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정신과 의사의 기록은 우리 삶을 보는 거 같다. 비밀 보장 등으로 얕은 글이지만, 조각조각에서 삶의 지혜를 건질 수 있다. 아직도 건져야 하는 지혜가 내게 필요하다니,,, 살다 보면 일어날 수 있는 일의 경중에는 차이가 있지만, 결국, 사람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것은 사랑이고, 인정이고, 관계이다. 그래서 서로를 의지할 수 있는 뗏목도 필요하고, 경청도 필요하고, 몸의 움직임도 필요하다. 똑같은 경험을 하지 않았어도, 나의 말을 진심으로 들어 줄 누군가 있다면 그게 성공한 삶인 거 같다.
새해가 되면서 예쁜 손녀가 태어났고, 그러면서 며느리는 응급 병동에서 몇 일 보냈다. 손녀는 산부인과에, 며느리는 대학병원에서, 부모가 되는 일이 이처럼 힘든 일이었다. 그 와중에 아들이 침착하게 잘 대응해서 칭찬을 듬뿍 해줬다. 누가 정했는지, 조리원 비용은 시어머니가 낸다하여 거금을 보내줬고, 매일매일 봐도 예쁜 손녀를 보니, 그간 친구들이 돈을 내면서 손주 자랑하는 기분을 알았다.
파더 생파를 이번에는 내 차례였다. 자녀들 5명이 마더파더 생신을 돌아가면서 담당한다. 생파의 주관자가 시간장소음식등등을 모두 제공한다. 해가 갈수록 좋다, 고맙다고 말씀하시는 파더, 또 언제 오냐로 마무리하신다. 엄마가 자신의 생파와 비교하여 질투?까지 하셨다. "언제 또 오니?" 부모님에게는 참으로 막연한 시간일 거 같다.
30여년 전 비디오 카메라로 찍은 사진들을 돌려 봤다. 배가 부른 나의 모습, 우리에게 아들이 태어났을 때(지금 손녀 얼굴과 똑같아 신기했다) , 내가 병실에 있을 때, 돌 지난 아이와 가족여행 갔을 때, 완전 푸릇푸릇한 청춘 그 자체였다. 봐도 봐도 우리 모습이 멋있었다. 그 시절이 있었기에 지금이 있는 거구나...
대학 졸업 40주년 기념 모임에 갔다. 하늘 나라에 간 동기가 3명이나 있었고, 아주 부잣집에 시집가서 아주 잘 사는 동기도 있었고, 엉망진창인 남자를 만나 가정폭력으로 종적을 감춘 동기도 있었고, 사별한 동기, 재혼한 동기, 겨우 살아난 동기, 자식을 잃은 동기 등등, 오만가지 사연들이 난무했다. 삶의 모습이 모두 들어 있는 모임이었다. 매년 만남을 약속하고 헤어졌다.
너도 나도 도찐개찐, 이렇게 살아가는 거지. 감사할 게 차고 넘친다.
Be happy in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