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 사건이라는 역사적 상흔을 그려낸 소설이다. [소년이 온다]와 [작별하지 않는다]가 한강 작가의 시대를 향한 시선과 생존자들의 시절을 어떻게 그려냈는지 돌아보기에 좋은 작품인 건 사실이다. 그리고 [작별하지 않는다] 같은 경우는 부커상 수상 이후 자신의 경계를 보여주고자 하는 작가의 희망이 담겨진 소설 같다. 그럼에도 [소년이 온다]와 [작별하지 않는다]는 시절을 보는 관점이 작가와는 다른 이들의 비판을 듣고 있는 소설이기도 하다. 그런 논란 때문에 역사 해석 논란이 없는 [채식주의자]부터 읽고 이 소설을 읽었는데 채식주의자의 시선과 같은 시선이라고 느껴졌다.
[채식주의자]에서는 폭력과 방관 내지는 목격만이 태연히 이어지고 자신에게도 야만성이 있는지 의구심을 가지며 야만을 벗어나려는 영혜가 느껴졌다면 [작별하지 않는다]에서는 시절의 상처를 건네받은 인선과 그 시절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의 멈춘 숨이 느껴졌다.
나무의 우듬지와 그를 덮고 있는 눈꽃송이 그리고 말할 수 있는 새가 먼저 죽어가고 살아남은 새도 물을 마시지 못하면 죽을 수밖에 없는 상징, 그리고 손가락이 절단되어 접합수술을 받고 신경이 죽지 않도록 3분마다 상처를 찔러 피를 내야 하는 인선의 손가락 등 여러 상징으로 시절을 묘사하고 있는 소설이지만 초반의 이 상징들이 이 책의 색깔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었다.
상처를 안고 살아가야 하는 사람들을 상징화한 것이 나무의 우듬지였다면 그 우듬지를 덮고 있고 하염없이 내리며 세상을 덮어버린 눈송이들은 상처를 낫지도 드러내지도 못 하게 하며 마치 아무 일 없었다는 듯 덤덤하게 흘러가고 있는 세상과 시절을 상징하는 것이리라. 우듬지에서는 피가 흐르고 있었을지 눈물이 흐르고 있었을지도 모르지만 눈송이 같은 시절과 세상은 그 모두를 덮어버리고 얼려버려 아무렇지도 않았다는 듯 세월이 흘러가도록 만든다. 하지만 인선의 절단되었다가 접합한 손가락을 신경을 죽지 않도록 하기 위해 3분마다 찌르듯이 살아남은 사람들과 그 가족들은 살아남아 상흔과 비명을 모든 순간 삼키고 있다. 인선과 인터뷰를 한 한 생존자와 그의 딸의 모습처럼 이 상흔과 괴로움은 되물림되고 있다. 한 시절에서 결코 끝나지 않는다는 말이다. 나만 왜 살아남았는지 모르겠다는 생존자의 말은 살아남은 것마저 죄로 느끼고 있는 생존자들의 심정을 드러내는 말이지 않은가. 이들은 죄인마냥 살아남았다는 사실을 감당해내야 했다. 말하는 새가 먼저 죽어버린 새장처럼 표현할 수 있는 자격은 죽어간 사람들과 함께 죽어버린 것이 아닌가 싶다. 살아남은 새는 눈길로 반려인이 돌보러 갈 수 없어지자 하루 동안 물을 못 마시면 죽어버릴 수도 있는 상황에 놓인다. 그 새의 하루는 도대체 어느 만큼의 시간을 말하는 걸까를 헤아리려는 마음이 생존자들에게 향한다면 과연 이들은 언제까지 감당하고 언제까지 입을 막고 살아야 했다는 말인가 하는 물음이 든다.
제주 4.3 사건은 2000년경 김대중 전 대통령의 지시로 진실규명이 시작되었지만 사실 자체의 규명만큼이나 피해자의 심정을 공감하는 기회가 과연 있었던가 싶기도 하다. [채식주의자]에서 영혜의 손아귀에 숨겨져 있다 바닥에 떨어진 물려 뜯어 죽어버린 작은 새의 사체처럼 대부분에 사람도 갑작스레 시대가 사람이 야성을 드러내면 언제 피해자가 될지도 모르는 게 현실이다. 사위가 어두운 밤길을 걷다가 사람의 인기척이 느껴지면 두려움이 몰려들 듯 사람은 사람의 야만성 또 사람이 만드는 시대의 야만성을 무의식 중에 알고 있다. 지금 이 시절의 시대 상황이 두려운 이유도 바로 사람이 자신의 그리고 집단의 야만성이 드러날 수 있는 시절임을 알고 있어서가 아닌가. 어쩌면 어느 시절에나 그 시절을 제대로 통찰하는 사람에게는 세상이 사람이 모두 뒤집어져 보였던 것은 아닐까 싶다. 그런 세상에서 세상과 사람을 바로 보려면 누구라도 채식주의자의 영혜처럼 물구나무를 서야 하는 건 아닐까. 하지만 난 [작별하지 않는다]를 통해 물구나무를 선다 해도 우듬지가 생겨날 수 있다는 걸 알아버린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