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내에서 빌렘 데 쿠닝(네덜란드 태생의 미국 추상표현주의 화가. 1904~1997) 특별전이 열리고 있었다. 레이시는 여성의 모습을 기괴한 토템처럼 표현한 그림 앞에서 걸음을 멈췄다. 데 쿠닝은 1950년대에 죽어라고 여자를 그렸는데 그 그림들이 1970년대 페미니즘의 공분을 샀다. 데 쿠닝의 작품은 여성을 야수로 묘사한 공격적 그림으로 폄하됐고, 그는 여성을 짐승으로 비하한 여성혐오주의자 남성 화가로 몰렸다.

빌렘 데 쿠닝,「여자I」, 1950년~1952년
하지만 레이시는 데 쿠닝의 그림 속의 날뛰는 살덩이와 험악한 이빨을 보면서, 그것이 자신의 모습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그림은 여성을 공격하는 그림이 아니었다. 오히려 여성의 힘을 인정하는 그림이었다. 데 쿠닝은 흉측한 괴물을 그린 게 아니라 강력한 여신을 그린 것이었다. 그 이미지는 레이시가 매일 자신을 느끼는 방식과 비슷했다. 그녀에게도 악귀 같은 이빨이 있었다. 유혹적인 가슴과 기다란 분홍색 다리와 맹렬한 기세가 있었다. 레이시는 자신의 성적性的 저력을 알고 있었다. 지금은 그것이 칼집에 들어 있지만, 언제라도 그 칼을 빼드는 날에는 자신의 원초적 모습도 데 쿠닝의 여인과 다르지 않을 거라는 걸 알았다.
레이시는 미술관 계단을 내려가 휴대품 보관소로 갔다. 보관소 앞에 기다리는 줄은 없었다. 그런데 보안요원 세 명이 모여 어깨에 붙은 무전기에 대고 말을 하고 있었다. 레이시가 맡긴 판지상자가 보관소 입구 대리석 벽에 세워져 있고, 말쑥한 정장을 입고 안경을 쓴 여자가 그 옆을 지키고 있었다. 레이시는 즉각 상황을 파악했다. 맨 처음 스친 생각은 ‘이런 젠장.’이었고, 두 번째 든 생각은 ‘재밌겠는걸.’이었다. 레이시는 있는 대로 인상을 쓰고 목소리를 있는 대로 깔면서 말했다. “찾으시는 사람이 저 아닌가요?” 그리고는 돌아서서 등 뒤로 손목을 모으고 수갑 차는 자세를 취했다. 아무도 표정이 바뀌는 사람이 없었다. 레이시의 야심 찬 농담이 썰렁하게 떴다.
“이런, 죄송해요.” 레이시가 다시 돌아서며 말했다. “저는 소더비 직원이고, 지금 이 그림을 배달하는 중이에요. 이건 밀턴 애브리 그림이에요. 여기 제 명함.”
말쑥하게 입은 여자가 말했다. “저희가 그림을 열어 봐도 될까요?”
“그럼요.”