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작가의 부커상 수상 때까지도 그녀의 작품에 큰 끌림을 느끼지 않았다. 하지만 노벨 문학상 수상 이후 그녀의 작품들에 뚜렷한 비판적 시선이 끊이지 않기에 그게 더 그녀의 작품들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작가의 다른 작품들과는 달리 [채식주의자] 만큼은 역사 해석에 대한 많은 이들의 이견을 신경 쓸 일 없이 서사와 그녀의 문학적 빛깔만을 느낄 수 있을 것 같아 선뜻 다가설 마음이 생겼다.
이 소설을 향한 눈길이 지속되며 가장 먼저 다가온 건, 시적 산문이라는 그녀의 문체에 대한 수식어로 인해 미사여구가 화려한 문체일 거란 선입견을 가졌는데 그게 가장 먼저 깨졌다는 것이다. 헤밍웨이가 연상되리 만치 담백하고 직설적으로 다가왔다. ‘채식주의자’, ‘몽고 반점’, ‘나무 불꽃’으로 이어지는 폭력과 파괴와 목격이 건조하지만 붉게 흐르는 피처럼 다가오도록 만드는 그녀의 문체는 거북하면서도 다시금 그녀의 소설로 다가서도록 만들 것만 같았다.
자각 (채식주의자)
영혜의 남편 시선과 드문드문 이어지는 영혜의 시선으로 ‘채식주의자’는 가장 가까운 사이 마저 물들이는 인간의 태생적인 폭력성에 관한 이야기구나 싶었다. 그리고 영혜는 그런 인간의 폭력성을 꿈을 통해 마주하고 그런 폭력으로부터 벗어나 살고 싶어한 거라 여겨진다. “꿈을 꿨어”라는 그녀의 고백이 있기까지 그리고 그 꿈이 있기 전까지 또 그 이후에도 그녀는 인간이 만든 세상 속에서 인간으로부터 얼마나 많은 폭력과 야만을 경험하고 살았을까 하는 의문도 든다. 그녀 자신에게도 역시 그런 폭력과 야만이 있으리라는 깨달음이 그녀를 채식주의자로 만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야만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그녀에게 돌아온, 세상 그 누구도 그 무엇도 해치지 않으리라는 그녀의 발심에 대한 대답은, 가장 가까운 이들의 폭력이었다. 관계에 무심해진 그녀를 강간하는 남편, 그저 육식으로 대변되는 폭력에 저항하는 그녀를 향한 그녀 아버지의 폭력 그리고 사람들의 태연한 방관. 이 모두는 그녀가 자신을 해치는 과정으로 이어진다. 그녀는 아마도 저항한다는 자각도 없었으리라. 그녀의 집에서 감자를 깎으며 상의를 벗어버린 또 병원으로 이송된 이후 병원 벤치에서 상의를 벗어버린 그녀의 행동 그리고 그녀 아버지의 폭력에 미친 마냥 자신의 손목을 그어버린 그녀의 행동들은 미미한 소소한 그러나 붉디붉은 항거였을 것이다. 그녀가 미쳐가는 것처럼 보이는 모든 과정이 나로서는 하나의 자각이자 회복에 대한 여정이었다고 보였다. 인간의 본성이 야만만 있는 것이 아니라면 궁극의 본성이 깨달음이라면 그녀는 하나의 약한 본성에서 다른 하나의 강한 본성으로 전이하고자 한 것이라 생각된다. 하지만 히브리인들이 죄를 과녁에서 벗어나는 것이라고 했듯 그녀를 보는 세상의 시선은 ‘죄’인으로 보였을 것이다. 그녀는 과녁에서 벗어난 화살이 되어가는 듯하다.
