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전체보기

알라딘

서재
장바구니
Escapism
  • 에피쿠로스 쾌락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 에피쿠로스
  • 7,920원 (10%440)
  • 2022-12-22
  • : 7,121

현대지성에서 나온 클래식 필수고전 중 하나인 에피쿠로스 쾌락, 이번 책은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이라길래 더더욱 읽어보고 싶었다. 이전에 '에피쿠로스의 네 가지 처방'이란 책을 읽고나서 더더욱 원전 완역본을 읽어보고 싶었는데, 현대지성에서 이렇게 적절한 시기에 출간을 해주다니 이건 운명이구나 싶었다. 보통 에피쿠로스를 서양의 노자로 보는 사람들이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에피쿠로스의 사상은 불교의 사상과 더 가깝게 닮았다고 느낀다. 




'쾌락'을 추구했다는 것에서 에피쿠로스는 에로스적인 쾌락을 추구하는 방탕한 자, 논리와 이성을 따르지 않는 무지한 자라는 오명을 들었다. 대부분 많은 사람들은 쾌락이라는 단어만 보고 자극적이고 감각적인 쾌락만을 떠올리게 되어 에피쿠로스가 말하는 진짜 쾌락을 추구하는 삶이 무엇인지 알기 어려웠을 것이다. 에피쿠로스는 '마음의 평정'이 곧 쾌락이자 우리가 추구해야할 삶의 기준점이라고 말한다. 방탕한 자들이 추구하는 쾌락이나 어떤 것을 즐길 때 생기는 쾌락을 의미하지 않고, 몸에 고통이 없고 마음에 괴로움이 없는 것이 쾌락이다. 에피쿠로스는 몸의 쾌락보다 마음의 쾌락을 추구했다.


에피쿠로스의 철학은 규범론, 자연학, 윤리학 이렇게 크게 세 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번 책에는 헤로도토스에게 쓴 자연학,피토클레스에게 쓴 천체현상, 메노이케우스에게 쓴 인간의 삶의 관한 부분이 실려있다. 에피쿠로스는 잘 살기 위해서는 신(神)에 대한 바른 이해와 죽음에 대한 바른 이해가 필수적으로 따른다고 생각했다.  





사람들이 많이 하는 착각 중 하나는 신은 언제나 善하며 착한사람에게 도움을 주고, 악한 사람을 벌한다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에피쿠로스는 이러한 개념은 잘못되었다고 말한다. 인간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좋고 나쁨을 결정짓는 것에 신을 대입할 수는 없다. 신은 우리 감각으로 인지할 수 없지만 신에게서 유출된 유체(에이돌론)가 모든 사람의 지성에 각인되어 신의 존재에 대해 알게된다고 했다. 신은 살아있고 불멸하고 축복받은 존재이지만 인간의 기준으로 좋고 나쁨을 신에게 돌리는 것은 잘못된 판단이다. 또한 죽음은 감각의 삭제상태로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사람들은 내가 죽는 다는 생각에 두려움 공포를 느끼게 되어 마음의 평정을 얻지 못한다. 이러한 것들에서 벗어나게되면 마음의 평화 상태에 머무를 수 있다.





​잘 해내시오, 열심히 사시오라는 인사말은 에피쿠로스 학파의 생각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참된 행복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에서의 기뻐하라는 인사는 무의미하다는 것일까 우리는 '안녕하신가요?'라는 안부를 묻는다. '당신의 안녕' 이것이 당신의 아타락시아를 위해 마음의 평정찾기를 잘 해내라는 인사와 비슷한 것이 아닐까? 문득 생각을 해보았다.




아테네오스가 에피쿠로스를 칭송하며 쓴 구절이 문득 마음에 들어온다. 자연의 부는 작은 경계안에 갇혀 있는데, 사람들의 헛된 생각과 소란한 마음은 무한한 삶의 여정 길 위에 있다. 그 길 위에서 진정한 평화를 얻기 위해 누군가는 냉철한 이성과 지식을 탐구하고, 또 누군가는 막대한 부를 염원한다. 마음이 즐겁고 외부에서 불어오는 압박에도 평온한 마음을 유지하는 능력이 있으면 보리밥만 먹고 살아도 행복할 것이다.





에피쿠로스가 여러 학파와 사람들에게서 질타를 받은 이유는 바로 이것이 아닐까? 2등 시민조차 되지 못한 여성과 노예들도 편견없이 함께 철학을 논할 수 있는 친구들로 보던 마음 이것이 바로 오랫동안 에피쿠로스 학파가 방탕함을 추구하는 이단이라는 오명을 벗어나지 못하게 했던 것일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에피쿠로스학파만큼 내 삶을 사랑하라고 외치는 철학은 없는 것같다. '한 번사는 인생, 열심히 당신의 행복을 위해 살아라'라고 주장한다. 또한 나와 맞지 않던, 싫던간에 타인에 대한 존중도 이야기한다. 이렇게 놓고보면 에피쿠로스 학파가 주장하는 삶은 관용과 마음의 여유가 사라진 요즘 우리들이 다시 한 번 되새겨봄직한 내용이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