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hyemin_book
  • 나는 왜 남들보다 쉽게 지칠까
  • 최재훈
  • 16,020원 (10%890)
  • 2024-07-10
  • : 49,409
어제 완독한 책인데요 📖
오랜만에 많은 페이지 마다 라벨 붙이며 읽는 책이였어요 📑 그만큼 공감되는 부분, 배운 부분, 표현이 좋았던 부분이 많았어요 🥹

✅ 내가 HSP(Highly Sensitive Person)다.
✅ 주변 사람이 HSP다 하면
정말 많은 부분 공감하면서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몰랐던 심리 부분도 알게되는 것은 덤이예요 🕊️

⚠️ 4번째 사진 ❝예민성 테스트❞ 해보세요 🖍️
저는 몇 개 일까요? 🤣

✔️
외향형은 상대적으로 직접적인 경험을 많이 하게 됩니다.
사람들과 직접 어울리면서 얘기하고, 직접 가서 보고 듣고,
직접 부딪혀보고... 일종의 ❝행동주의❞라고 볼 수 있죠.

반면 내향형은 상대적으로 간접 경험에 익숙합니다.
책을 읽거나, 영화나 드라마를 보고, 웹 서핑을 하면서
머릿속 시뮬레이션을 통해
끊임없이 나만의 내면세계를 구축해갑니다.
일종의 ❝사고주의❞라고 볼 수 있습니다. /p.44

✔️
예민한 성격은 반드시 쉽게 지치는 특성을 동반합니다.
IT 기기에 비유하자면, 성능 좋은 스마트폰일수록
더 많은 데이터 처리를 위해 고용량의 배터리가 필요하듯
HSP들 또한 끊임없이 쏟아져 들어오는 정보들을 처리하느라 정신력, 즉 내면의 배터리가 금방 닳아버리게 십상입니다.
남들보다 쉽게 피곤해지고, 금세 지쳐버리는 거죠. /p.49

✔️
신경계는 활동과 관련된 '교감신경'과
휴식과 관련된 '부교감신경'이
늘 적절하게 균형을 이루고 있어야 합니다.
일종의 신체 항상성으로, 일할 땐 일하고
쉴 땐 푹 쉬어야 신경계가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는 거죠. /p.73

✔️
특히 우리가 절대 간과해서는 안 되는 것이 바로 과당의 위험성입니다. 단 걸 너무 많이 먹으면 인슐린이 과도하게 분비되면서 혈액 내 당수치가 떨어지고, 급격한 당수치를 다시 올리기 위해서 일련의 스트레스 호르몬들이 배출됩니다. /p.74

✔️
잘 맞춰주는 사람은 우호적인 성향이 강하거나
아니면 갈등 회피 성향이 강한 유형 중 하나입니다. /p.118

✔️
성격적으로 잘 맞는 사람을 만나기란 무척이나 어렵습니다. 성격은 다차원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어 수많은 경우의 수를 지나고 있으므로 그 많은 측면을 전반적으로 만족시키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누군가 나와 정말 잘 맞는다고 느껴지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이 지금 나에게 잘 맞춰주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현실적인 판단입니다. /p.120

✔️
내가 이 관계를 위해서 얼마나 노력하고 있는지를 천천히 알려주고, 그럼으로써 상대방도 나에게 맞춰줄 수 있는 따뜻한 상호관계를 만들어 나갈 수 있기를 응원합니다. /p.120

✔️
제가 볼 때 현실적으로 예민한 사람들의 최대 장점은
바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통을 인내하며 성장한다는 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p.131

✔️
우리 뇌에 아웃풋 없는 인풋이란 없습니다.
이 말인즉슨, 어떠한 자극이 있으면 우리 뇌는 그 자극을 반드시 해석해야 한다는 겁니다. /p.137 ⭐️⭐️⭐️⭐️⭐️

✔️
크리스틴 네프(Kristin Neff)가 설명하는
❝자기 자비심❞의 요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자기 자신에게 따뜻하고 2️⃣ 실패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겪는 인류 공통의 경험임을 깨달으며 3️⃣ 감정에 과몰입하지 말고, 현실을 왜곡하지 않으며, 상황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받아들이는 것 /p.143 ⭐️⭐️⭐️⭐️⭐️

✔️
호랑이를 꿈꾸지 않는 고양이는 평화롭습니다.
호랑이를 꿈꾸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는 고양이는 괴롭습니다.
호랑이를 꿈꾸면서 열심히 노력하는 고양이는 활력이 넘칩니다. /p.154 ⭐️⭐️⭐️⭐️⭐️

✔️
각자에게는 저마다의 길이 있고
내가 선택한 길에서 만족을 느낄 수 있다면
그 선택이야말로 정답에 가까운 길일 테니까요. /p.155

✔️
❝스트레스 = 근육긴장❞

이 도식에서 우리는 스트레스 문제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해소하려면 근육을 이완시키면 되는 겁니다.

인간의 뇌는 심오한 것 같지만 단순한 부분도 있어서 근육이 긴장되 있으면 위기 상황으로 해석하고, 근육이 이완돼 있으면 평화로운 상황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p.205 ⭐️⭐️⭐️⭐️⭐️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