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마음의 책장에 비는 내리고


이 집에 발을 들여놓는 순간 나는 미래에 대한 불안이라든가 당장 해결해야 할 시급한 문제로부터 자유로워진다. 이곳은 내게 오로지 기억, 기억, 그렇게 속삭이는 장소가 되었다. 천천히 술을 마시다보면 홀연, 낫 놓고 기역자를 모르듯, 기억 속의 내가 뭣도 모르고 살아온 모양이 환등처럼 떠오른다.​(47쪽, 사랑을 믿다)​​그녀는 오지 않고 나는 사랑을 믿지 않는다. 돌이켜보면 엄청난 위로가 필요한 일이 아니었다. 사랑이 보잘것없다면 위로도 보잘것없어야 마땅하다.그 보잘것없음이 우리를 바꾼다. 그 시린 진리를 찬물처럼 받아들이면 됐다.​(80쪽, 사랑을 믿다)​

 권여선의 단편집과 만났다. 첫 단편을 읽고 나서 드는 일차적 느낌은 아~ 인간이란 이다지도...

계속 읽으며 느낀 점은 묘한 작가로구나. 흡입력이나 재미가 있는 것도 아닌데 여운이 길구나 싶었다.

기억과 관계에 대해 생각할 수밖에 없는 단편들이었다.

사랑을 믿고 믿지 않고의 문제가 아니라 그 시간에 포함된 기억과 관계의 끈을 그려보는 것이다.

삶에서 이 부분을 빼버리면 무엇이 남을까.

이 작가 기억해두고 싶다.

 

 

 

삶은 생각지도 못한 방향으로 나를 이끌 때가 많다.

지금도 그러한데 이 난관을 어찌 극복할까.

요즘 메르스 보다 더 직접적으로 신경 쓰이는 일이 있다.

어쩌면 예견된 일이었고 그래서 이렇게 담담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가뭇없는 관계. 안녕을 고한다.

 

기억에 아무 흔적도 남지기 않은 그 많은 시간 속에서, 아둔하고 자존감만 높았던 나는,

나만 모르는 장소에서 나만 모르는 얼마나 많은 수치스런 행위와 제멋대로의 오해를

반복했던 것일까. (…중략…)

무언가가 완성되는 순간은 그것을 완전히 잃었다는 것마저 완전히 잊고,

오랜 세월이 흐른 뒤 우연히 그 언저리를 헛짚는 순간이다.



​(118쪽, 내 정원의 붉은 열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