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오늘 여기

‘문제적 개인‘을 통해서 근대사회의 이중성을 드러내다
루카치는 현실 속에 은폐된 진짜 현실의 모습을 들추어서 이를 드러내 보이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에서의 ‘사실주의‘라고 보았다. 원래 루카치는 공산주의자도 마르크스주의자도 아니었다. 그는 러시아에서 활동하면서 이윽고 헝가리에 공산당을 창립한 쿤 벨러 Kun Béla, 1886~1939 와 관계를맺은 이후 갑작스럽게 마르크스주의자로 변신하여 주위의 사람들을 당황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그가 본격적인 마르크스주의자를 자처하기 이전에이미 그의 사상은 마르크스주의 이후의 사상과 거의 같은 궤적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징후를 분명하게 보여주는 것이 마르크스주의자가 되기 이전의가장 중요한 저서로 손꼽히는 《소설의 이론> Theorie des Romans, 1916의 핵심적인 내용이다. 루카치는 여기서 소설을 근대적인 문학 형식으로 규정한다. 루카치는 스스로를 헤겔주의자로 자처한 만큼 헤겔의 철학을 자신의이론에 적용하였다. 헤겔적 유산 중의 하나가 《소설의 이론》에서 소설을 고대나 중세의 문학적 형식이 아닌 바로 근대적 문학의 형식으로 본 것이다.
그는 헤겔의 예술철학이 남긴 유산을 ‘미적 범주의 역사화‘라는 말로 집약한다. 미적 범주의 역사화란 말 그대로 미적인 범주들은 각각 역사적 산물로서 해당 사회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미적 범주란 조각, 건축, 회화, 문학 등과 같은 예술의 장르를 의미할 수도 있고, 나아가 문학 내에서도 서정시, 서사시, 소설, 로망스 문학, 희곡 등과 같은 장르내의
장르를 의미할 수도 있다.- P70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