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서의 [위기는 어떻게 역사의 변혁을 가져왔는가]라는 부제가 저자의 집필 의도를 잘 설명하는 책이라고 생각된다.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팬데믹을 거치고 언제든 올지 모를 다음 팬데믹을 우려하면서 전쟁이 압도하며 조만간 있을지 모를 더 큰 전쟁을 걱정하고 살아가는 지금의 대중에게 걱정만 하지 말라는 위로와 이겨낼 수 있다는 확신을 주기 위해 집필된 책이 본서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본서는 세계사와 세계문화를 키워드로 역사 카테고리에 포함된 책이지만 읽어본 감상으로는 역사에 국한되지 않는 인문학적 성찰과 사유를 위한 책이었다. 사유의 주제는 평화, 공존, 공동번영, 공동 대응, 위기 해소, 화합 등에 이르는데 키워드만 뽑자면 별것 없는 것 같지만 이 시대에 그 어느 때 보다 중대한 주제 의식이 아닌가 싶다. 물론 모두의 사유와 결론이 저자와 같은 과정과 결론으로 이르지는 않을 수도 있으며 저자와 다른 성찰을 하는 분들도 있을지 모르겠다.
나도 국경을 공유지와 공동이 운영하는 통로로 만들자는 방향으로 이야기하는 저자와는 견해가 다르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민자 문제와 국경 경계 문제를 칸트의 ‘환영의 권리’라는 적대 받지 않을 이방인의 권리로 해석하기도 하는데, 유럽의 난민 정책 후 프랑스, 독일, 스웨덴 등의 원거주민과 이주민들의 충돌과 범죄율 증가로 인해 몇몇 국가의 범죄국가화 양상 등을 보아온 이후라 트럼프 미 대통령의 이민자 정책에 문제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더 든다. 이주하는 인간이라는 뜻의 ‘호모미그란스’라는 용어가 있다지만 분명 이방인에게 위협을 느끼기도 하고 익숙한 것에서 안정감을 느끼는 인간의 본성이 나쁜 결과를 초래하기보다는 현실을 안정화하는 경향도 있다고 생각한다. 국가 간 화합의 중요성과 화해의 필요성을 이야기하는 폴란드와 독일 간의 역사를 설명하는 대목에서도 우리와 일본의 현실이 연상되기도 했다. 대부분이 일본은 사과도 하지 않고 어떠한 보상의 행동을 하지 않았다고 세뇌되다시피 했다. 하지만 일본 역대 총리가 이미 세 명이나 사과의 의미로 실제로 무릎을 꿇었으며 박정희 정권 때 이미 침략에 대한 배상이 이루어졌으나 이후에도 종군 위안부 피해자들에 따로 배상한 건에 대해 우리 국민들은 모르는 경우가 많다. 종군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배상에 대해서는 해당 여성단체에서 이 문제가 배상받고 해결되면 그 단체의 존속이 불투명해지고 대중의 관심이 끊겨 기부금이 끊어질 것을 우려해 일본의 배상에 호응하려는 피해자 할머니들을 설득해 배상금을 받지 않도록 했다는 사실도 모르는 경우가 더 많다. 어떤 역사적 문제들은 이런 정치적인 이유와 일부 단체의 이해 문제로 해결되지 않는 경우도 있는 것이다.
우크라이나와 유대인의 역사, 독일과 프랑스의 역사, 동서독의 역사 등에서는 한일 간의 역사와 분단국가인 남북한의 문제가 연상되기도 했다. 알퐁스 도데의 [마지막 수업]이 예로 들어지기도 하고 평화의 키스 등이 예로 제시되기도 하지만 저자가 말하는 이런 문학이나 대외적인 제스처가 화합을 이끌어내는 것만은 아님을 우리는 역사로 직시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의 만남을 통해서도 알 수 있고 어느 전대통령의 대북 순애보도 있었지만 그 후 북한이 우리 기업이 투자한 시설들을 폭파한 사례로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문명 충돌]이라는 책과는 현실이 다를 수 있다고 오스만 제국에서 유대인과 기독교인을 포용한 것과, 유대인, 기독교인, 이슬람인이 어우러져 살았던 레반트 지역의 역사를 예로 들기도 한다. 하지만 현재는 유대교에서 말하는 이스라엘 영토가 대대적으로 확장되는 시대, 유대교 메시아가 등장하는 시대를 기대하며 유대교에서 말하는 종말의 시작을 알리는 결함없는 붉은 소를 제물로 쓰기 위해 미국에서 붉은 소를 이스라엘이 수입해 희생제를 올린 이후 이스라엘이 대대적으로 주변국들을 공격하는 시대다. 현재 이스라엘은 유대력으로 유대교의 종말의 시기, 메시아 등장 시기라고 할 수 있을 시기를 몇 년 앞둔 시점이라 주변 지역과 주변국들을 공격하며 국지전, 국소전으로 멈출 의도가 전혀 없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종교 광신도가 권력의 정점에 서면 어떠한 역사가 펼쳐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으면서 동시에 역사는 비선형적 발전을 보이며 인류는 역사에서 무언가를 배우기보다 발전이 아닌 퇴행을 보이기도 한다는 걸 알려주는 시대이기도 하다.
저자는 팬데믹에 있어서도 유럽의 흑사병을 예로 들며 당시 기독교인들이 자신들이 죽는 것도 두려워하지 않으며 희생적으로 병자들을 돌보아 당시 4만 명이던 그리스도인 신자 수가 잠시만에 600만 명으로 증가했다는 이야기를 통해 희생과 헌신으로 팬데믹과 같은 난국을 헤쳐나갈 수 있다는 이야기도 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대한민국은 유럽과 다르다는 것이 의사 파업으로 눈에 드러나고 있다. 이 역시 역사에서 배우기보다 역사를 퇴행하는 사례가 아닌가 싶다.
역사와 현재에서 문제보다 긍정적인 면을 찾으려 할 수도 있고 그런 면을 주목해 배움을 얻는 것도 당연하긴 하다. 하지만 인간은 같은 실수를 반복하기도 하고 나아가기보다 뒷걸음질할 때도 있는 존재란 걸 본서의 저자 의도와는 다르게 역설적으로 느끼고 말았다. 그러나 그렇기에 더더욱 역사에서 배워야 한다고 느끼기도 했다. 독자 나름의 감상과 사유가 가능하기에 독서란 중요하고 저자의 의도와 생각이 다를 때에도 그로 인해 배움을 얻기도 하는 것이 독서다. 저자와 다른 사유와 성찰을 하게 될 수도 있을 것이기에 또한 이 책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서는 이 시대에 절실한 키워드로 이 시대이기에 해야 하는 사유를 통해 각자의 성찰을 얻고자 읽어보아도 좋을 책이다.
믹스커피 출판사를 통해 도서 협찬을 받아 자유롭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역병전쟁위기의세계사 #차용구 #믹스커피 #원앤원북스 #세계사 #세계문화 #인문학 #도서협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