자행과 흑화 (몽고 반점)
영혜의 형부 시선에서 그려진 다음 이야기는 아내에게 영혜의 몽고 반점 이야기를 듣고부터 처제인 영혜에게서 관능을 느끼는 형부와 그로부터 침범당하다 서로를 또 자신을 속이는 몸짓으로 이어진 일탈로 ‘모두’가 나락으로 떨어지는 과정을 그린다. 형부는 영혜를 탐하기 전까지 녹아가는 밀랍 같은 상태였으나 영혜에게서 관능을 느끼고부터 하나의 불길을 느끼고 있었다. 그리고 그 불길은 자신의 아내를 향한 야만으로 범해지기도 한다. 그는 영혜를 자신의 그림으로 뒤덮고 그녀를 범하고자 하지만 영혜는 어떤 남자도 아닌 몸에 그려진 꽃에 끌리고 있다. 형부는 그런 그녀의 심리를 알고 자신의 몸에 꽃을 그려 그녀의 관심을 돌리며 결국 그녀를 품는다. 그걸 목격한 영혜의 언니 인혜는 그 둘을 정신 병원에 넣는다. 우리가 덤덤한 일상이라고 느끼는 것들이 영혜와 형부와 인혜를 죽이고 있었듯 우리를 죽이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 죽음을 벗어나려는 반역은 결국 누구에게도 이해받지 못한 채 우리가 무너지는 현실을 가져온다. 영혜는 ‘채식주의자’에서 세상과 자신을 자각했으나 벗어날 방법을 알지 못했다. 영혜의 형부는 일상과 다른 불길은 안게 되지만 이 여정에서 자각을 얻지는 못한다. 이 둘의 마주침은 둘 다의 흑화를 낳는다. 깨달음의 과정에서 필요한 과도기일 수도 있지만 이 둘 어느 누구도 깨달음이나 깨우침을 얻지 못하며 무너져버리는 계기만이 될 뿐이다. 영혜의 언니 인혜는 묵묵히 참고 감당하는 인물이었지만 결정적인 순간 영혜와 영혜를 범한 자신의 남편을 늪으로 인도한다. 그리고 그녀 자신과 가족까지.
수용이거나 붕괴이거나 (나무 불꽃)
인혜의 시선에서 이제 자신이 무너지듯 동생 영혜의 몰락을 목격한다. 정신 병원의 영혜는 나무가 되는 자신을 꿈꾸지만 하혈하는 언니 인혜와 같이 희망과 회복은 그녀에게서 영영 떠난 이야기되어 간다. 인혜는 남편과의 이혼과 그 이후 자신에게 다가온 현실을 그녀가 늘 그랬듯 묵묵히 감당한다. 영혜는 흑화가 절정에 치달아 자신의 보호자로 남은 인혜를 제외한 가족과 세상과의 관계가 끊어지지만 이런 흑화가 그녀에게 거듭남이나 깨달음을 안겨주지는 못하리란 걸 짐작하지 않을 수 없다. 인혜는 영혜 그리고 영혜의 남편 그리고 아버지의 폭력과 영혜가 손목을 그었던 날 또 자기 남편과 자신의 만남, 남편이 영혜에게 관능을 느끼던 순간, 또 둘을 병원에 입원시킨 순간 등 하나하나의 날들을 떠올리며 어느 순간을 바꿨다면 이런 현실이 오지 않았을까를 헤아리려 한다. 그러나 과거는 가정을 한다고 바뀌는 것이 아니다. 이 소설의 인물들이 마주한 야만과 혼란과 몰락과 붕괴는 우리 누구라도 일상에서 겪을 수 있는 일이 아닌가. 일탈이 아니라 일상인 것이다. 무난하고 무던한 일상이기만을 바란다고 그런 날들이 영원할 수 있을지 우리로서는 자신할 수 없다. 인간의 본성 중 하나가 이런 야만과 몰이해와 자신과는 다른 이에 대한 배격이라면 당연히 인간이 일군 문명 역시 그런 속성을 내포할 수밖에 없기에 우리 누구나가 피해자나 가해자가 될 가능성을 안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런 현실을 마주한다면 우리는 침몰하거나 붕괴될 수도 있다. 그렇게 본다면 이 이야기는 우리의 일상과 우리의 현실을 조금 비꼬고 과장한 이야기일 뿐인 것이다.
나는 결단코 무너지지 않을 거라고 자신하고 이 이야기에서 거북함 이상은 느끼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는 당신이라면, 어쩌면 인간이 만든 세상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건지도 모르겠다. 아니라면 축복만 받은 영혼일 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