종교를 찾는 분들 그리고 철학에 천착하는 분들도 끊이지 않는 것일 테고 말이다. 하지만 과학 역시 하나의 철학이라고 생각된다. 다수가 과학은 검증되는 것이라고 말하지만 실제 과학에서 밝혀진 대목은 그렇다 해도 우주와 존재 차원에 관한 영역은 검증도 답변도 되지 않은 영역이 더 크다. 검증이 되기 전까지는 모두 가능성의 영역일 뿐이다.

 

닐 디그래스 타이슨도 말하고 있지만 우주의 비밀에서 인간이 접근한 부분은 5%이다. 95%는 아직 가설일 뿐이고 이건 인간의 지성이 잘못 접근했다고 한다면 기존의 5%에 대한 정의들마저 대부분 전면 수정되어야 할 수 있는 일이다. 과학이 객관적이라는 건 어디까지나 공간과 시간상에서 극도로 한정된 위치에서라는 게 당연한 정의일 텐데 대다수 과학자도 일반인도 과학은 절대적 진리라고 여긴다 해도 문제는 없다고 생각하는 듯하다.

 

과학이 많은 의문들에 궁극의 답을 해주는 듯하지만 과학 책들을 읽을 때마다 다양한 가설들이 각 다중우주마다의 정답인 세계가 있다 해도 그건 다른 우주에선 답이 아니라는 생각도 들었다. 하지만 이런 가설들이 필요한 이유는 우리에게 ‘어떻게’에 답변하며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답변해 주어서가 아닌가 싶다. 빅뱅 이론은 만물의 존재가 하나에서 시작되었다고 말해주고 양자얽힘은 우리가 서로에게 타자이지만 둘이기만 하지는 않다고 말해준다. 이런 과학 원리들은 우리에게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답을 해주는 것 같기도 하다.

 

우주와 존재에 대한 본서의 질문들을 통한 여정이 ‘어떻게’에 답변하며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이 자연히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나은가? 라는 또 다른 질문을 낳게 하고 그에 대한 답변을 찾아가게 하는 역할을 해주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된다. 누구나 품는 이런 의문들은 결국 그런 결론으로 가닿게 하니 말이다.

 

모든 학문의 길을 따라가다 보면 결국 영혼으로 가닿으리라 생각한다. 그런 기대가 있기에 학문을 닦기도 책을 읽기도 하는 걸 테니 말이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