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던가 블로그에 글을 올렸었는데 우리 아파트 놀이터, 산책로에는 2개의 숲속공유도서관이 있다.사실 책이 너무도 없어서 여러 권을 기증했지만 내가 기증한 책은 다 어디로 갔는지 갈때마다 보아도 몇 개만 보인다. 낡아빠진 너덜한 책이 많고 아이들 책이 많다. 실망이지만 그래도 나아지리라 기대해본다. 그나마 다행인건 살림지식총서가 여러 권 있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몇 권을 읽었다. 놀이터에 나올때마다~ :)저번에 읽은 「마이너리티 역사 혹은 자유의 여신상」이다.
아메리칸 드림의 선봉장
자유의 여신상, 그 형상과 이미지
여신상, 이민의 상징
억압되고 불평등한 대우를 받았던 흑인
이민 배척과 백인 우월주의
동양인에 대한 차별과 인권 유린
여성의 사회적 불평등과 여권 운동
역설의 상징, 자유의 여신상
이 책의 목차이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526/pimg_7431911951212660.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526/pimg_7431911951212663.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526/pimg_7431911951212661.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526/pimg_7431911951212664.jpg)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던 이들, 평등하지 못한 흑인들, 백인 우월주의와 인종차별. 여성차별까지 이어지는 이야기들.자유와 평등으로 느껴지는 자유의 여신상은 과연 그들을 꿈꾸게 해주었던가.과연 그들의 정체성은 어디에서 찾아야 하며 뿌리 깊게 박힌 불평등은 뿌리뽑을 수 있을까.어느 사회나 문제는 있다. 이 나라나 저 나라나 근절해야 할 악이 왜 이리도 많은 것인지.어제는 잠들기 전「금요일엔 돌아오렴」을 읽으며 가슴이 아팠다.후지티브이에서 만든 다큐를 아직도 보지 않았다. 책부터 보고 나중에 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