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계속해서 쓰는 존재
  • 한국이란 무엇인가
  • 김영민
  • 16,920원 (10%940)
  • 2025-04-10
  • : 22,650

진실은 비싸다.

-유발 하라리

 

정치(政治)에 대해 무관심하며 살았다. 사전적 의미로 보면 정치는 나에게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해야 한다. 하지만 현실은 정반대다. 정치 때문에 삶이 피곤한 나날의 연속이다. 더군다나 날씨가 갈수록 이상해지는 만큼이나 살림살이가 나쁜 쪽으로 기울다 보니 하루를 버티는 게 힘이 든다. 적어도 정치는 권력(權力)이 아니라 생활력(生活力)이어야 하지 않을까?


그래서 2024년 12월 3일 계엄은 큰 문제다. 처음에는 픽션이지 싶었는데 사실은 경악할만한 현실이었다. 계엄이라는 야만적인 시스템은 민주주의를 말하고 있지만 정작 진짜 현실에 대해서는 철저히 외면하거나 무시하고 있다. 그나마 남아있던 생활력마저 무기력해졌다. 한편으로는 생활력의 한계를 넘어 분노했다. 어쩌다 민주주의에 맞서 총을 들고 무력으로 통제하려고 했는지 문제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계엄이라는 비합리적이며 극단적인 현실이 도래할 가능성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거리에 모여 온몸으로 불의(不義)에 맞섰다. 여전히 우리에게는 민주주의에 대한 감각이 있다. 결과적으로 다시 떠올리기도 싫은 계엄은 대통령의 파면으로 끝났다.


김영민의 『한국이란 무엇인가』는 비싼 책이다. 책값이 비싸다고 하면 다른 책보다 높아야 하는데 사실은 그렇지 않다. 이 책의 정가는 18,000원이다. 이 정도 가격이면 한국 사회에서 보통 수준이다. 그럼에도 이 책이 비싼 이유는 바로 ‘진실’을 파헤치기 때문이다. 이른바 유발 하라리 말대로 “진실은 비싸다”는 견해와 다르지 않다. 그가 말하는 진실은 제목에 나와 있듯 한국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새로운 이해’이다. 기존의 방식대로 한국이라는 사회를 이해하는 것은 공허에 불과하다.


계엄으로 돌아가면, 저자는 영화 <서울의 봄>을 바탕으로 쿠데타의 본질에 대해 이야기 한다. 쿠데타는 노상방뇨의 차원을 넘어서는 것이다. 단순히 법을 위반하는 것이 아니라 법을 시녀로 부린다. 만약에 이 정도로 쿠데타를 해석하는 것은 새삼 주목받을 리 없다. 쿠데타의 모든 과정의 정당함을 법이 아닌 자기 자신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 놀랍다. 그러려면 자기 자신을 더욱 미화(美化)하는 것으로 정당성을 완성해야 한다.


이러한 시선으로 저자는 12.12 쿠데타를 ‘못생긴 쿠데타’라고 해석한다. 여기서 못생긴 의미는 외모의 이미지보다는 쿠데타가 욕망하는 열악하고 조악한 이미지로 그려진다. 계엄을 포고하면서 헌법을 훼손하는 이미지가 좋을 리 없다. 뭔가 부도덕해야 한다. 그 대안으로 ‘정의 사회’라는 도덕이다. 아이러니하게도 도덕은 헌법이 담보하는 것이 아닌가? 이 모두가 못생긴 쿠데타의 결과다. 비록 쿠데타가 실패하고 민주화가 승리했다고 하여 모든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니다. 여기서 중요한 과제는 민주화 역시 ‘못생긴 민주화’라는 불편한 사실을 좀 더 깊이 헤아려보려는 자세다.


이 책에서 저자는 한국의 과거와 현재를 다방면으로 넘나들면서 직면한 문제에 대한 미래지향적인 물음을 하고 있다. 가령, 오늘날 한국은 결혼에 소극적이라는 심각한 위기에 놓여 있다. 결혼이라는 선택지를 두고 결혼의 아름다움은 더 이상 대안적 감수성이 되지 못한다. 지금과 같은 직장, 소득, 집을 확보하는 일마저 갈수록 어려운 현실에서 결혼하는 게 불가능하다. 모름지기 설득력있는 대안을 찾아야 한다. 결혼은 자연스러운 인생사업이다. 이런 의미에서 결혼을 서비스로 접근해야 한다. 서비스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욕망, 기회, 능력이라는 삼요소의 균형이 필요하다. 결혼에 대한 욕망이 없는데 속절없이 제공되는 여러 가지 부가서비스는 오히려 채무감이 되고 말 것이다. 얼마든지 결혼지옥이 될 수 있다.


일찍이 니체는 “인간은 극복되어야 할 그 무엇이다!”라고 말했다. 알다시피, 한국의 상황은 그리 낙관적이지 않다. 여러 가지 문제로 삶이 피곤하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에서 살고 싶은 마음은 어디에도 없다. 더구나 내가 한국에서 태어난 것은 내 욕망이 아니라는 자포자기의 심정이 압도적이다. 그래서 늘 고통은 어려운 숙제와 같았다. 이처럼 숙제의 본질을 그대로 두고 숙제를 해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저자가 날카롭게 비판하고 있듯이, 이런 생각은 게으르다.


이제 우리는 고통을 극복하는 존재여야 한다. 고통을 극복하느냐 마느냐의 문제는 일차척으로는 개인의 문제이다.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사회적인 문제이다. 한국 사회가 고통을 극복하지 않는다면 어느 날 지구상에서 사라져버릴 것이다. 이러한 비상사태 또한 픽션이 아니라 심각한 현실이다.


이 책에서 저자가 내놓은 대책은 ‘의미 있는 고통’이다. 의미 있는 고통은 자신의 현재를 극복하는 자세다. 어떤 점에서 고통은 한국 사회가 대전환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그러려면 앞서 말했듯 의미 있는 고통이어야 한다. 달리 말하면 ‘고통천국’이다. 만약에 고통이 무의미하다면 우리가 도저히 감내하기가 어려 고통 그 자체이다. 달리 말하면 ‘고통지옥’이다. 저자의 표현을 빌려면 고통지옥은 “자기 심장에 박힌 치명적인 칼”이다.


생각해보면, 고통은 어떤 날 어느 순간 발생하고야 만다. 그러니 고통은 우리 삶의 영원한 서사다. 의미 있는 고통을 몰랐으면 치명적인 칼을 몰랐을 것이다. 더 나아가 의미 있는 고통을 몰랐다면 고통의 가치를 몰랐을 것이다. 만약에 고통이 무의미하다면 고통의 진실을 외면했을 것이다. 비로소 고통의 진실을 되돌아보니 왜 그토록 고통이 값비싸야 하는지 그 까닭을 알게 되었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