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다.
줄곧 외부로 향하던 관심이
나의 내부로 돌아오는 시간.
초록이들을 참 좋아하는데
늘 죽이기만 했던 난,
코로나로 인해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어느덧 식물러버가 되었다.
작년에 산 몬스테라가
근 일년에 거쳐
새잎을 4개나 내주는 광경을
옆에서 지켜보면서
조용히 느리게,
아무 움직임도 생명도 없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들이
문득 돌아보면
훌쩍 성장해있는 모습에 매료됐다.
그간 내가 왜 식물을 죽였는지
확실히 알게 된 시간이기도 했다.
예전에는 사두기만 하고
나가서 노느라
옆에서 지켜볼 줄을 몰랐던 거다.
잠시잠깐 관심을 줬다가
마치 장식품처럼 그냥 두기만 했으니
어느날 갑자기 깨달았을 땐
이미 회생불가.
마침 내가 주로 앉아서 시간을 보내는 자리에서
잘 보이는 곳에 몇 가지 식물들이 있다.
무심히 일주일에 한 번씩 물을 갈아주고,
화분은 과습만 조심하면 된다고 해서
흙 상태에 맞게 물을 줬더니
아직까지 잘들 자라고 있다.
너무 많은 관심과
무관심 사이,
그 적정선이 중요하다.
다시 요가를 하고 있다.
4년 전쯤
아이를 신랑에게 맞기고
밤 열시 마지막 타임 요가를
열심히 하러 다녔던 적이 있었다.
그냥 여럿이서 함께 땀흘리며
호흡하는 그 시간이 참 좋았다.
당연히 올해는
바이러스로부터 서서히 해방될 줄 알고
뭔가 운동을 해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웬걸? 작년보다 더 심하잖아?
홈트는 별로라고 생각했는데...
혼자서 하는 요가는
함께하는 요가보다 힘은 더 들지만,
뭔가 묘하게 더 집중된다.
한 호흡 한 호흡
나의 흐름에 맞춰가는 시간이 좋다.
절대 변하지 않을 것들도,
돌아보면 변해있다.
나는 그간 보지 못했던
나의 새로운 면을
발견하는 중이다.
코로나 덕분이고,
가을이라 더더욱 그렇다.
이 느린 호흡이
다시 바삐 돌아가는 세상과 합을 맞출 시간도 다가오겠지.
그렇게 돌고 도는 거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