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JUNE

'참깨와 백합'은 존 러스킨이 강연한 내용을 모아 논 글이다. 참깨는 교육의 목적과 독서 등, 백합은 여성의 교육과 역할 등에 관한 내용이다. '독서에 관하여'는 마르셀 프루스트가 참깨와 백합을 프랑스어로 번역한 글로, 단순히 번역을 너머 서서 러스킨 글에 대해 자기 의견을 제시하여 비평한다. 즉 러스킨 독서관에 대한 반박이다. 


'백합' 

요즘과는 너무 먼 내용이라 별루다. 


'참깨'

러스킨은 교육은 경쟁에서 이겨 남들보다 나은 소유와 지위를 누리는 출세 준비 과정이 아니라 진정한 책을 통해 최고의 지혜를 얻으면서 관대해지는 것이다. 점점 관대해지는 것이 인생에서 출세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독서는 저자와의 대화를 통해 지혜와 교훈을 주기 때문에 독서가 인생에 절대적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독서에 관하여'

프루스트는 독서는 개인적 독서 경험 속으로 인도하는 역할로 본다. 내용 자체보다는 그 책을 읽었던 시간과 장소의 이미지들이며, 독서는 대화와는 정반대로 혼자 있는 상태에서 다른 사람의 생각을 받아들이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결론으로, 

독서와 교육으로 마음과 정신이 강해지는 것은 곧 타인에게 관대해 지는 일이다. 누구와 대화를 하든, 다른 사람의 생각을 받아들이는 것은 '관대'하여야만 가능하다. 


사족으로,

우리가 상류 사회에 진입하려는 이유는 거기 속하고 싶어서가 아니라 거기 속한다는 사실을 내보이고 싶기 때문이다. 이유는 상류 사회가 남들의 눈에 잘 띄기 때문이다. 최근 모 개그우먼의 몽클레어 밈풍자가 떠오른다.  


특별히. 

프루스트의 어린 시절 독서에 관한 글(133-151쪽)이 참으로 아름답다. 번역도 참 잘하셨다.


추가로,

아들 출장으로 혼자 있는 며느리와 손녀 보러 몇 일 다녔다. 딱 봐도 배고파 우는 데, 시간이 안됐는데, 왜 울지 하면서, 스마트폰으로 아기 울음 분석하는데, '배고픔', 내 참, 그제서야 분유 줬다. 할머니 할아버지는 계속 안아 주고, 버릇없게 만들고 있으니, 주 양육자는 고단하기도 할 거 같다... 그래도, 아이를 온전히 안아주는 시간은 그리 길지 않다는 거는 모를 거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