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휴머니스트의 서재
  • 고양이라디오  2017-02-27 14:07  좋아요  l (0)
  • https://twitter.com/hogook42/status/836079614371872768
    http://blog.aladin.co.kr/708700143/9168556

    페미니즘 관련 도서들을 꾸준히 보고 있습니다. 페미니즘은 평소에 간과했던 것들을 깨닫게 해주는 새로운 관점이자 창입니다. 페미니즘 운동은 단순히 남녀평등을 넘어서 인권과 평화의 운동으로 확장된다고 생각합니다. 저의 페미니즘 지식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이 책을 읽어보고 싶습니다.
  • 나비  2017-02-27 17:46  좋아요  l (0)
  • http://blog.aladin.co.kr/797592189/9169103

    여성으로써 겪는 불합리한 상황에 대해 설명하고 싶은데 뭐라 말해야 할지 몰라서 말문이 막힌 경험이 많습니다. 이런 불편함에 대해 토로할만한 책들은 나오지만 진짜 페미니즘이 이뤄진 세상에 대해선 막연히 생각할 뿐 구체적으로 어떨지는 전혀 상상하지 못했어요. 과거엔 당연하다 여겼던 게 지금와서 재조명 되고 새롭게 생각하는 걸 보면서 항상 배워야한다는 걸 깨닫습니다. 과거의 사례들을 보면서 어떻게 예전엔 이런 게 당연하게 여겨진껄까 의문이었지만 후대에 와선 현재가 낡고 경악한 것으로 치부되겠죠. 그런 세계를 상상한 사례들을 알고 싶어요.
  • 벤투의스케치북  2017-02-27 19:46  좋아요  l (0)
  • http://blog.aladin.co.kr/763054172/9169352
    제게 페미니즘의 가치와 대의를 알게 해준 정희진 님을 비롯해 (제가 읽은) ‘연애하지 않을 자유’의 저자인 이진송 님, 소설가 최은영 님 등의 필진이 쓴 ‘페미니스트 유토피아’는 그간 다소 무심했던 페미니즘에 다시 관심을 갖게 해줄 책이라 생각합니다. 아니 요즘 페미니즘의 최신 흐름을 알게 해주리라 생각합니다. 페미니즘에 관심을 온전히 기울이지 못했지만 그래도 이현재 님의 ‘여성혐오 그 후, 우리가 만난 비체들’을 읽은 것이 지난 해 말이었습니다.

    비체라는 이론적 배경을 알 수 있었던 이현재 님의 책과 달리 이번 ‘페미니스트 유토피아’는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실천적 맥락을 가다듬을 수 있을 책이라 생각합니다. 페미니즘에 관심을 가진 이들이나 페미니즘을 처음 접하는 독자들에게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해주는 책이라는 설명이 읽기 욕구를 자극합니다. 다양한 필자들이 가진 차이와 공통점에 초점을 두고 책을 읽을 생각입니다. 남녀 평등을 넘어 여성의 당당함에 귀를 기울이며 읽고 싶습니다..
  • 글샘  2017-02-27 23:23  좋아요  l (0)
  • http://blog.aladin.co.kr/silkroad/9169949

    대한민국에서 ‘민주‘라는 말과 ‘공화‘라는 말이 ‘자유‘와 ‘한국‘이라는 껍데기 아래 짓밟히는 현실을 보면서, 아, 이 나라에서 억눌리는 것들의 연대를 보는 일이 얼마나 요원한가...를 생각합니다.

    그러나, 또 그 추운 겨울을 이겨내고 꽃피는 봄이 오도록 촛불을 들었던 국민의 힘을 생각하면, 마침내 오고야 말 좋은 세상도 생각합니다.

    호주제가 이제서야 문제시되고 사라진 나라에서, 아직도 이혼조차 거론하기 힘든 인간성이 파편화되는 세상. 여성 문제나 동성애 문제, 빈민개병제와 양심적 병역거부 문제 등은 함께 연대해서 싸워야 합니다.

    좋은 책을 널리 알리는 기회가 되면 좋겠네요.
  • ICE-9  2017-03-02 19:56  좋아요  l (0)
  • http://blog.aladin.co.kr/748481184/9177610

    미국과 한국의 페미니스트들이 그려보는 유토피아의 모습 궁금하네요.
    알고 보면 토머스 모어의 ‘유토피아‘가 그랬듯이,
    유토피아란 실은 현실 사회의 대차대조표 같은 존재죠.
    상상된 가장 이상적인 사회로 거꾸로 지금 현실 사회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첨예하게 드러내는...
    그런 의미에서 페미니스트들의 유토피아는 남성 중심에 침윤된 현 사회의
    적나라한 민낯의 목격과 그것을 어떤 방향으로 개선할 것인지에 대해서
    깊은 사유의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가져다 줄 것 같습니다.
    꼭 한 번 만나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Yujin Choi  2017-03-03 14:20  좋아요  l (0)
  • https://m.facebook.com/yujin.choi.944?ref=bookmarks

    여성과 남성, 그 고유한 성 정체성이 우리의 삶을 어떤식으로 규정할 수 있는가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사회에서 규정하는 ‘젠더‘는 어디까지 공통된 규범으로 받아들여야 할까요?
    여성으로써 내가 겪어온, 수많은 여성들이 마주하고 있는 두려움과 불합리함. 여성은 꼭 ‘어머니‘가 되어야하고 ‘모성‘은 타고나는 것이 맞을까요? 여자라서 해야하는 일과, 여자라서 하면 안되는 일. 우리에게 주어진 사회적 규범은 불변의 가치일까요? 사실 여성에게만 ‘해야하는일‘과 ‘할수없는일‘이 선그어진 것이 아닙니다. 남성에게도 마찬가지죠. 남성들도 언제부터 주어진것인지도 모를 ‘가장‘이라는 이름과 책임감이 이유없이 무겁습니다. 마찬가지로 이들에게 주어진 사회적 시선과 규범은 당연한가요?
    페미니스트들이 바라보는 유토피아가 제가 생각하는 유토피아와 같은지 보고싶습니다.


트위터 보내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